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런저런1911

독거보다 나은 작약 장미 작약은 끝물이요 장미는 한창이라 또 전자가 일주일을 버티는데 견주어 후자는 떼거리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해서인지 좀 더 오래가니 완상엔 장미가 나은 점이 있다. 장성 독거도 저 꽃들처럼 활짝 할 날 있어야 할 텐데 말이다. 사람이 어찌 꽃보다 못하단 말인가? 2023. 5. 18.
디셉티콘 수염, 개암나무와 자작나무의 접점 야산에 흔해 빠졌고 그래서 땔감 말고는 특출난 쓰임을 찾기 힘든 개암나무 설명이 이렇다. 개암나무 Asian hazel Corylus heterophyla 자작나무과 개암은 전래 동화 '혹부리 영감'에도 등장한다. 개암에는 눈을 밝게해 주는 성분이 들어 있다고도 한다. 잎으로 갈색 물을 들일 수 있다. 예서 눈에 들어오는 대목은 그것이 자작나무과라는 점. 이걸로는 무엇으로써 자작나무와 한 묶음인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다음 장면을 보면 왜 그런지 비로소 고리를 찾는다. 이 사진을 다음 자작나무랑 견주어 보자. 디셉티콘 수염을 닮은 열매? 가 접점이다. 2023. 5. 16.
흡사 감나무인 이팝 이팝을 세심히 살핀 적은 없다가 근자 꽃이 지고 녹음 짙은 이파리들을 살피니 흡사 감나무 그것이라 아주 똑같다. 이파리만 봤더래면 천상 감나무라 했을 만치 일란성 쌍둥이를 방불하는데 혹 이팝이 감나무 속 아닌가 살피니 물푸레나무과에 속한단다. 감나무를 살피니 진달래목 감나무과 감나무속이며 학명은 'Diospyros kaki' 라 해서 물푸레건 이팝이건 친연성은 전연 엿볼 수 없다. 2023. 5. 16.
류종열柳宗悅, 양심적 일본인과 오리엔탈리스트, 그 극단으로서의 야나기 무네요시 2005.05.05 05:55:01 엠바고 1차 : 2005.05.05 05:55:01 야나기 무네요시 불교미학 4부작 완역 돌입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대한민국 정부는 1984년 9월에 이 사람에게 '보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대한민국 정부가 문화훈장을 수여한 이가 한두 명에 그치겠는가? 하지만 이 사람만은 이채롭다할 만했다. 일본인이었기 때문이다.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 그 한자 표기는 류종열(柳宗悅). 한국사람이나 중국인이 아닌가 착각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엄연히 그는 일본인이다. 그렇다면 이런 일본인에게 왜 한국정부는 훈장까지 수여했는가? 그 이유는 단 하나였다. 한국을 사랑하고 이해한 소위 '양심 있는 일본인'으로 간주됐기 때문이다. 무엇 때문에 야나기는 이런 명성을 얻.. 2023. 5. 16.
향기, 화왕花王과 아왕亞王의 경계 모란과 작약은 이종사촌 비스무리해서 꽃 자체로는 구별이 쉽지 아니하나 나무와 풀이라는 차이 말고도 개화시기도 달라서 모란이 지기 시작하면 비로소 작약이 꽃을 피운다. 따라서 두 꽃이 함께 만개한 모습을 보기란 같은 자연조건에서는 무척이나 드문데 둘을 분기하는 가장 결정적인 지점은 향기다. 작약이 향기가 없지는 아니하나 사방을 미혹케 하는 모란의 그것에 견줄 수는 없다. 이세민이가 선덕공주를 기롱하고자 보냈다는 향기없는 모란은 혹 작약일지도 모르겠다. 또 한 가지 다른 점은 작약은 풀이기에 그 뿌리는 약용으로 쓰나 나무인 모란은 오직 완상 말고는 쓰임이 그닥 없다. 둘을 견주면 모란은 오직 그 왕성한 향내와 한끝 차이로 먼저 핀다는 그 한 가지로써 꽃의 제왕 花王이 됐을 뿐이다. 그렇다고 아왕亞王이라 해서.. 2023. 5. 14.
맞짱 뜬 강유위 康有爲 몇년 전인가? 그 해 한여름 산동성 일대 답사를 감행했다. 어느 산에 올라 석굴 본답시며 땀을 한되빡 쏟아가며 오른 일도 있다. 다시 청도로 돌아와 십년 전에 들른 강유위 고거古居에 들러 그와 맞짱을 한 번 떠봤다. 캉유웨이 강유위 康有爲(1858~1927)...3일 천하로 끝난 무술정변의 주역이요 동아시아 근세 일대 걸물 양계초를 길러낸 선생이다. 그의 대동서大同書... 참말로 황당하기 짝이 없지만, 요새 갈수록 그의 대동서가 끌린다. 대동서가 하는 말이 맞다고 이젠 보기 시작했다.(2015. 5. 13) 2023. 5.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