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저런1865 정구지 조로朝露 배차 이파리 찰싹 눌러붙은 이슬이 스멀스멀 김 가루 되어 증발한다. 정구지 늘어뜨린 물방울도 금새 사라질 판이라 조로朝露는 조루早漏다. 한데 어찌하여 아침이슬은 저항의 상징으로 둔갑했던고? 조로는 언제나 덧없음이었다. 부질없음이다. 아둥바둥이다. 2019. 10. 20. 나뒹구는 호박 시즌이 시즌이니만큼 호박 풍년이라 이곳저곳 저절로 굴러다닌다. 문앞에도, 마당에도, 계단에도 쌍으로, 무데기로 농성한다. 개중 실한 놈 하나를 엄마가 또개서 아들놈 좋아하는 호박죽을 맹그는데 두 그릇 후닥닥 해치운다. 그때 견주어 땅이 늘어난 것도 아니요 그때라고 호박이 없었던 것은 아니로대 그땐 왜그리 먹을 게 없었는지 모르겠으니 쪽수 아니었겠는가? 집집마다 가가호호 열이라 호구가 많았으니 마파람 게눈 감추듯 남은 게 없었더랬다. 이젠 호박죽 지어놔도 며칠을 간다. 2019. 10. 20. 독새끼 져나르며 뭐 한가롭게 마실 나온 것도 아니요 내가 꼬나보는 이 저 냇가 독 무데기라 독을 져날라 한다. 오마씨가 조립식 주택 바닥이 내려앉는다 난리라 할 수 없이 그 바닥 공군다며 독 찾으러 나섰는데 이 놈의 독새끼 평소엔 발길에 채더니 엄따 한 짐 져 나르고 또 한 짐 이번엔 덩치 큰 놈들을 골랐더니 팔이 빠질 지경이다. 지게가 편한데 이젠 지게 질 사람이 없어 지게도 엄따. 선친 가시니 뭐.. 그나저나 돌삐 열나 무굽다. 2019. 10. 19. 완성하지 못한 swan song 그래 가능성보단 기대감이었다. 그랬다. 작년에 미룬 것까지 올해 두 명 한꺼번에 발표하는 노벨문학상 후보군에 비록 언론지상이긴 했지만, 한강이 거론된다 했을 적에 혹시나 하는 기대가 없지는 아니했다. 내 나름으로는 트리플 크라운 세우고 떠나고 싶었다. 내가 생각하는 삼관왕은 무엇인가? 첫째 빌보드 1위..이 꿈만 같은 일이 내가 문화부장 재직시절에 물경 세 번이나 터졌으니 모조리 방탄소년단이었다. 물론 얼마전 슈퍼엠이 또 하나를 추가했지만 말이다. 둘째는 황금종려상..이것도 꿈만 같았는데 마침내 올해 칸영화제서 봉준호가 기생충으로 한을 풀었으니, 그런 소식을 취급하는 문화부장으로서 나는 기쁘기 짝이 없었다. 그에다가 노벨문학상을 마지막으로 추가하고 싶었다. 물론 저들이 어찌 내몫이겠는가? 그냥 기분이 그.. 2019. 10. 18. 감나무 접붙지 아니한 고염 감 같지도 아니한 고염이 잔뜩이라 덕지덕지 눌러붙었는데 여전히 떫은 맛이라 주렁주렁 알알이 박혔는데 서리 내릴 무렵 맛이 낫다는 지인 말 들으니 그랬던 것도 같다. 고염은 감나무 접붙이는 줄기라 그러니 감나무 줄기세포라 하리니 감은 고염을 만나야 비로소 감이 된다. 2019. 10. 17. 삶과 죽음 이게 삶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각중에 든다. 대략 십년전 관악산 연주암 관악사지에서 어느 승려 산소인 부도 자리다. 저 잔영은 쉬 사라지지 아니한다. 사진은 촬영 시점 보니 2011. 11. 6이다. 2019. 10. 17. 이전 1 ··· 260 261 262 263 264 265 266 ··· 3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