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런저런1935

오직 노벨문학상만 응어리로 남은 복받은 어느 문화부장 언젠가 나는 언론사 문화부장으로 참말로 복이 많은 사람이라고 썼다. 내가 그걸로 재직하는 기간 꿈에나 그리던 빌보드 일등을 단군조선 이래 첨으로 BTS가 먹더니, 것도 그런 일을 거푸 네 번이나 봤으니 말이다. "그러다 봉준호가 기생충으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는 못 볼 꼴도 봤다. 다시 그러다 같은 봉준호가 아카데미상 작품상까지 거뭐쥐는 목불인견도 있었다. 나는 안다. 저런 사건들이 나로써 빚어진 일이 아니란 걸 말이다."그럼에도 나는 언제까지나 내가 문화부장으로 있었기에 종래 같으면 감히 꿈조차 꾸기 힘든 저런 일이 있었음을 동네방네 떠들고 다니겠다고 말했다. 그에서 딱 하나 예외가 있었다. 나는 노벨문학상을 못 먹었다.노벨상 종류는 많지만, 문화부 소관은 딱 하나 문학상이다. 나는 그걸 내가 문화.. 2024. 10. 10.
부라노, 빨랫줄만 기억에 남은 뺑끼칠 베네치아 아이유 섬마을 베네치아에 갔을 때다. 이래저래 한국 젊은이들을 마주쳤거니와, 이들이 너도나도 부라노Burano라는 델 갔다 왔거나 간다는 거였다. 도대체 왜 부라노인가 알아봤더니 아이유라는 여식이 부른 무슨 노래 비디오를 이곳에서 촬영했다는 것이었다. 그때까진 난 아이유도 잘 모르니, 첨엔 아유미로 알아들었다. 한데 묘한 것이 남들 간다니 나도 가 봐야겠다는 욕망이 끓었다. 사흘짜리 수상버스 이용권은 샀겠다, 내 꼴리는 대로 갈 수 있으니, 구글맵으로 그곳을 가는 길을 물어 찾아갔다. 가서 보니 부라노는 두 가지가 놀라웠다. 첫째 뺑끼칠 마을이었다. 작은 섬마을 주택가가 온통 알록달록 뺑끼칠이었다. 간단히 말하면 이곳은 단청 마을이었다. 덧붙이자면 나한테는 그리 큰 감흥은 없었다. 둘째, 그 여파인지 이곳은 온통 한국.. 2024. 10. 10.
2024년을 일찍 접으며 한글날인 오늘 강남 봉은사서 내년 을축년대홍수 100주년을 앞두고 이 물난리서 이재민 708명을 구제한 당시 봉은사 주지 나청호 스님 구호사업을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있었으니 이에서 나는 이 물난리가 한국근현대사에서 구호의 탄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발표했으니 다른 세 분은 청호 스님과 그의 구호활동, 그리고 그의 다른 행적, 특히 불교의례 정비 관련 발표를 맡았거니와 이로써 내 2024년 공식 대외 일정은 마무리를 고한다. 이번 주말 12일 나는 발칸반도로 떠나 유럽을 주유하고선 내년 초 귀국한다. 물론 크고작은 일이야 그쪽에서도 손을 쓰야겠지만 어떻든 내가 공식으로 나서야 하는 일정은 끝났다. 자꾸 이를 상기하는 까닭은 내가 이런 처지이니 그에 따른 번다함은 없었으면 해서다. 오늘 세마나로 말할 것 .. 2024. 10. 9.
갈수록 절실해지는 기술을 배워야 한다던 어른들 말씀 뭐 솔까 저런 말을 입에 달고 산 보모님 세대부터 실은 100명 중 99분이 기술이랑은 눈꼽만큼도 관계가 없기는 하다. 저런 말 입에 달고 산 분들이 실은 죽어라 농사만 짓는 사람들이다. 저런 구호가 더 난무하던 시대가 박정희 시대였다. 그때를 나는 금오공고 시대라 부르는데, 그것이 대표하는 선형 판형 가공하는 기술공고시대, 그리고 주판을 무기로 앞세운 상고시대 아니었겠는가? 저와 비슷한 시대를 살고는 출세한 사람 중에 목포상고를 나온 DJ가 있고, 부산상고 출신 노무현이 있다. 한데 말이다. 퇴직하고 보니, 그리고 퇴직하고서도 뭔가는 하면서 입에 풀칠을 해야 하는 이 나이가 되고 보니 저 말이 갈수록 절실하다. 남들 볼 때는 너는 전문성이 있으니깐...하지만 막상 내실 따져보면 전문성은 하나도 없어 설.. 2024. 10. 9.
그리운 리숙동李叔同 선생님[懷李叔同先生] written by 풍자개豊子愷(1943), translated by 홍승직 (懷李叔同先生) 풍자개(豊子愷)(1943년작)지금으로부터 29년 전, 내가 17살 때, 항주杭州의 절강浙江 성립省立 제일사범학교에서 리숙동李叔同 선생님을 처음 만났다. 바로 훗날의 홍일법사弘一法師다. 그때 나는 예과 학생이었고, 리선생님은 우리 음악 교사였다.우리는 리 선생님의 음악 수업을 들을 때, 어떤 특별한 느낌이 있었다. 엄숙함이었다. 예비종이 울려서, 음악 교실로 걸어가 문을 밀고 들어서던 우리는 우선 깜짝 놀랐다. 리 선생님이 벌써 교단에 단정히 앉아 있었기 때문이다.선생님들은 늘 우리보다 늦게 온다고 생각하면서, 되는 대로 노래도 하고, 소리도 지르고, 웃기도 하고, 욕도 하면서 문을 밀고 들어서던 학우들로서는 더욱이 놀라움이 작지 않았다. 학우들의 노래 소리, 외침 소리, 웃는 소리, 욕하.. 2024. 10. 9.
아동 노동, 그 현장 조카딸 아들놈이 어김없이 왕할매 고구마 밭 노동현장으로 출동해 지 할매 엄마랑 열심히 고구마를 캔다. 웃겨 죽겠다. 농사꾼 기질 다분한데 키워봐? 손주들 보는 재미야 재롱 아니겠는가? 오늘도 너 때문에 내가 배꼽잡는다. 2024.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