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5 로마 전성기 이탈리아 반도를 관통한 10대 고속도로 로마 제국 절정기 이탈리아 반도를 연결한 10개 고속도로. 가장 중요한 것은 로마와 카푸아 Capua 를 연결하고 항구도시 브룬디시움 Brundisium 까지 남쪽으로 이어지는 "비아 아피아 Via Appia"다. 이른바 아피아 가도街道라 일컫는 데다. 저 카푸아가 교통 요지라, 그에서는 아피아 가도 말고도 비아 포필리아 Via Popilia 라 해서 남쪽 해변을 따라 달리는 도로가 났으니, 이 도로가 결국 시칠리아와 접점을 형성한다. 로마를 기점으로 동북쪽을 향하는 주요 도로는 4개가 있었다. 개중 아드리아해변 항구 도시들인 아르미니움 Arminium과 안코나 Ancona, 그리고 카스트룸 트루엔티늄 Castrum Truentinium 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었다. 저들 세 아드리안 해변도시는 또 서로 .. 2024. 5. 20. 잡곡과 도작이 합쳐져 혼합농경이 탄생한 한반도 서북부 한반도 서북부는 전혀 별개의 전통이었던 잡곡농경과 도작농경의 전통이 합쳐져 혼합농경으로 거듭난 지역에 해당한다. 도작은 지금보다 평균기온이 높던 시절에도 만주일대까지 북상했을 리가 없었다고 본다. 세형동검문화권과 통일신라의 북쪽 경계선은당시의 도작을 포함한 혼합농경의 한계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보다 북쪽은? 도작없는 잡곡농경지대 아니었을까. 그렇게 보면 발해만을 건넌 도작과 발해만을 따라 우회한 잡곡 농경이 만나 합쳐진 곳이 한반도 서북부 일대가 아닐수 없다. 이 지역에서는 도작이 다른 농경에 비해 압도적 우세를 누리지 못하고 수전이 있었어도 그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을 것이다. *** previous article *** 한국과 일본의 진령회하선 2024. 5. 20. 바다가 삼킨 도시 헤라클레이온 Heracleion Heracleion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Alexandria 북동쪽 아부키르만 Abu Qir Bay 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도시다. 이곳은 '토니스 Thonis ' 혹은 '토니스-헤라클레이온 Thonis-Heracleion' 이라고도 한다. 헤라클레이온은 기원전 8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한다.전설에 따르면 영웅 헤라클레스 자신이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 도시 이름이 그리 생겼다고 한다. 이 도시는 2000년 프랑스 고고학자 프랑크 고디오 Frank Goddio 와 그의 팀이 사진에서 보는 거대한 석상을 물속에서 건져냄으로써 본격 데뷔하게 된다.수중 유물 중에는 선박 64척, 닻 700점, 금화 보물창고, 16피트 높이로 선 조각상, 특히 아문-게레브 Amun-Gereb 신에게 바치는 거대한 .. 2024. 5. 20. 기적은 없었지만 끝까지 잘 싸운 구너스 화이팅! 그래도 일말의 기대가 없지는 않았지만 그러기엔 맨시티가 너무 강했고, 더구나 홈 경기라 우승을 향한 구부 능선은 넘은 상태였기에 웨스트햄을 3-1로 따돌리고 4시즌 연속 챔피언 타이틀 획득이라는 EPL 전대미문하는 역사를 썼다. 지난 시즌에 이어 이번 시즌에도 막판까지 피말리는 경쟁을 벌인 아스널은 에버튼과의 홈경기에서 고전을 거듭했다. 압도하고도 선취골을 내주는 바람에 계속 끌려갔고, 일단은 이 경기를 이기고 저짝 결과를 동시에 지켜봐야겠기에 그만큼 더 초조했다. 반면 맨시티는 경기 시작과 더불어 선취득점을 하는 바람에 이런 소식이 실시간으로 전해지는 까닭에 압박이 더 심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피말리는 막판 경기에서는 일단 아스널이 먼저 승기를 잡고 봐야했지만 그에서 실패했다. 왜? 그런 소식이 거꾸.. 2024. 5. 20. 한국과 일본의 진령회하선 이는 한국과 일본의 1월 평균 기온이다. 대략 초록에서 노란색으로 칠한 지역이 1월 평균기온이 0도 이상으로, 중국대륙 진령회하선 이남과 유사한 기후가 된다. 이 그림을 유심히 보면, 한국과 일본의 "도작문화권"이 어디인지 확연히 드러난다. 야요이시대에 한국에서 일본으로 도작이 전해진 이래, 왜 한국이 농업생산성의 측면에서 일본에 항상 압도당했는가, 그 이유를 볼 수 있다. 진령회하선과 한반도 남해안 (1) 2024. 5. 19.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 EDVARD MUNCH BEYOND THE SCREAM 그간 뭉크 라는 화가를 둔 어줍잖은 글 몇 개를 던졌거니와 이참에 이 형님 좀 한 번 파고들려 한다.뭉크라고 하면 절규인지 비명인지 하는 작품 딱 하나만 기억하지만 마침 창간 120주년 기념을 서울신문이 그 전시회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 EDVARD MUNCH BEYOND THE SCREAM을 5월 22일부터 9월 19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최한다 하거니와출품작만 대략 140점에 달한다는데 이때 아님 언제 봐두겠는가? 이번 전시회 의미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주최 측에서 작성한 자료를 보는 편이 좋겠다. 아래 링크 참조 140점 중 개인 소장품만 126점… 미술사에 남을 ‘뭉크의 보석들’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5-16 18:41 2024. 5. 19. 이전 1 ··· 1066 1067 1068 1069 1070 1071 1072 ··· 36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