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는 한국과 일본의 1월 평균 기온이다. 
대략 초록에서 노란색으로 칠한 지역이 1월 평균기온이 0도 이상으로, 
중국대륙 진령회하선 이남과 유사한 기후가 된다. 
이 그림을 유심히 보면, 
한국과 일본의 "도작문화권"이 어디인지 확연히 드러난다. 
야요이시대에 한국에서 일본으로 도작이 전해진 이래, 
왜 한국이 농업생산성의 측면에서 일본에 항상 압도당했는가, 
그 이유를 볼 수 있다. 
진령회하선과 한반도 남해안 (1)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반도에서 도작이 남하할 때 보는 현상 (27) | 2024.05.20 | 
|---|---|
| 잡곡과 도작이 합쳐져 혼합농경이 탄생한 한반도 서북부 (24) | 2024.05.20 | 
| 벼농사: 북상은 느리게 남하는 빠르게 (27) | 2024.05.19 | 
| 진령회하선과 한반도 남해안 (1) (27) | 2024.05.19 | 
| [연구근황] 미국의사학회 참가 (26) | 2024.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