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69

노비가 양반 되기 사실 반 상상 반으로 조선시대 노비가 양반되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우선 노비가 외거하면 주인에게 예속되어 있더라도 자기 재산 축적이 가능하며심지어는 땅도 자기 땅을 사고 파는 것은 물론, 노비의 노비도 있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18-19세기가 되면서 양반층 중에 경제적으로 사실상 신분을 유지 하기 어려울 정도의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양반 중 장자 상속 등으로 여전히 많은 토지를 집적하고 있는 상위의 사람들을 제외하면양반층과 평민, 심지어는 노비들 중에도 경제적으로 이들을 앞서기 시작하는 이들이 나오기 시작했다고 본다. 따지고 보면 어차피 노비가 자기 성을 갖고 나중에 양반이 되더라도 모두 다 도망가서 딴 동네에서 성공했으리라 보면 착각이다. 대부분은 자기 조상 대대로 노비로 살던 동네에서 이들은 성공해서.. 2025. 7. 20.
한국과 일본은 왜 달라졌는가 이는 필자가 오랫동안 지닌 의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도대체 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는가.나라가 다르니 역사도 다르다라고 간단히 이야기하고 치워 버린다면이 세상에 고민할 것은 아무 것도 없을 것이다. 노벨상을 타는 네안데르탈인 유전형질을 백 번을 더 규명하면 뭐하겠는가원래 그렇게 되어 있다는데. 그런 생각이면 학문도 필요 없고 연구도 필요 없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한국과 일본은 달라져야 당연한 나라가 아니다. 역사서는 이 두 나라가 오래전 매우 비슷한 시스템 위에 놓여 있었음을 웅변하고 있다. 삼국지 동이전에서 보이는 한전과 왜인전은 사실 거의 비슷한 사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한국의 정치 사회적 작동원리를 그대로 이식한 고분기, 아스카 시대, 나라시대까지 이어졌고, 중국식 왕조를.. 2025. 7. 20.
록하가장잡록, 봄날 화전놀이를 남녀가 치고받은 18세기 내방가사 『록하가장잡록』은 작자와 창작시기가 밝혀진 내방가사 , , 가 필사되어 있는 책이다. 이 세 편 내방가사는 봄날 화전놀이를 중심으로 작은 소동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다.남성이 여성들 화전놀이를 조롱하는 를 짓자, 여성이 그에 반박하는 를 지어 반격하는 내용이다. 세 작품은 하계 이씨 집안에서 가승되어 온 것으로 이본이 없는 유일본이다.여성이 한글을 익혀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데까지 나아간 사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한글문화사적 의의를 지닌 작품들이다. 『록하가장잡록』 (1746년), 국립한글박물관 소장The 『Rokhagajangjaprok』 is a manuscript that contains the naebang-gasa(Korean lyric verse created by women) , , and ,.. 2025. 7. 20.
폴란드 남부서 2,000년 전 매장지서 희귀 로마 유물 작년 9월에 공개된 소식이라 이르기를 폴란드 남부 카지미에르자 비엘카Kazimierza Wielka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에서 희귀하고 중요한 2천년 전 로마시대 유물을 발견했다 한다.크라쿠프Kraków 야기에우워스키 대학교Jagiellonian University와 고고학 전문 회사 프린시파트Pryncypat 연구진이 이끄는 조사팀이 신석기 시대부터 초기 청동기 시대까지 160점 유물을 회수했다.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 중 하나는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로마 시대 이전 후기late pre-Romanperiod에서 초기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묘지였다. 이 묘지에는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과 화장하는 방식이 혼재되어 있어 당시 다양한 매장 관습을 반영한다.연구진은 매장 무덤 23기와 .. 2025. 7. 20.
국역 일기에서 홀대 받는 노비들 재미있는 점은조선시대 일기의 국역본에는 등장인물들을 알기 쉽게 요약하여 정리한 경우를 보거나관련 논문들들 보면일기의 저자와 관련있는 식자층, 즉 그 일기에 나오는 당시의 양반들에 대해서는 경력과 출생 사망 연도, 자와 호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적어두는데 일기에 자주 등장하는 집안의 노비들에 대해서는 등장인물 요약에서 항상 빠진다는 점이다. 사실 조선왕조 일기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은필자가 보기엔 이들이 무엇을 먹었는가, 그리고 노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하는 것이양반들끼리 누가 누가 만나 밥을 먹었네, 술을 마셨네 하는 잡문들 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노비들의 경우 그 혈연 관계에 대해서도 제대로 정리된 논문이나 책의 요약 한번 제대로 본 기억이 없다. 사실 양반들끼리 만나 술마시고 밥먹고 시를 읊고.. 2025. 7. 19.
기후변화 시대, 근간을 뜯어고쳐야 하는 문화재 정책들 이 이야기 주구장창했다. 하지만 국가유산청은 들어쳐먹을 생각도 없으니 들어쳐먹을 때까지 계속 하련다. 산성 발굴 문제의 심각성이다. 내가 어린 시절 칡캐서 팔기 바람이 불었다. 나 역시 그 몇 푼 안 되는 돈 번다고 온 산을 뒤지며 칡을 캐다 팔았다. 그 이듬해 홍수가 났다. 온 동네가 아작이 났다. 박정희 시대 사방공사 산림녹화가 이제는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시절이었는데, 그 산 곳곳에 사태가 났다. 그 사태가 난 곳, 진원지를 내가 조사해 보니 거의 다 칡을 캔 자리였다. 그 칡을 캔 자리에 물이 스며들어 산사태가 난 것이다. 산은 벗기는 순간 저런 홍수에는 쥐약이라 그 생채기로 물이 스며들면 사태가 날 수밖에 없다. 그 산 곳곳을 고고학이 생채기를 내고 있다. 발굴이라는 이름으로 산성을 파제끼고, .. 2025.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