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5

호주 인류 정착 언제 시작했나 고고학 유전학 쌈박질 고고학은 6만5천년, 유전학은 5만년 전 이후 네안데르탈인 DNA, 호주 인류 정착 6만 5천 년 전 주장 반박할 수도 있지만, 모든 전문가가 확신하는 것은 아니다.새로운 DNA 모델은 인류가 5만 년 전에야 호주에 도착했음을 시사하지만, 고고학적 자료는 이를 뒷받침하지 않는다. 인류는 6만 5천 년 전에 호주에 도착하지 않았으며, 약 5만 년 전에야 호주 본토에 도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새로운 논문이 발표되었다고 라이브 사이언스가 관련 논문을 인용해 4일(한국시간) 보도했다. 이 발견의 배경은 현대인이 네안데르탈인과 교배하기는 약 5만 년 전이지만, 호주 원주민은 네안데르탈인 DNA를 소량 보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최초의 호주인은 인류가 네안데르탈인과 교배한 이후에야 도착했.. 2025. 7. 4.
동물뼈 기름을 추출한 네안데르탈인 아무래도 사안이 사안이니만큼 주교 과학 매체들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동물에서 기름을 추출하는 공정을 알고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해서 기름을 뽑아 영양을 보충했다는 소식이 비중이 클 수밖에 없거니와 네안데르탈인이 운영한 12만5천년 전 '지방 공장', 독일에서 발견 네안데르탈인이 운영한 12만5천년 전 '지방 공장', 독일에서 발견노이마르크-노르트 유적서 기름 추출 뼈 조각 무더기 확인 독일에서 발견된 고대 동물 뼈 분석 결과, 네안데르탈인이 12만 5천 년 전 동물 뼈에서 기름grease을 추출하여 게걸스럽게 먹었을 가능성historylibrary.net 같은 소식을 전하는 아키올로지 뉴스 온라인 매거진판을 인용해 이 소식을 다시금 정리한다. 그만큼 이 사안은 중대성이 크기 때문이다. 네안데르탈인이 12.. 2025. 7. 4.
한국 청동기사회와 농경 이전에도 한 번 쓴 듯하지만 한국 청동기사회는 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우리 학계의 정설로 안다. 이런 결론이 내려진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에 대해 논박하자는 것이 아니고, 그렇다면 한국은 왜 같은 신석기시대에 중국에서는 이미 찬란한 황하문명이 싹튼 그 시대에 명색이 우리도 신석기시대라 이름 붙여 놓은 그 시대에 문명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도대체 왜 그렇겠는가 하는 의문이 있고, 여기에 대한 해답은 학계에서 생산해 주어야 한다. 청동기시대가 되어야 농경이 본격화한다. 도대체 왜 한반도에서는 그렇겠는가 말이다. 이것을 설명없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수십 가지 의문이 머릿속을 돌아다니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 [편집자주] *** 조 수수 기장이 나오는 수렵.. 2025. 7. 4.
농경사회로의 전이 좀 전에 김단장께서 올린 글에 대해 약간 부연한다. 왜 인간이 수렵채집단계에서 농경단계로 넘어갔는가 하는 것은 아주 오래된 주제이다. 당연히 농경으로 간다, 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면 당연히 연구할 것도 없다. 이미 다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기존 연구,특히 인류학자들은 인골에 대한 분석에서지난 수십년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렵채집단계에서 농경으로 넘어간 것은 단순히 농경 생활이 유복해져서가 아니라는 점은 계속 주장해왔다. 인류학적 연구 결과 농경민의 뼈에서 수렵채집민보다 더 생물학적 스트레스가 많고 심지어는 신장도 적어진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남은 가능성은 우리가 모르는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겠나. 그 원인을 찾다 보니 앞서 김단장께서 소개한 연.. 2025. 7. 4.
수렵채집에서 농경사회로의 이동은 자원부족과는 관계없다! 남미 안데스 산맥 고인골 분석 결과 식량원 차이 없어! 수렵 채집 사회hunter-gatherer-based societies에서 농경 사회로의 전환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로 꼽힌다.고고학자들은 인구 증가와 야생 자원 감소로 공동체가 작물 재배에 더욱 의존하게 되면서 이러한 전환, 곧 이동하면서 먹을 것을 찾는 방식에서 눌러 앉아 곡물과 가축을 기르는 정착생활이 일어났다고 오랫동안 생각했다.그러나 그런 통념이 통째로 잘못일지도 모른다는 연구결과가 투척됐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와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루이스 플로레스-블랑코Luis Flores-Blanco와 동료들이 오픈 액세스 저널 PLOS One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안데스 산맥에서 채집 생활을 대체하기 위한 농업.. 2025. 7. 4.
300년전 해적한테 털린 난파선 마다가스카르 앞바다서 발견 포르투갈 식민지 인도에서 보물 가득 싣고 귀향 중 나포 마다가스카르 앞바다에서 1721년 해적들에게 나포된 포르투갈 보물선으로 추정되는 난파선이 발견됐다고 난파선 전문 잡지 Wreckwatch 최신호를 인용한 라이브 사이언스가 4일(한국시간) 보도했다.수중고고학도들은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해적 습격 중 하나로 1721년 마다가스카르 인근에서 나포된 범선이 침몰한 잔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역사적 난파선 보존 센터(Center for Historic Shipwreck Preservation) 소속 미국 연구원들은 16년간 이 난파선을 조사 중이며, 현재 이 난파선은 인도에서 온 화물을 실은 포르투갈 선박 '노사 세뇨라 두 카부(Nossa Senhora do Cabo)' 잔해라고 추정된다.이 선박은 악.. 2025. 7.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