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146

로마는 여전히 1953년 오드리 햅번의 시대? 내가 노땅 행세 아무리 한대도, 또 가끔씩 로마의 휴일을 이야기하곤 하지만, 저 영화는 내 세대가 아니라 선친 세대다. 저 영화가 나온 때가 1953년 한국전쟁 종결하던 시점이니, 내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인 까닭이다. 그럼에도 내가 저 영화를 소비하면서 저를 잠시나마 이런저런 자리에서 불러내는 힘은 어린시절 주말을 명화에 말미암는다. KBS인가 MBC인가 매주말이면 외화 1편씩을 상영했으니, 그때야 저 영화가 언제적 만든 것인지 관심이나 있었겠는가? OK목장의 결투니 황야의 무법자니 하는 서부영화가 활개하던 시대에 권총 찬 존 웨인 흉내를 내기도 한 힘이 시간을 초월하는 그런 상영 때문이었다. 요새야 이 업계에서도 인디아나 존스조차 주말의 명화 시대로 접어들었으니, 그러고 보면 불과 반세기 전, 혹은 그.. 2023. 11. 11.
약밥의 기원 필자는 청동기시대 토기가 그안에 물을 부어 조리하는 방식으로는 밥을 만들수 없고 용기의 특성상 아마 밥을 쪄서 만들었을 것이란 가정 하에 곡물을 쪄서 만들어보는 실험을 몇 가지 해 보았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찐밥을 상당히 오래 먹어왔기 때문에 찐밥에서 뜸들이는 밥으로 전환하여 지금같은 밥 짓기가 정착했으리라 보고, 그 전환에는 무쇠솥 등의 발명이 관련이 있을 것이라 보았다. 막상 찐밥을 만들어 보니 결국 청동기시대 시루밥이 가능하냐 아니냐의 여부는 뚜꼉이 제대로 기능했느냐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지금도 먹는 "약밥"의 레시피가 사실 이런 찐밥 레시피와 같다는 것이다. 1. 찹쌀을 물에 불려 시루에 쪄낸다. (찰밥 짓기) 2. 쪄낸 쌀에 감미료,[3] 기름, 간장 등을 섞어.. 2023. 11. 11.
우중에 야경까지 담은 베네치아광장 트리아누스 원추 오늘 늘어지게 뻗었다가 이 친구 촬영하겠다 해서 오후 늦게 숙소에서 길을 나섰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 또 비가 퍼부었다. 다행히 장대비 쏟아지기 전이기는 했지만 영 촬영환경이 좋지는 아니했으며 무엇보다 주변이 온통 공사판이라 여건이 더 좋지 아니했다. 낮에 정밀촬영하고선 인근 베네치아미술관 들렀다 나서니 칠흑이라 마침 비도 그치고 야간 조명을 해서 다시 한 바퀴 돌면 야경을 담는다. 무슨 정신 나간 놈들인지 유적 드글드글한 이 베네치아광장과 인근 코앞이기는 하나 콜로세움을 연결하는 지하철공사는 그때나지금이나 변한 거 없이 온통 공사막이고 주변은 발굴과 복원으로 어지러우니 이 시대 최고신은 아시바 맞다. 이 친구는 로마시대사를 조각 혹은 부조라는 기법으로 증언하는 일급 사료 중 하나라 해서 로마사 기술에선.. 2023. 11. 11.
누룽지가 없는 시루 밥짓기 쌀을 냄비에 담아 밥을 지으면 아무리 잘지어도 바닥에는 탄 쌀의 층, 쉽게 말해 누룽지가 생긴다. 시루에 종이 (천)를 깔고 밥을 해 보니, 누룽지가 없다. 누룽지가 있어야 숭늉도 있을 거 아니겠는가? 누룽지와 숭늉은 쇠 솥이 없던 시절에는 맛보기 힘들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고 보면 누룽지와 숭늉은 삼국시대나 되야 한국인의 식단에 등장했을 수도 있겠다. 2023. 11. 10.
청동기시대 시루는 떡을 쪄내는 용도가 아니다 당연한 이야기일지 뭔지 모르겠지만 청동기시대 시루는 떡을 쪄내는 용도가 아니다. 청동기시대 시루가 나오는 것을 보고, 청동기시대 한국인 주식은 떡이라고 하는 주장도 봤는데, 그게 아니고 곡물을 씻어 적당히 불렸다가 쪄내면 거의 전기밥통 수준의 밥이 나온다. 생각보다 훨씬 밥이 잘 지어져 놀랐다. 필자 세대 사람들은 찐밥 하면 학생식당과 군대밥의 추억이 너무 강한데, 쪄서 먹어보니 시루밥은 그런 요즘 식 찐밥과는 완전히 달랐고, 오히려 고두밥에 매우 가까운 것이었다. 곡물을 잘 씻어 불렸다가 시루에 넣고 30분만 쪄보면 필자의 말 뜻을 알 수 있다. 이런 밥이 나온다는 것은 밥-반찬으로 이루어진 한식 포맷이 이미 청동기시대에 완성되었을 가능성을 뜻하기도 하는 것이다. 주식인 곡물밥이 완성되면, 부식을 준비.. 2023. 11. 10.
다음 테스트는? 잡곡을 쪄내기 필자의 다음 테스트는, 쌀 이외에 다른 잡곡도 쪄서 익겠는가 하는 것이 되겠다. 이를 위해 청동기 시대 작물인 조, 피, 수수, 보리, 기장, 팥 등을 쪄서 익혀 보겠다. 필자 생각으로는 청동기 시대 시루가 음식 조리 기구로 성공적으로 기능했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뚜껑이다. 뚜껑이 나오는 게 없다는 것은 그 뚜껑이 유기물이었다는 소리일 테고, 아마도 나무 뚜껑이었을 터이다. 나무뚜껑을 토기위에 엊고 적당한 무게의 돌을 얹지 않았을까? 이러한 작업이 테스트로 확인되면, 청동기시대 곡물은 어떻게 익혀 먹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지 않을까. 2023.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