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94

야요이시대 농경민 이주의 의문 어제 이름만 대면 알 만한 고고학자분으로부터 야요이시대에 관련된 사실에 대한 지도를 받았다. 최근 거의 정설이 되었다는 야요이시대 극초기(조기) 인구이동에 대한 도설이다. 첫 단계는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해안 일대 좁은 지역에서 일본열도로 이주민이 발생한다. 다음 단계는 보다 넓은 지역에서 일본으로 이주민이 발생하여 보다 풍부한 한국청동기문화가 이식된다. 여기서 관심의 대상은 벼농사를 가지고 건너갔다는 첫 번째 시기(유우스 1식)다. 이 시기에 일본에 처음 출현한 이주촌은 상당히 고도로 발달한 관개수로, 수전, 환호로 둘러싸인 촌락 등 완성형 도작 촌락이 처음부터 나오는 모양이다. 그러면 이러한 완성형 도작 촌락이 그 반대편 진주 일대에서 보이느냐.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관개수로, 수전, .. 2024. 12. 21.
인천 한국근대문학관 딱지본 소설, 한국문화 주역으로 세운다 “딱지본”을 아시나요? 1920년 전후부터 1970년대 말까지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했던 그런 소설. 딱지본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이번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의 기획전시는 개관 이래 최초로 소장자료만으로 구성한 전시입니다. 소장 중인 200여 권의 딱지본을 보실 수 있는 기회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찾아옵니다!이상 저 박물관 김락기 관장 전언이다.말한 대로 딱지본은 대중과 함께 울고웃은 문학이다.국문학계선 적지 않은 연구가 축적됐으나 그 실체를 제대로 맛 볼 기회가 적었다.아주 좋은 자리를 인천에서 마련해줬다. 2024. 12. 21.
한강 노벨상 획득은 국가의 간섭을 강화한다 나는 한강의 노벨상 문학상 획득 소식에 그것이 국가의 간섭을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신동훈 교수께서도 비슷한 맥락의 이야기를 짚으신다고 이해하는데, 저 자체가 쾌거임에는 분명하나 나는 저 흐름이 더욱 강화할 것을 우려한다.국가에 의한 간섭, 국가 통제에 의한 이른바 한류 지원은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또 언제까지 국민세금을 투입해 K문학 선전한다며 그것을 영어로 필두로 하는 각국어로 번역할 수는 없는 법이다. 꼭 일본 사례가 아니더라도, 이런 흐름은 유독 동아시아권에서 강한데, 일본이 그랬고, 한국이 따라가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실은 잘 드러나지 않으나 중국 쪽 움직임은 그야말로 거국적이어서 돈을 쏟아붓는다.중국 주요 저작물로 한국에 번역 소개가 많는데, 그 저작물 중 상당.. 2024. 12. 20.
은퇴가 목전이라면 반드시 들어야 할 노래 Left a good job in the city, Workin' for The Man ev'ry night and day, And I never lost one minute of sleepin', Worryin' 'bout the way things might have been. * Big wheel keep on turnin', Proud Mary keep on burnin', Rollin', rollin', rollin' on the river. Cleaned a lot of plates in Memphis, Pumped a lot of pain down in New Orleans, But I never saw the good side of the city, 'Til I hitched a ride .. 2024. 12. 20.
오스티아 안티카 그 자매 로마 항구도시 Area Archeologica dei Porti di Claudio e di Traianohttps://maps.app.goo.gl/7geJmm7WwU4nEMU97 Area Archeologica dei Porti di Claudio e di Traiano · Fiumicino, Metropolitan City of Rome Capitalwww.google.com이름이 상당히 길다.국내선 전연 생소한 현장이라 적절한 번역 대응어도 없다.저에 대한 영어 번역은 Archaeological Area of the Ports of Claudius and Trajan이쪽은 뭐건 이름이 길어 문제인데 그대로 축자 번역하면 클라우디우스 항구와 트라야누스 항구의 고고학 지역곧 클라우디스 트리야누스 항구 유적이라는 뜻.. 2024. 12. 20.
몹시도 씁쓸한 우크라 전장터의 북한군 처음엔 반신반의했으나, 굴러가는 양태 보면 북한이 러시아-우크라 전쟁터에 전투병대를 파병한 것은 확실한 듯하고,물론 이는 심리전 일환이기는 하겠지만, 그들을 사살했다는 장면을 우크라 쪽에서 공개한 장면들을 보면 실은 섬뜩하기만 하다.나아가 그 장면 하나하나에서 왜 러시아 원정에 나섰다가 떼죽음한 나폴레옹 군대가 오버랩하는지는 모르겠다. 물론 그 반대하는 양상, 곧 북한군에 의한 성과라는 것은 여러 정치 고려가 있겠으나 보이지 않지만, 그네들이라고 왜 없을까마는, 우리도 우크라군 죽였다? 이게 무슨 소용인가 싶기도 하다.북한 쪽에서야 여러 정치상황 국익 고려하고 해서 저 전장터에 총을 듣 군인들을 직접 보냈겠지만,그렇다고 이 엄동설한 저 전장터에서 저리 죽어가도 되는 정당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저들이.. 2024.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