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32 당쟁의 온상 재지사족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일본의 에도막부와 달리조선에는 향촌에 특별한 직역 없이도지주라는 경제적 기초, 사족이라는 최소한의 요건만 충족할 정도의 명예만 보장되면 대대로 사대부로 존재할 수 있는 계층이 광범위하게 존재했는데 이들은 현실적으로 중앙정부가 어떠한 세력에 의해 장악되는가 상관없이 향촌을 지배하면서 대대로 내려갈 수 있었다. 이들 재지사족이야말로조선후기 당쟁이 격화되면서 (필자 주: 필자는 이 시기의 정쟁을 붕당정치라는 이름으로 미화하지 않는다. 그렇게 정의할 수 있는 것인가 나름 면밀히 검토하였는데, 붕당정치라는 이름보다 당쟁이라는 이름이 더 정확하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세력간 싸움이 당대에 그치지 않고 대대로 몇백년씩 이어질 수 있는 사실상의 기초가 되었다. 얼핏 보면 지방.. 2024. 8. 23. 하타모토旗本 8만기 에도시대에 관한 글을 보다 보면, 소위 하타모토旗本 8만기라는 말이 나온다. 막번체제는 중앙에 막부가 자리잡고, 지방에는 막부 통제를 받으며 번이 지배하였는데, 번의 신하가 되는 사무라이가 바로 번사가 되는 것처럼막부의 신하에도 두 가지가 존재하였다. 첫째는 번주가 되는 영주 계급으로, 이들은 독립적 영토를 가지고 그 아래에 번사를 데리고 있었는데 막부에 대해 번사는 배신이기 때문에, 번사는 막부를 직접 상대할 수 없었다. 반면, 번주에 소속된 번사처럼 막부에 직접 소속된 사무라이들도 있었는데이들이 바로 하타모토다. 하타모토는 막부에 소속된 사무라이였기 때문에 신분상으로는 영주와 동일하였다. 영주 계급과 하타모토 차이는 전자는 번의 주인인데 반해, 하타모토는 번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들은 석.. 2024. 8. 23. 조선의 재지사족과 에도시대 사무라이 에도시대는 소위 막번 체제로서, 사무라이의 경우 그가 막부의 직할 무사가 되건 (하타모토), 아니면 1만석 이상의 영주(다이묘)가 되건, 영주에 귀속된 번 소속 배신(번사)이 되건 간에 어떤 형태든 소속이 있어야 석고제에 따라 먹고 살 수가 있었다. 쉽게 말해 직역이 없는 사무라이는 없었다는 뜻이 되겠다. 소속이 없는 끈떨어진 사무라이가 결국 낭인이 되겠는데, 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실업자가 되겠다. 이렇게 낭인이 한 번 되어 버리고 나면 다시 막번체제로 돌아가기 위해 공을 세울 기회만 노리고 정치적 혼란기에는 끊임없이 분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막번체제는 적극적으로 제거하고자 하였다. 반면 조선시대에는 출사하지 않아 직역을 받지 않고도 대대로 사대부 신분을 유지할 수 있는 이들이 지방.. 2024. 8. 23. 극심한 가뭄이 준 축복, 반세기 만에 전모 드러낸 스페인 스톤헨지 흔히 스페인의 스톤헨지Spanish Stonehenge라는 별칭으로 통하는 이 유적은 일전에 자세히 소개한 적 있다. 이 과달페랄 고인돌Dolmen of Guadalperal은 스페인 엑스트레마두라Extremadura 지역에 장엄하게 서 있으며 이집트 피라미드보다 오래 전인 7,000년 이상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 인상적인 기념물은 약 150개 커다란 화강암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는 높이가 2미터가 넘는다.비바람에 노출된 영국 스톤헨지와는 달리 고인돌은 1960년대에 생겨난 발데카냐스 저수지 Valdecañas reservoir 때문에 자주 물에 잠긴다.2019년 7월, 극심한 가뭄으로 50년 만에 처음으로 150개 돌이 모두 드러났고, 연구자들은 이 고대의 경이로움을 연구할 수 있는 희귀하고 .. 2024. 8. 23. 조선 양반님네들의 아주 좋지 아니한 버릇 책 앞장에 찍힌 전 주인의 장서인을 그냥 두지 않는다. 도려내고 문지르고...그것까지면 모르겠는데 그 자리에 자기 도장을 찍는다. 시간이 지나면 그렇게 덧찍은 인영印影도 사라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책이 거쳐온 역사는 깡그리 잊혀지고 마니, 이 어찌 매우 나쁜 버릇이라 하지 않을손가!사진은 안평대군이 원글자를 쓴 경오자를 본뜬 훈련도감 목활자본을 목판에 뒤집어붙여 새긴 복각판을 17-18세기쯤 인쇄한(복잡하지만, 금속활자>목활자본>목판본) 《주문공교창려선생집》의 일부. 솜씨가 좀 거칠지만 그래도 안평대군 글씨의 흔적이 간간이 보인다. *** editor's note *** 장서인을 없애거나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의 수는 많다. 가장 대표가 도둑질이다. 이때 도둑한 사람이 그 흔적을 지우고자 장서인.. 2024. 8. 22. [독설고고학] 전공이라는 폭력은 모른다는 고백을 후벼판다 내가 맨날맨날 내 친구 춘배를 놀리거니와 춘배는 못가본 곳만 골라서 넌 못 봤제 하고 후벼판다. 돌이켜 보면 넌 봤냐? 난 봤다만큼 훌륭한 무기 없다. 하지만 그 실상을 까보면 쭉정이 빈깡통이라 난 직접 가서 기념사진 박았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한국고고학 틈만 나면 혹독하게 까는데 솔까 그 까는 빌미는 지들이 초래했지 내가 만든 시나리오도 허상도 아니다. 지가 고고학했다 하면 적어도 고고학을 하지 않은 나 같은 사람들이 봤을 때 와! 진짜 넌 고고학도 맞구나 넌 다 계획이 있구나 하는 찬탄 추앙을 자아내야 정상 아닌가? 한데 그 꼬라지들을 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어 이건 뭐 고고학을 한 놈이나 안 한 놈이나 그 어떤 차이도 없으니 얼마나 한심한가? 그걸 나는 개돼지라 표현한다. 너희가 하는 일 개돼.. 2024. 8. 22. 이전 1 ··· 564 565 566 567 568 569 570 ··· 33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