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94

자수字數라는 압박에서 해방되는 그날까지 기자들은 대체로 자수字數라는 굴레를 벗어나고자 하는 열망이 있다. 자수란 글자수다. 같은 기자라 해도 이런 욕망은 신문 방송기자들이 더 격렬하다. 톱 기사라 해도 대체로 그 기사는 띄어쓰기 각종 문장 부호를 포함해 천자를 넘지 않으니 이 비좁은 틈바구니에 모든 걸 쏟아부야 하는 고통이 이만저만하겠는가? 그에 견주어 통신사 기자들은 상대적으로 그런 압박이 덜하다. 자수에 상대적인 자율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서 통신사 기자들이 그런 압박이 없는가 하면 상대성에서 비롯될 뿐 그 압박은 여전하다. 기자 출신들이 내는 책에 그래서 가끔 자수의 해방이 주는 안도감을 표출하는 대목이 있는 이유다. 태극기 게양과 현충원 참배라는 전대미문의 박근혜 추종 세력이 경영진을 장악하면서 그들에 의해 불가항력으.. 2023. 8. 3.
조선 왕비 가문과 사망원인, 그리고 승하 장소 총정리 이 표는 문화재 해설을 하는 이정연 선생이 일일이 정리했으니 그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이런 기초가 튼튼해야 함은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하나 유의할 점은 병인인데, 그 용어가 현대의학의 그것이 섞여 있어 논란이 있을 수는 있다. 이정연 선생 전언에 의하면 김호 교수 논문과 왕조실록, 이미선 교수 논문 등등을 참고해서 작성한 것이라 한다. #조선왕비 #조선왕비사망원인 #조선왕비사망장소 2023. 8. 3.
한나라 황제 무덤에서 뼈다구로 나온 판다곰 지금은 사천성 일대에 대나무 씹으며 서식하는 판다곰이 2천년 전이라고 뭐 크게 서식환경이니 뭐니가 달랐을 법하지는 않고, 그때도 있었으니 지금 기적처럼 살아남았지 않겠는가? 중국에서 패릉覇陵이라 해서 한漢나라 황제 문제文帝(재위 180~157 BC)가 묻힌 황제릉이 있어 이것과 주변 일대를 파제낀다는 소식은 이미 전한 적 있으니 그 소식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셨으면 하고 암튼 이번 조사를 담당하는 섬서성고고연구원陕西省考古研究院이 종래에는 “강촌대묘江村大墓”라 하고, 주인공이 드러나지는 않다가 근자 문제릉으로 확인된 패릉 주변을 팠더니만 이른바 제사갱이니 하는 것으로 불리는 구덩에서 동물뼈가 출토하고 그걸 분석했더니만 판다곰 뼈다구가 확인됐다고 한다. 이 giant panda skeleton, 곧 중국어로는.. 2023. 8. 3.
Preprint에 대한 오해 이번에 상온초전도체 논문이 Preprint라는 매체를 통해 소개되었는데 이 매체에 대한 이해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듯하여 조금만 보탠다. Preprint란 쉽게 말해서 침발라 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침을 발라놓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텐데 저자마다 사정은 다를테니 자세히 쓰기는 그렇지만, 가장 많은 이유 중 하나가 최근 연구 보고들은 경쟁이 격심하여 먼저 발표하여 선점권을 얻고자 하는 동기가 크다. 하지만 정식 학술지는 출판까지 시간이 걸리니 정규심사과정이 없는 Preprint에 먼저 글을 발표하는 것이다. Preprint는 심사과정이 없어 자기가 업로드 하고 확인하면 끝이다. 그러면 그 Preprint 논문에 대한 인용 서지가 발행된다. Preprint에 대한 오해 중 하나는 이것이 최종출판이라고 .. 2023. 8. 3.
표출된 모든 것은 저작권 보호대상이다 표절과 관련해 지인들한테서, 특히 이른바 직업적 학문종사자들한테서 이런 경향이 무척이나 강한데, 논문화하지 않은 것은 저작권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이상야릇한 궤변으로 무장한 이가 아주 많다. 저작권은 형태 불문이라 일단 표출된 것으로 나한테 창의적 빌미를 준 그 어떤 것도 저작권 보호대상이다. 글 쓰는 사람들한테는 모름지기 글이어야 보호대상이라 생각하겠지만 천만에. 내가 하는 말, 몸짓 발짓까지도 저작권 보호대상이다. 참고문헌이라 해서 그 참고문헌만이 인용대상?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이라 나를 깨워준 모든 것에서 내가 빚을 졌으면 그 근거를 철저히 밝혀야 한다. 논문쓰기 책쓰기 업계에선 사석에서 주고받는 말이 특히 중요한데 이걸 출처도 없이 마구잡이로 베껴쳐먹는다. 그런 아이디어를 2023년 8월 3일 .. 2023. 8. 3.
상온 초전도체 LK-99와 preprint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3/08/03/LRPINCEU4FG7PF3NE6VUZEA7SU/ 학계 “신물질 가능성 있지만...” 상온 초전도체 논란 Q&A 학계 신물질 가능성 있지만... 상온 초전도체 논란 Q&A 뜨거운 상온 초전도체 논란 6Q www.chosun.com 일회성 해프닝으로 끝날 것 같던 상온초전도체 문제가 연일 흥미로운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 필자는 이 발견이 사실인지 여부를 말할 능력은 없다. 내 전공도 아니고 따로 공부해 본 것도 아니기 때문. 다만 이 보고가 정식 논문 출판이 아니라 연구자 심사 없이 온라인 출판하는 사이트에 먼저 올라간 것을 생각 좀 해보자면. 이런 방식으로 출판한 것 자체는 이 물질이 진짜냐 아니냐에 영향을 .. 2023.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