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79

왜 유명한지는 도통 기억에 없고 제목과 이름이 참말로 있어 뵌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밀란 쿤데라 그제다. 어떤 자리에 지인들과 함께 있다가 디리릭 날아드는 소식을 보니 밀란 쿤데라가 가셨댄다. 쿤데라라. 이 양반은 이름이 참말로 독특해서, 일단 이름으로 한 수 먹고 들어갔다는 느낌을 준다. Milan Kundera. 뭔가 있어 보이는 이름 아닌가 말이다. 요새 이런 거물이 가셨다는 소식을 접할 때마다 매양 이리 묻는다. 쿤데라? 유명하다는데, 왜 유명하지? 그의 이름을 국내에 알린 선봉장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나는 이걸 영어판으로 익숙한 편이라,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라는 옮김으로 기억하고 찾아보니 실제로도 그렇댄다. 어찌하여 나는 이걸 영어판으로 기억하는지는 모르겠다. 한때 영문학 언저리 긁적거린 여파라 해 둔다. 그 작품이 히트하면서 다른 작품도.. 2023. 7. 15.
허영, 공허를 채우는 빈 자리 연배가 대략 나랑 비슷하고 고교생 아들을 둔 분들이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비참하지만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적을 것이외다. 애들 키운다고 고생하셨소. 이젠 우리도 허영을 채울 나이인 듯 하오. 갑시다, vanity fair로. 그 허영 채우는데 남녀노소 다 하는 영화 연극 뮤지컬이 있겠소만 그건 약발이 없소. 허영 채우는데 인문 교양 역사 만한 게 없습디다. 박물관도 가시고 문화유산도 가세요. 가서 맘껏 허영을 채웁시다. 이 아름다운 현장 못 보고 죽는 게 억울하지 않겠소? (2016. 7. 14) *** 저 말을 하는 내가 먹먹했다. 내가 그리 산 까닭이다. 허영은 나를 존재케 하는 이유다. 허영이 없으면 공허가 밀려든다. 21세기는 상업 측면에서 허영을 쟁투하는 전쟁터다. 이 전투에서 이겨 허.. 2023. 7. 14.
차기箚記와 발분發憤, 깊은 빡침의 절대 조건 훌륭한 글은 차기箚記에서 나온다 대개 논문으로 대표하는 전업적 학문종사자들은 명심 又 명심해야 할 점이다. 차기란 무엇인가? 메모다. 메모란 무엇을 위함인가? 발분發憤을 위함이다. 발분은 무엇을 위함인가? 기록하기 위함이다. 기록은 무엇을 위함인가? 이름을 남기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독서나 사색에서 문득문득 얻은 바를 항시라도 즉각즉각 메모해야 한다. 그런 메모는 항용 분류를 해야 하며 분류는 항용 키워드를 동반해야 한다. 뛰어난 글, 뛰어난 논문이 별것이 아니다. 이런 발분하여 문득문득 얻은 바를 집렬集列한 그것에 다름 아니다. (2014. 7. 13) *** 지인 중에 가끔 날더러 묻는다. 넌 왜 그리 아는 게 많은가? 웃음이 나와? 나보다 똑똑한 놈 몇이 된다고? 학문을 넘나들잖아? 이쪽 업계.. 2023. 7. 13.
두 가지 유형의 한문 고전 역주본 논어며 맹자니 하는 한문 고전 역주본으로 두 가지가 항용 필요한데 1. 간략본 2. 번삽본 두 가지다. 전자는 항용 휴대하며 외고 음미하기 위함이며 후자는 깊은 공부를 위함이다. 간략본은 주석을 최소화해야 하며 번삽본은 주석이 번삽하기 이를 데 없어야 한다. 주희가 대표하는 성리학의 소위 집주본은 번삽하기만 하고, 알맹이는 없으며 더구나 주석은 90%가 틀려서 씨잘데기가 하등에 없다. 후자를 대표하는 집주서가 중국 본토에서는 쏟아지기 시작했는데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가 기획하는 중화요적집석총서中華要籍集釋叢書가 내 보기에는 향후 20년 대세를 장악할 듯하다. 전자로는 중화서국이 기획하는 누런 딱지 페이퍼백이 있는데, 이것이 젤로 좋은 듯하다. 후자를 대표하는 성과로 앞서 말한 中華要籍集釋叢書 중 하나로.. 2023. 7. 13.
시간의 발명, 주기의 탄생 시간이란 요물이 있다. 나는 언젠가부터 이 시간이란 요물을 때려잡고 싶었다. 시간의 탄생은 주기周期의 발견에서 비롯한다. 지금 우리는 하루를 24시로 나누지만 100년전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건 개소리다. 그리고 하루를 오전 오후로 나누지만 오전 오후라는 말도 나는 적어도 전근대 문헌에서는 거의 보지 못했다. 그리고 우리는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1년을 구분하지만 이것이 과연 통시대 통간으로 통하는지 자신은 없으나 아마도 아닐 것으로 본다. 무엇인가가 무엇을 고리로 해서 무엇을 단위로 반복하는 주기의 발견이야말로 시간 탄생의 지름길일진대 이에서 年이 탄생하고, 달의 주기를 관찰함으로써 月이 탄생하며 日의 주기발작을 통해 하루가 탄생한다. 시간...이는 아마도 양놈 철학에서는 꽤나 많이 궁구한 주제로 알거니와.. 2023. 7. 13.
취미로 시작한 사진이 인생 조진다 갈파한 어느 기레기의 현재 사진, 취미로 대들었다가 인생 조지기 시작하는 망조는 날아가는 새를 보고는, 딱따구리 사진을 보고는 나도 저거 찌거 보고 싶다 하는 순간이다. 이 무렵부터 인생 꼬이기 시작해 600미리 렌즈를 찾기 시작하며, 화수분 같지 않은 돈이 화수분처럼 카메라로 빨려 들기 시작한다. 이혼장 받을 날 머지 않았다. 그런 불운을 멀리 하려거든 매일 새벽 허벅지에 바늘을 찔러야 한다. "난 이걸로 만족하다. 난 똑딱이 인생이 전부야." 라는 고요한 외침을 지긋이 하복부에 탑재하면서 말이다. (2014. 7. 13) *** 꼭 9년 전 오늘 내가 한 말이다. 이런 선지안적 깨침을 갈파하며 사진은 똑딱이나 찍어라 한 놈은 어찌 되었을까? #사진 #사진취미 #탐조 #새촬영 #인생조지기 #조진인생 2023.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