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6 《논어》는 공자 문도門徒 撰이나 《역주 논어》는 김태식 撰이다 撰이라는 말이 흔히 통용하기를 편찬, 창작에 가깝지만 중국에서는 고래로 자기 작품이 아닌 남의 작품을 편집하는 일도 이 말로 표현하곤 했으니, 이런 전통이 지금도 남아있다. 한데 이 말이 대체로 순수한 창작물을 선호해서 사용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중국 위진남북조 양나라 태자 소통이 자기집을 드나드는 문사들과 함께 묶은 시문 엔솔로지인 《문선文選》을 보면 판본에 따라 소통 撰이라 적은 일이 많거니와 이 대목에 고래로 문선 주석서가 옛날에는 순수 창작이 아닌 자료 편집 정리에도 찬 이라는 말을 썼다는 언급이 보이는 점이 그 한 증거다. 우리 지식인 사회에선 역주나 번역 같은 데다가 저런 식으로 그런 결과물을 찬이라 표현하는 일은 드물다. 나는 이것이 번역 역주에 대한 사회 전반의 아직은 낮은 평가와 .. 2022. 11. 9. 전세傳世기간이란 괴물 십년이 더 지난 얘기다. 당시까지 한국고고학계에 통용하는 전가의 보물 중 하나로 전세傳世기간이란 괴물이 있었다. 이건 유적 유물의 연대결정론과 밀접한데 예컨데 이런 것이다. 같거나 비슷한 시기에 같은 장인 혹은 비슷한 시기에 만들었음이 분명한 중국도자기가 중국과 한국에서 모두 나오되 중국에서는 그것이 해당 유적에 묻힌 시기가 명백한데 한반도 해당 유적은 그것이 도대체가 불명하면 중국 해당 유적에 견주어 한국해당 유적이 조성된 시기를 오십년 내지 백년 늦잡는 것이다. 내 기억에 중국 전한시대 동경을 출토한 창원 다호리 유적이나 경주 조양동 유적 편년을 이런 방식으로 했다. 내가 이 분야에 몸담기 시작한 17년전 이래 나는 이 문제를 집중으로 제기하면서 이르기를.. 이 등신들아, 수입품이 한반도 건너오는데 .. 2022. 11. 9. 2022 부여 부소산성 군창지 와적기단 시굴성과(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자문위 자료 원본 첨부 부소산성서 기와로 쌓아 만든 건물터 확인…"왕궁급 건물 추정" 김예나 / 2022-11-07 10:02:07 백제 대표 사찰·핵심 유적 등서 확인된 형태…"보존 잘 돼 있어" 부소산성서 기와로 쌓아 만든 건물터 확인…"왕궁급 건물 추정"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백제 사비 도읍기(538∼660)에 중심 산성이었던 충남 부여 부소산성 일대에서 기와를 쌓아 만든 기단을 갖춘 건물터가 확인됐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부여 부 k-odyssey.com 백제문화 구명에 특화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사비시대 백제의 배후산성으로 지목하는 부소산성 내부를 파제낀 모양이라, 이 구역에 대한 조사는 지난 세기에 간헐로 있었으니, 이번에는 본격으로다 파제낄 모양으로 그 워밍업을 했다는데, 그 워밍업을 고고학 조사에.. 2022. 11. 9. 모나리자 무엇을 담을 것인가? https://en.wikipedia.org/wiki/Mona_Lisa Mona Lisa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Painting by Leonardo da Vinci The Mona Lisa (; Italian: Gioconda [dʒoˈkonda] or Monna Lisa [ˈmɔnna ˈliːza]; French: Joconde [ʒɔkɔ̃d]) is a half-length portrait painting by It en.wikipedia.org 오늘 이 시간 현재 이 모나리자에 대한 위키피디아 표제 항목에 첨부한 여러 사진 중 전체를 담은 사진은 jpg 파일로 그 용량이 .. 2022. 11. 8.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이래 최극성기인 인문학 인문학 죽어간다 아우성이지만 나는 개소리로 치부하며 인문학 수요가 단군 이래, 아니 아푸리카에 수백만년 전 인류가 출현한 이래 지금이 울트라 극성기로 본다. 이 분출하는 욕구를 담아낼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인문학, 안죽어 죽은 적도 없고 죽을 수도 없다. 돈은 당신들이 벌어봐. *** 이상은 2014년 11월 7일에 뇌까린 글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저 생각은 변함이 없다. 그때와 달라진 것이라면 8년이 흐른 지금 나는 그 인문학을 가공 포장해서 비즈니스를 해야 하는 처지에 있게 되었다는 그것이다. 2022. 11. 7. 여전히 살아 있어 저자가 놀란《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 어느 분 포스팅인가를 보니 화랑세기 관련 출판 소식이 있어 살피니 그 필사본 존재를 부산 쪽에서 맨 먼저 알린 이태길 선생 역주본이라 이 역주본은 나중에 공개된 이른바 모본母本을 발췌했다는 그것을 토대로 삼은 것이니 아마 그것을 시대 감각에 맞게 재출간한 판형인 듯 싶다. 원문 영인을 첨부했다는 것으로 보아 그것이 틀림없을 것이로대 나는 그 판본을 복제본으로 소유 중이다. 그건 그렇고 내 성정이 워낙 어떤 하나에 진득이 매달리지 못해서 쉬 타다 이내 픽 스러지고 마는 솔갈비라 이 화랑세기도 천생 그러해서 발작적으로 가끔씩 미친 듯 매달리다가도 쉬 던져버리고 말았다. 내친 김에 혹 그 망각의 시절에 혹 화랑세기 관련 신간이 뭐가 있냐 들여다 봤더니 맙소사 종수가 엄청 늘어 이른바 대중을 위한 출판물이 제법.. 2022. 11. 7. 이전 1 ··· 207 208 209 210 211 212 213 ··· 4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