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65

일제 소행으로 굳은 송진 강탈의 신화 곳곳에 남은 이 상흔을 일제말의 공출 유산으로 보는 시각이 압도적이다.마치 쇠말뚝을 그렇게 보듯이 말이다.하지만 우리가 맞닥뜨리는 이 송진 채취 흔적 대부분은 해방 이후다. 사실 관계를 밝힐 수 있는 것은 밝혀야 하지만 잘못된 상식이 한 치 의문도 없이 통용되는 일은 막아야 한다.(2018. 7. 27)***이 문제는 입이 아프도록 지적했다.이럴 때마다 꼭 따라붙는 말..그렇담 일제가 잘했단 말이냐? 2020. 7. 27.
말벌과 쟁투하는 무진장 장수(3) 기차에서 조우한 김천 몇몇 지인 sns를 통해 이 소식을 접하기는 했더랬다. 이번달 KTX 잡지가 김천을 특집으로 소개했다는 그런 내용이었으니 물끄러미 보다가 그 표지로 내세운 마스코트를 보니 직지사 앞에다가 근자에 세운 오층목탑 야경이다. 이 목탁이 무슨 김천과 뚜렷한 인연이 있겠는가? 직지사만 해도 발굴조사가 제대로 이뤄진 적이 없어 석탑이 있었는지 목탑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지금 경내엔 석탑이 세 기인가 있는데 모조리 다른 데서 뽑아다 옮긴 것들이라 이곳과는 역사적 연관이 하등 없다. 그런 김천이 왜 이 목탑을 세우고자 했는지는 내가 알 바 없다. 다만 그 공사감리를 내 지인이 했고 아주 최근에 문을 열었다는 그것뿐이다. 이제 갓 태어난 목탑이 불현듯 김천의 상징으로 솟아난 것이다. 경관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 2020. 7. 27.
4대 성인 공통점은 야부리! 싯타르타, 공구, 소크라테스, 지저스(나이순. 단 첫 두 사람은 선후에 논란이 있음)... 아침에 예수님 말씀을 인용한 어떤 분 댓글을 달다가 생각했다. 가만 보니 이들은 모두 야부리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뚜렷한 직업이 없다. 오로지 야부리 풀어 성공한 사람들이다. 글쓰기도 귀찮다 해서 직접 글을 남기지도 않았다. 공자孔子 공구孔丘는 《춘추春秋》 등을 산정刪定했다 하지만 내 보기엔 새빨간 거짓말이다. 공구는 그 특징을 보건대 야부리의 전형이다. 나는 야부리는 못되겠다. 천부의 야부리 재주에다 저술도 꽤 되니 말이다. 한데 역사는 모호해서 오직 야부리만이 성공을 준다. 하긴 성철스님도 이 부류다. 예수가 직업없이 야부리로 살았다 했더니 어떤 분이 목수란다. 그 말 들은 듯 하다... 2020. 7. 26.
아시바가 이룩한 현재, 땜질 천국 문화재 이탈리아 곳곳에도 아시바 천국이다. 최소 수백살은 더 먹은 것들이 썩어 문드러지니 방법이 있겠는가? 땜질에 땜질을 거듭한다. 뭐 옛날이라 달랐을 법 한가? 한반도 사정을 보면 토기도 땜질 자국 천지다. 미켈란젤로 시스티나 예배당 성화? 웃기는 소리하덜 마라. 지금 우리가 보는 미켈 작품이 진짜 미켈 작품이라 생각하는가? 맹랑한 소리다. (2017. 7. 26) *** 한국문화재현장을 배회하는 원형은 실상 성립불가능한 환상 이요 신기루다. 함에도 없는 신기루 찾아 원형이 훼손되었네 마냐는 타령이 지금 이 순간에도 굿판을 벌인다. 원형? 있니? 실상 한국문화재가 말하는 원형이란 초창기 때 모습을 말하는데 이는 후대 보축수리 보강을 쓰레기 취급한다. 문화재란 무엇인가? 초축인가? 개소리다. 그것은 초축 이래 .. 2020. 7. 26.
[독설고고학] (3) 토기에 환장한 사람들 문 : 고고학 글에 왜 이렇게 그릇 설명과 그림이 많아요?답 : 무식해서 그래. 그릇 말곤 할 얘기가 없거든.문 : 고고학이 다 이래요?답 : 아냐. 한국이랑 일본만 그래.문 : 한국 일본만 왜 그런데요?답 : 무식해서 그래. 그릇 말곤 할 줄 아는 얘기가 없거든.   문 : 그릇이 그렇게 중요해요?답 : 몰라 그리 말하데? 저 놈들이 아직 20세기 21세기 역사는 손을 거의 안댔는데, 백년 지나면 아마 오늘날 우리가 쓰는 그릇 갖고 이 시대를 연구할 거야.문 : 그릇 그림들이 왜 그리 복잡해요? 정신이 없어요.답 : 안 읽히게 하려 해서 그래.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하면 지들이 할 일이 없다 생각해서 그래. 암것도 아닌 거, 그림 안 그려도 되는 것까지 그림 그려놓으면 괜히 있어 보이거든. 쉽게 하면 .. 2020. 7. 25.
피렌체에서 유럽이 특별히 좋아 찾겠는가? 피렌체에 내가 환장을 해서겠는가? 의무감이 더 강하다. 그렇다고 이것만 보고 죽어야 한다는 그런 일념도 아니다. 그런대로 이런 덴 발이라도 디뎌봐얄 거 같고 이런데는 눈대중만이라도 해둬얄 것 같은강박이 작동했다 하고 싶다. 이 유럽의 도시들. 관광과 연계한 문화재로 발전하면서 실은 도시는 생명을 잃어버리고 언제나 중세로 고정한 삶을 살아간다. 세계유산이 더욱 발전하면서 구심은 전부 박제화의 길을 걷는다. 주물한 이 도시들에 나는 금방 숨이 막힌다. 이 도시들을 볼수록 나는 매양 고즈넉한 우리네 산간 절간이 오버랩한다. 다녀보니 우리네 산하 같은 데가 없다. 이 지구상에서 오직 한반도만이 선사하는 특혜다 글타고 내가 우리를 새삼 발견하자고 해외를 싸돌지는 않는다. 뭐 그렇다는.. 2020.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