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267

조삼모사朝三暮四, 원숭이의 꿈 옛날엔 10월이 참 좋았다. 1일이 국군의 날이라 해서 빨간 날이었고, 때로는 추석연휴까지 찡가져서 더 그랬다. 전경련으로 대표하는 이른바 재계가 시월을 경멸해, 저 빨간 날들을 말살하는데 주력해 마침내 1일을 delete하고는 검은색으로 바꾸는가 싶더니 더욱 가열한 투쟁을 벌인 끝에 9일 한글날도 지워버렸다. 그러다가 감히 세종대왕을??? 하는 질긴 투쟁 역시 간단치 아니해서 이어령이가 없앤(혹은 적어도 없애는 데 동의한) 한글날이 기적으로 생환해서 오늘에 이른다. 올해는 추석이 빨라 9월로 일찌감치 도망하고그런대로 3일 개천절과 9일 한글날이 살아남아 주말에서 귀환했다. 젤로 기분 나쁜 것이 저리도 희귀하거나 희유한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일이니 그런 까닭에 저를 없애고자 다른 방식도 채택되어 대체 .. 2019. 10. 6.
노벨상 노이로제 *** 2016년 10월 4일 글이어니와, 시의성은 그대로이므로 그대로 전재한다. 노벨상 수상자 발표시즌이다. 도하 한국언론이 의학상에 일본인이 결정났다면서 일본이 3회 연속 수상자를 냈다고 한다. 노벨상을 국가의 범주에 넣어 그 수상을 국가의 경사로 삼는 나라는 후진미개국이다. 일본 의학자가 수상했지 일본이 수상한 건 아니다. 내가 알기로 노벨상은 해당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낸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지 국가와는 하등 무관하다. 한국이 노벨상을 못탄 적은 없다. 노벨상이 국적으로 주어진 적은 한번도 없기 때문이다. 유일한 노벨상(평화상) 수상자 김대중은 그가 우연히 한국 국적 개인이었을 뿐이다. 한국의 현대사가 그 수상을 배태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한국이 수상자일 수는 없다는 사실은 하늘이.. 2019. 10. 4.
학문은 기조강연과 토론좌장에서 생명이 끝난다 이른바 학자 혹은 연구자라고 일컫는 사람들, 이를 막스 베버는 직업적 학문종사자라 이름했거니와, 내가 수십년간 이들을 지켜보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종합토론사회 혹은 기조강연하기 시작하면서 실상 그 생명이 끝난다. 첫째, 토론사회와 기조강연은 각주을 달지 않고 인용을 하지 않지 않기 때문이다.둘째, 이제 똑같은 소리는 그만 되풀이하시고 물러나세요라는 뜻인 까닭이다. 사회 전반의 노령화 추세와 더불어 직업적 학문종사자 역시 연구 생명이 언뜻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하지만 이들이 종합토론사회와 기조강연을 하기 시작하는 나이를 보면 대체로 50 즈음이다.따라서 직업적 학문종사자 활동 상한 연령은 50이라고 보아 대과가 없다. 따라서 저네들을 대표한다고 할 만한 대학 교수들을 기준으로 할 때 저네들은 .. 2019. 10. 3.
금동신발 vs. 동탁은잔, 청산해야 할 문화재교육의 적폐청산 July 7, 2017 글이다. [금동신발] 이게 백제 신라권에서는 자주 소개하는 유물이다.혹 이들 유물을 마주하고 선 사람들이 가장 자주 던지는 질문이 무엇인줄 아는가? "저거 진짜로 싣었어?" [동탁은잔]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에 전시 중인 유물로 그 문양이 아름답기 짝이 없는 동탁은잔..그것을 마주하고 선 관람객들이 가장 자주 던지는 질문이 무엇인 줄 아는가? "저거 뭐하던 거지? 술잔인가?" [대웅전] 국내 사찰에는 거의 빠지지 않는 대웅전. 그 안내판에는 한결같이 이렇게 되어 있다. "이 대웅전은 전면 5칸 측면 3칸으로 임란 직후 광해군 때 중건한 것이다. 다포식이며 블라블라...수리하여 오늘에 이른다" 자...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 어떤 금동신발 안내판에도 저것이 명기의 일종이며 실생활에서는.. 2019. 10. 1.
우리가 이 꼬라지가 된 까닭은 오로지 외세 때문 외우 신동훈 박사가 지적한 말과 같은 궤를 탄다. 조선왕조, 혹은 대한제국이 하필 외세인 일본에 멸망한 일은 우리에 대한 성찰을 시궁창으로 밀어내어 버렸다. 그들이 망한 것은 오로지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에서 말미암았다는 지적은 한쪽만 정당할 수 있다. 구한말 지식인들에게는 그런대로 원시적 형태의 내적 성찰이 있었다. 단재 신채호가 대표적인데 그는 조선사회 내부를 향해서도 갖은 독설을 퍼부었다. 한데 시간이 흘러 60년대 70년대를 지나면서 이런 내적 성찰이 실은 식민지성 당파성론이라 해서 급속도로 금기의 영역으로 밀려나게 되어 그런 생각이 지금도 한국사회를 지배한다. 이것이 실은 타율성론의 다른 버전이다. 이런 과정에서 조선왕조 혹은 그 정점에 있던 고종과 왕비 민씨는 점점 지고지순한 피해자로 둔갑한다... 2019. 9. 30.
사적 지정을 위한.. 여러번 말했지만 사적 지정을 표방한 문화재계 학술회의가 요새 붐을 이룬다. 나는 이를 문화재를 바라보는 시각의 드라마틱한 변화의 한 증좌로 거론했다. 문화재를 이용하려는 시대 흐름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데 이 사적 지정이 결코 녹록치 않다. 문화재청에서 지정 방침을 바꾸어 그 이전에는 강제로 지정하곤 했지만, 잦은 민원 발생 이유를 들어 해당 문화재보호구역만이 아니라 그 주변 일정 범위까지의 버퍼존까지 해당 토지 및 건물 소유주 동의를 받도록 강제했기 때문이다. 사적 지정이 결정적으로 난관에 봉착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이다. 이 때문에 사적지정을 추진하는 지자체 공무원들은 도장 받으러 다니기 바쁘다. 하지만 도장 쉽게 찍어주나? 문화재청이 이리 바꾼 곡절도 있다. 하도 난리 블루스를 추기 때문이다.. 2019.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