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77 밖을 봐야 보이는 안 이 산하가 시리도록 아름다운 줄은 내가 비로소 우리한테 없는 그 무엇을 우리밖에서 보고나서 알기 시작했다. 중국 무협영화 배경이 되는 산하가 중국에 가서 보니 컴터 그래픽은 아니었다. 툼 레이더스 배경이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에 실제로 있더라. 주라기 공원 배경인 폭포 역시 가상세계가 아님도 라오스 가서야 알았다. 이런 경험들을 통해 나는 비로소 경주가 시리도록 아름다운 도시임을 알았다. (2025. 10 11) 2020. 10. 11. 오보와 가짜뉴스 둘은 다르다. 목적성이 개입하느냐 아니냐가 둘을 가르는 절대 준거다. 오보는 목적성이 없다. 여러 이유로 오보가 발생하며, 이 오보는 기자에겐 숙명과도 같아 글쓰기에 비유하면 오타다. 오타는 내고 싶어 내는 것이 아니다. 가짜뉴스는 자신이 노리는 목적 아래 팩트를 조작한다. 그렇다면 오늘 하루죙일 달군 윤석열의 김학의 별장 출입이라는 모 언론보도는 오보인가 가짜뉴스인가? 돌아가는 꼴 보니 오보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 보도를 접하고 그 보도를 읽어보니, 이 기사는 기사로서는 모름지기 갖추어야 하는 요건을 모조리 결여했다. 제정신이라면 이런 팩트로는 이런 보도 못한다. 대체 무슨 정신으로 그 언론이 이리 보도했는지 나는 도통 감조차 잡히지 않더라. 이런 식의 취재는 제정신인 부장, 제정신인 편집국장이면 .. 2020. 10. 11. 진퇴유곡, 하지만 학력제한은 철폐해야 하며 책 증정 전통은 없애야 한다 1. 나는 학력 제한 철폐주의자다. 생명을 다루는 의학과 같은 고도의 자격증을 요구하는 분야를 제외하고는 무엇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박사학위를 요구하는 시스템, 혁파해야 한다고 늘 주창했다. 한데 이 목소리를 더 크게 낼 수는 없었다. 내가 박사학위 소지자가 아니므로, 저런 말 하면 지 욕심 때문이라고, 지가 뭔가 한자리 하고 싶어서 저 지랄한다고 지레 생각했기 때문이다. 박사학위랑 교육 혹은 연구능력이 비례하는 건 전연 아니다. 이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나는 대학교수 채용조건에 박사학위 내걸고 무슨 프로젝트 수행에 박사학위 책임연구원 내거는 이 따위 제한 철폐해야 한다고 본다. 내가 언젠가 혹여 박사학위 따는 날 이런 얘기 하고 싶었지만 그럴 가능성이 없어 그만한다. 2. 공짜 책은 우리 사회에.. 2020. 10. 10. 언론한다는 것 논란이 첨예한 사안에서 어느 일방만 불러다가 인터뷰하는 일을 언론한다고 하지 않는다. 그건 대변인지 언론이 아니다. (2019. 10. 10) *** 이런 꼴이 최근 들어 너무 자주 벌어지는데 이른바 진영논리에 따라 한쪽 말 듣고싶은 말만 듣는 까닭이다. 언론 혹은 기자 제아무리 욕해도 이런 짓은 차마 하지 않는다. 한쪽 말만 듣는 일은 프로퍼갠더다. 더 등신같은 놈들은 그 한쪽 얘기만 듣고 박수갈채하는 놈들이다. 2020. 10. 10. 오늘을 비추는 거울? 역사왜곡의 주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 과거는 오늘을 비추는 거울. 실천역사학.. 역사를 망친 주범들이다. 과거와 현재를 혼효하여 과거에 현재를 쑤셔박고 현재에 과거를 투입하는 역사읽기는 환영illusion이다. 이런 경향은 근현대사 전공자들에게 노골로 드러난다. 21세기 역사학은 이러한 개입 욕망과의 전투가 되어야 한다. 자칫 실증주의로의 회귀가 될 함정도 있기는 하다만.. (2014. 10. 8) *** 따라서 모든 역사는 현대사 혹은 당대사라는 베네데토 크로체 Benedetto Croce(1866~1952)는 틀려야 한다. 그를 추방할 때다. 2020. 10. 9. 忠과 孝, 균열하는 일심동체 임진왜란은 결코 忠과 孝가 합치할 수 없음을 명백히 보여준 사건이었다. 집에선 부모한테 효도를 잘해야 임금한테도 충성할 수밖에 없다는 유교윤리 2천년 역사가 여지없이 무너졌다. 孝와 마주한 忠은 고양이 앞 쥐와 같았다. 忠은 처절하게 패배했다. 그렇다고 孝 역시 일방적 승리를 구가했는가? 孝 역시 타격이 적지 않아 자체 분열을 일으켰으니 왜적 앞에선 부모 버리고 마누라 자식 그리고 애첩 챙기느라 여념이 없었던 것이다. 이 민감한 변화를 조선의 지식인들과 권력은 알았다. 그걸 가장 민감하게 캐취한 이가 내가 보는 한 우암 송시열이었다. (2017. 10. 9) 2020. 10. 9. 이전 1 ··· 317 318 319 320 321 322 323 ··· 4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