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WS & THESIS3494

폼페이 그 비극의 순간에도 보석만은 꼭 쥐고 죽은 여인 The skeletal remains of a man and a woman have been unearthed in Pompeii, along with their treasures. Apparently, the couple had been trapped in their bedroom. The woman was found holding coins and jewelry 끝까지 재산은 지키고 싶었을까? 목숨이 경각에 달린 그 순간까지도 말이다. 부부로 보이는 남녀 한 쌍이 서기 79년 베수비오산 폭발로 매몰한 로마 도시 폼페이에서 유골 상태로 발견됐다는데보물을 끌어안고 있는 모습이라 한다. 폭발 당시 이들은 침실에 갇힌 상태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여자는 동전과 보석을 쥔 채로 발견되었다고.돈이 뭐라고?.. 2025. 4. 1.
천년 왕릉을 지키고 선 돌 사람 Stone figure from the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 of Sill\a Kingdom, Gyeongju King Heungdeok is as follows from wikipedia(http://en.wikipedia.org/wiki/Heungdeok_of_Silla)Heungdeok of Silla (777 - 836) (r. 826–836) was the 42nd ruler of the Korean kingdom of Silla. He w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Heondeok. He was married to Queen Jeongmok, the daughter of King Soseong. Upon rising to the thron.. 2025. 3. 30.
3D 스캔 미라가 살려낸 람세스 2세 꼭 이게 아니더라도 저 람세스 2세 할배 얼굴은 많다.미라가 아주 잘 남았기 때문이다.한데 이참에 좀 더 과학을 가미해서 절 할배 얼굴을 복원했으니 저 모습이랜다.세배 드리면 용돈 좀 찔러줄 듯한 인자한 할배 같지만 글쎄다.저 할배 음흄하기가 고구려 장수왕 뺨친다.저 람세스2세 얼굴은 저 모습을 왔다갔다할 수밖에 없으니, 워낙 왕위에 오래있다가 아주 늙어서 죽었기 때문이며, 그 모습이 남았기 때문이다. 암튼 저 할배 권력, 정복, 신성한 통치의 상징처럼 통용했다.이집트 전사 왕이자 제국과 사원을 건설한 사람이었고 살아있는 신으로 군림했다. 법의학 전문가와 현대 얼굴 재구성 기술 덕분에 저런 모습으로 환생했다.미라화한 두개골을 자세히 스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와 같이 재구성했다.깊숙이 들어간 눈, 튼튼한 .. 2025. 3. 30.
보호각이 불상을 죽였다 예상대로 의성 관덕리 석조보살좌상은 결국 문화재 보호각이 불상을 죽인 것으로 드러났다.오늘 현장을 다시 찾은 이천호 선생 조사에 의하면 이 석불은 이번 의성 산불에 그 보호각이 불이 옮겨붙어 폭삭 주저앉는 바람에 산산 조각났다.조각들은 붕파 전에 찍은 사진들과 조사 자료 등을 토대로 어느 정도 복원은 가능하겠지만 적지 않은 상흔을 안았다.같은 구역 삼층석탑은 방염포를 설치하긴 했지만 보호각이 없어 외려 화마를 피한 것으로 드러났다.근처는 나대지라 아예 불길조차 가지 않았다..따라서 불상 보호각은 그 자체가 불길을 잡아당긴 것으로 나타났다.보호각이 없었으면 피해가 없었을 거란 뜻이다.문화재 보호한다고 만든 보호각이 문화재를 죽인 이 역설을 어찌 설명할 것인가? 첨부 사진 저작권은 모두 이천호 선생에 속한다.. 2025. 3. 29.
민화는 단 한 점도 없는 민화전, 그 안경을 벗으면 살롱이 보인다 "민화는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온 생활 습속에 따라 제작한 대중적인 실용화이다. 일반적으로 민속에 얽힌 관습적인 그림이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사회의 요구에 따라 같은 주제를 되풀이하여 그린 생활화를 말한다. 대체로 비전문가의 작품이지만 직업화가가 그린 것도 있다. 무속·도교·불교·유교 등 종교 관련 그림이나 장식용 그림이 많다. 민화에는 순수함·소박함·단순함·솔직함·직접성·무명성·대중성·동일 주제의 반복과 실용성·비창조성·생활 습속과의 연계성 등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민화라는 용어는 민화의 아름다움에 반한 일본인 야나기가 맨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민화라는 표제 항목을 설정하고서는 이리 말한다. 그러면서 더욱 간단히는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 2025. 3. 28.
소나무와 헤어진 시대, 새로운 경관을 고민할 때 앞서 나는 이제 소나무와 헤어질 결심을 할 때라는 말을 했다.슬프게도 기후변화 시대가 더욱 급속히 그리 몰아간다. 한국의 산사 혹은 한국의 정원이라면 주변으로 우거진 송림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지만, 이젠 양립할 수 없는 시대다. 그렇다고 소나무를 살릴 수도 없는 노릇이라, 결국 소나무를 포기해야 하는 압박을 더는 거스를 수 없다. 이를 상징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하회마을·병산서원에 각종 장비 들어서…인접 지역 벌목도 | 연합뉴스(안동=연합뉴스) 황수빈 기자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북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을 산불로부터 지키기 위해 대형 화재에 사용하는 각종 장비...www.yna.co.kr 보도에 의하면 여러 기관과 협의한 끝에 당국은 병산서원 존덕사 뒤편 나무를 베어내기로 했다 하며, ..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