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7 인신공희 그 피나는 역사 <상나라 정복翦商> translated by 홍상훈 역자 후기에서 그동안 알고 있던 문왕과 강태공, 주공, 공자는 조작된 허상에 지나지 않았다! 고공단보古公亶父부터 계력季歷, 문왕에 이르기까지 주족周族은 상나라에 예속된 상태로 동족인 강족羌族을 사냥하여 상나라의 제사에 쓰일 인간 희생으로 바치면서 굴욕적인 삶을 살았다. 그 와중에 계력과 문왕의 장자 백읍고伯邑考가 인간 희생으로 바쳐졌고, 심지어 문왕과 다른 자식들은 백읍고의 살로 만든 육장肉醬을 먹어야 했다. 도덕적이고 인자한 성왕으로 알려진 문왕은 알고 보면 비정한 인간 사냥꾼이었고, 그 자신이 유리羑里의 토굴에 갇혀 인간 희생의 후보자가 되었을 때는 인육을 먹고 와신상담하며 반역을 준비했던 효웅梟雄이었다. 죽음의 위기를 넘기고 돌아와 자기 저택의 비밀 토굴 속에 숨어 몰래 편찬한 《역경》은 단순한 점.. 2024. 2. 8. [백수일기] 하루를 보내는 방법 늘어지게 잔다. 언제까지? 밥줄 때까지다. 언제까지인가? 대체로 정오가 가까워오는 무렵이라, 이때 식사를 아점이라 한다. 백수가 하루 세 끼를 먹을 수는 없다. 자연스레 앵겔지수를 높이는 일을 막아야 한다. 일거양득이다. 아점을 먹고선 또 잔다. 왜? 잠이 잠을 부르는 까닭이다. 그래서 잔다. 보통 서너시에 일어난다. 그러고선 나간다. 저녁 사준다는 자리로 간다. 이리 되면 하루가 만사형통이요, 하루가 만사형통이면 한달이 만사형통이요 한달이 만사형통하면 일년이 만사형통이다. 2024. 2. 8. 충효 말고 구할 게 없다? 친일파 이윤용의 글씨 "모든 일은 충효 바깥에서 구하지 않는다[萬事不求忠孝外]!" 좋은 말이다. 헌데...그 말을 붓으로 적은 이가 누군가 하니 '90을 바라보는 늙은이 이윤용李允用'이란다. 이윤용, 이윤용이라... 누군가 하여 찾아보니 이완용의 형(친형은 아니다. 이완용이 양자로 들어간 이호준의 서출 아들)이다. 우리가 다 아는 그 매국노 이완용 맞다. 그 형 되는 이 사람도 동생 못지않은 친일파였다. 더 흥미로운 건 그 장인이 '조선 근대의 괴걸' 흥선대원군이었다는 사실. 이보시오, 대감. 다 좋은데, 대감이 하실 말은 아니지 않소? ㅡ 이 글씨를 보여주고 포스팅을 허락해준 소장자께 감사의 말을 올린다. 2024. 2. 8. 내가 있건 없건 잘 돌아가는 세상 자기 일에 대한 긍지가 강한 사람일수록 자신이 없으면 세상이 망하는 줄 안다. 그런데-. 사실 그렇지는 않다. 어쩌면 당신이 더 잘 될 세상을 앞에서 막고 있었을 수도 있다. 젊은 친구들이 미덥지 않다고 하지만 그 친구들이 사실 당신 때문에 더 발전을 못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긴가민가 하다면 한 번 슬쩍 일년만 일에서 빠져봐라. 아마 그래도 잘 돌아갈 것이다. 그때가 바로 그 일을 접을 때다. 앞에서 자기가 가로 막고 있으면서 빨리 자신을 밟고 나갈 후진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말 하지 마라. 한가지 위안은 뭔가 하면, 그렇게 정리하고 세상에 뭔가 도움이 되는 일이 더 없을까를 찾아보면 의외로 다른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이 이전에 있었던 일에 대한 집착 때문에 보이지 않았을 뿐.. 2024. 2. 8. 양규와 흥화진, 겸직을 허용한 고려사회 고려사절요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원년(1010) 11월에 이르기를 신묘일에 거란 군주가 스스로 보병과 기병 40만 명을 거느리고 의군천병義軍天兵이라 호명하며 압록강을 건너와 흥화진興化鎭을 포위하였다. 순검사巡檢使인 형부낭중刑部郞中 양규楊規가 진사鎭使인 호부낭중戶部郞中 정성鄭成, 부사副使인 장작주부將作注簿 이수화李守和, 판관判官인 늠희령廩犧令 장호張顥와 더불어 성문을 닫고 굳게 지켰다. 이 흥화진은 둔전이 기반인 최전방 기지라, 제2차 고려거란전쟁 당시 성종이 친정하고, 소배압이 총사령관을 맡은 가운데 고려 경내로 들어와 첫번째로 들이친 곳이다. 한데 이곳을 방비하는 고려군 수뇌진이 죽 나열되었거니와, 이 흥화진은 행정구역이면서 군단인 까닭에 이곳에는 본래 그 우두머리가 있어 이를 진사鎭使라 했으니, 使.. 2024. 2. 8. [제3차 고려 막부정권] (3) 강조의 실패를 새긴 쿠데타 주역들 이 3차 막부정권 수립 전야 군사 쿠데타 수뇌진이 누군지는 같은 고려사절요 해당 사건 기술에 명확히 드러나는데 상장군 김훈과 최질, 그리고 박성朴成·이협李恊·이상李翔·이섬李暹·석방현石邦賢·최가정崔可貞·공문恭文·임맹林猛이 그들이라 저에 의하면 이들은 땅(영업전)을 빼앗은 일을 가지고 여러 사람의 분노를 격화시켰으며, 여러 위衛의 군사들을 꾀어내어 북을 치면서 소란스럽게 궁궐[禁中]로 난입하고서는 장연우張延祐와 황보유의皇甫兪義를 포박하고 매질하여 거의 다 죽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왜 하필 장연우와 황보유의가 표적이었을까? 이어지는 기술. (이들이) 합문閤門 안으로 들어가 면전에서 호소하기를, “황보유의 등이 우리의 토지를 점탈한 한 것은 실로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지 조정[公家]의 이익을 위한 것.. 2024. 2. 8. 이전 1 ··· 1279 1280 1281 1282 1283 1284 1285 ··· 36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