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7

양원정閬苑亭, 고려시대 동물원 고려사 본기와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현종 즉위년인 1009년 2월에 교방敎坊을 파하고, 궁녀 1백 여 인을 풀어주는 한편. 양원정閬苑亭을 허물고 진기한 길짐승·날짐승·어류[珍禽奇獸龜魚之類]를 산과 못에 놓아주었다고 했거니와, 이 양원정이라는 데가 동식물원과 수족관을 겸한 시설임을 안다. 저 양원정은 구체 양상이 어떠한지는 알 수 없어, 그 명칭 풀이로 그 성격을 가늠할 수밖에 없으니, 위선 음을 【당운唐韻】에선 來와 宕의 반절, 【집운集韻】과 【운회韻會】, 【정운正韻】에서는 郞와 宕의 반절로 음은 량浪이라 했으니, 소리는 량임을 본다. 그 의미에 대해 【설문說文】은 門高也라 했으니 솟을대문임을 알겠지만, 그 솟은 데는 광활한 빈 공간이라 그런 까닭에 다른 의미로 空虛也라 했다. 【관자管子·도지편度地篇】에 .. 2024. 2. 10.
강민첨, 활쏘기 말타기도 못한 서생 출신 대장군 강민첨姜民瞻은 진주晉州 강씨라, 강감찬과 본관이 같고 무엇보다 활동연대도 겹친다. 또 같은 서생 출신으로 이른바 귀주대첩에서 대승을 이끈 전쟁 영웅이다. 강민첨은 전쟁 영웅인 까닭에 고려사와 절요에는 죽은 시점이 명확히 보이니 1021년, 현종 11년 11월 12일 계미癸未가 그때라 이르기를 “지중추사知中樞事이면서 병부상서兵部尙書인 강민첨姜民瞻이 졸卒했다”고 해서 현직 상태에서 죽었음을 본다. 각종 사전에는 그가 광종 14년, 963년 진주에서 원윤 벼슬을 지낸 아버지 강보능姜甫能과 거창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그 근거가 아마 진주강씨 족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를 믿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고려사 그의 열전에는 그가 목종(재위 997~1009) 시대에 과거에 급제했다는 기록이 있을 .. 2024. 2. 9.
겁없는 공대생들이 AI로 읽어냈다는 헤르클라네움 파피루스 문서 서기 79년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로 묻힌 도시 중에서는 현재까지 폼페이와 더불어 헤르쿨라네움Herculaneum이 그런대로 발굴이 이뤄졌으니, 후자는 현지에서는 에르콜라노 Ercolano라 부르는 곳으로 이곳에서는 파피루스 저택Villa dei Papiri/Villa of the Papyri 이라 일컫는 곳이 있어 글자 그대로 파피루스 문더머미가 다수 발견된 까닭에 이런 이름을 얻었다. 다만 이 문서는 워낙 부식 상태가 극심해 두루마리 상태를 펼치기도 힘든 실정이라, 그 텍스트를 어찌하면 많이 읽어낼까 하는 챌린지대회가 열리는 모양이라, 올해 대회 그랑프리 수상자는 놀랍게도 대학생과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팀이 선정되었다 한다. 이 일이 주는 교훈은 딱 하나다. 노땅들은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겁없는 젊은.. 2024. 2. 9.
[제3차 고려 막부정권] (7) 달래야 하는 군인들 막부를 타도한 현종은 1015년 4월 서경에서 개경으로 귀환한다. 시급한 과제는 막부 이전으로 사회를 돌리는 일이었다. 같은해 7월, 막부 최고기구인 금오대金吾臺를 혁파하고는 사헌대司憲臺를 두었다. 이 사헌대는 조선시대 사헌부랑 거의 역할이 같을 것으로 본다면, 간쟁을 담당한다고 하지만 실제는 사찰에 가까운 기구였다. 그렇지만 드러난 불만을 막부를 타도했다 해서 방치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같은달 도병마사都兵馬使 제안에 대한 응답 형식을 빌려 장군 정신용鄭神勇과 임영함林英含, 그리고 그 수하 병사 1만2천500여 명이 모두 변경에서 공적이 있다 해서 그 자급資級을 하나씩 올려 포상했으니, 돈이 얼마나 더 들어간 일이었겠는가? 그러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이 있었다고 봐야 하며 이런 식으로 막부를 타도한 보.. 2024. 2. 9.
거란지패, 미유여차지심[契丹之敗, 未有如此之甚] 거란∨지패 / 미유 ∨ 여차 ∨ 지심 정도로 읽어주면 되겠다. 이건 하도 인구에 회자하는 명문이라, 이 정도는 기냥 저 한문으로 외워두면 와! 똑똑하다는 소리 듣기 십상이니, 독자들은 참고해주셨으면 싶다. 뜻 풀이도 쉬워서, 거란의 패배가 이토록 심한 적은 일찍이 없었다는 뜻이다. 고려사 권94 열전 권 제7 제신諸臣 강감찬 전에 보이는 한 구절이라, 이른바 귀주대첩 승리를 이렇게 묘사했다. 이 장면을 작금 방영 중인 kbs 대하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이 어떤 식으로 묘사할지는 모르겠다. 이 드라마는 내가 몰아보기는 하는 방식으로 시청 중인데, 그 첫 회분 첫 장면을 보고서는 와 우리 공중파 역사드라마도 이젠 이렇게 전투장면을 연출하는 시대가 왔구나 하고 찬탄했으니, 그런 식으로 묘사되지 않을까 한다. 제3차.. 2024. 2. 9.
지도 밖의 서울: 서울은 어디인 걸까 몇 년 전 유행한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는 ‘해방’과 ‘추앙’이라는, 강렬한 단어를 우리에게 남겼다. 사람 입에 오르내린 추앙이라는 단어를 들으며, 나는 이 단어가 일상생활에서 쓰인 적이 있었던가 하고 몇 번이나 생각해보기도 했다. 그만큼 많은 사람이 일종의 밈처럼 드라마 속 구씨의 말을 인용하곤 했다. 경기도민의 마음을 대변한 그것, 계란 노른자와 흰자 드라마가 나온 지 벌써 몇 년이 지나서 두 단어가 기억 속에 희미해져가지만, 그럼에도 이 드라마는 여전히 최근 뉴스에서 언급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그 이유는 ‘서울의 바깥, 경기도에 사는 사람’의 마음을 잘 그려냈기 때문일 것이다. 경기도도 서울로 편입될 수 있다는, 이른바 메가시티 서울의 그림을 연일 정치권에서 쏟아내면서 이 드라마를 예.. 2024.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