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7

김천 섬계서원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 원허비 경북 김천시 대덕면 조룡1리 섬계서원 경내에 세운 백촌 김선생 원허비라. 보니 전액은 승지 순천 박씨 종현이 쓰고 본문은 통훈대부 행 지례군수 안동 김씨 누가 썼다 한다. 본문을 보면 원래 섬계서원 자리엔 백촌 선생을 제향하는 섬계사라는 사당이 있었다 하거니와 금상 병인년에 조령으로 훼철되니 여러 후손이 그 황폐함을 차마 보지 못하여 그 자리에 설단하고 그 내력을 기록했다 한다. 뒤이어 백촌 사적을 기술하거니와 보니 비문에선 공이 선덕 병오년에 생원시 문과에 급제하여 두 왕을 섬기다가 세조 병자년에 육신이 주살됨에 연좌되어 주륙당한 삼십여인 중 한명이 공이라 했으니 이 유허비가 공을 사육신으로 보지 않았음이 명백하다. 영묘, 곧 영조 신해년에 비로소 신원 복작되었다 운운... 손이 얼어 차마 비문을 현장.. 2024. 1. 29.
도 밖에 닦을 것이 없을 가야산 청량사 상경하기 전 오늘 하루 시간 내서 가야산 일대 몇 군데를 돌았다. 시간 맘 여유 있다면야 몇날 며칠 여유를 두고 돌아보고 싶지만 언제나 똥침 맞은듯 급하기만 하다. 법수사지 해인사 돌고는 김천으로 돌아오기 전 청량사라는 곳을 들렀다. 석등과 석탑이 좋단 말은 들은 적 있지만 사방 풍광이 이리도 장엄할 줄 몰랐다. 김천 수도산 중턱 수도암과 여러모로 오버랩하거니와 나로선 숨은 보물을 찾은 기분이었다. 앞으로 자주 찾았으면 해 본다. (2017. 1. 29) *** 등잔 밑은 언제나 어두운 법이다. 내가 정작 가장 가 보지 못한 데가 김천 주변이다. 서울이라 해서 다르겠는가? 그래서 몇년 전부터는 일부러 주변을 보자 해서 주변을 싸돌아다니는데 끝도 없다. 저 청량사라는 데는 앞서 논급했듯이 여러 모로 김천 .. 2024. 1. 29.
유교: 그 칭찬과 욕 모든 유교 관련 글이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닌데, 우리나라 유교의 선유들에 대한 논문이나 찬상하는 글을 보면 읽고 나서 생각해 보면 저게 과연 제대로 된 칭찬인지 의심스러운 경우가 많다. 유학자라면 대부분 할 만한 소리를 적어 놓은 것을 그 양반이 처음 한 것처럼 인용하고 칭찬하는 것이다. 이런 글은 소위 퇴계학, 율곡학이라는 분야의 글에서도 드물지 않다. 퇴계학과 율곡학을 찬상하지만 유심히 보면 그건 퇴계나 율곡이 처음 한 소리도 아니고 다른 유학자들 글에도 다 나옴 직한 구절을 인용해 놓고는 찬상을 하는 것이다. 퇴계학 율곡학 외에 다산학도 마찬가지다. 다산 글을 칭송하지만 유심히 보면 다산이 처음 한 소리도 아니고 그런 건 다른 유학자들 문집에서도 숱하게 나올 만한 이야기를 적어 놓은 것을 찬상한다... 2024. 1. 29.
[문재인시대 회고] 통과 친구라 해서? 초대 관장 배기동 문재인 정부시대 문화재 업계 얘기 꺼낸 김에 이 이야기도 기억에서 사라지기 전 정리해야겠다. 저 시대 초대 관장은 배기동. 문통과는 경남고 동기동창이라 해서 문재인 정부 출범과 더불어 안팎으로 관장이 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했지만 그 과정이 그리 간단치만은 않았다. 배기동 경력에서 가장 크게 걸림돌인 문제가 한국전통문화대학 총장이었다. 본인은 공식으로는 아니라고 뚝 잡아떼지만 이명박 정부 당시 문화재청장 이건무랑 대학 운영 방안을 두고 대판 붙고는 못 해먹겠다고 사표 던져 버리고 나왔다. 둘은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선후배로 나름 친분도 돈독했다 기억하지마는 행정은 그런 두 사람을 갈라놓게 해버렸다. 문정부에서는 왜 9개월만인가 총장질 하다 박차고 나왔는가? 통솔력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가 문제를 삼았다.. 2024. 1. 29.
[문화재청장 정재숙] (3) "뽀뽀하심 안되요" 문화재청장 내정 통보 당시 정재숙은 실크로드 탐방을 핑계로 중국인가 중앙아시아를 여행 중이었다. 유홍준이 참여한 답사였는데, 당연히 유홍준과 함께 있었다. 그런 그를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실 신미숙이 전화로 불러낸 것이다. 당신이 이제 청장이요, 조속히 귀국하셔서 임명장 받으시죠 하는 말과 함께 한 마디를 더 붙였다. "청장님, 이젠 저는 뽀뽀하심 안 됩니다 아시죠?" 정재숙은 문화재 기자 경력은 일천하다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썩 그와 동떨어진 삶을 산 것도 아니다. 여러 언론사를 전전하고 한겨레를 거쳐 이때는 늙다리 기자로 이름도 그럴 듯하게 무슨 문화전문기자인지 하는 타이틀을 달고는 졸업을 준비할 무렵이었으니 문화 부문 잡탕이라 할 만치 여러 분야를 섭렵했으니, 특히 간송미술관과 관계가 밀접해 최완.. 2024. 1. 29.
툭하면 가뭄 홍수로 저주받은 한반도, 기후위기를 의심한다 고려사 조선실록 보면 평균 2년에 한번 꼴로 가뭄 아니면 홍수가 난다. 기후위기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파괴라는 말, 역사를 통괄하면 의심만 든다. 과연 그럴까? 물론 탄소배출을 감하고자 하는 노력이 모두 헛되다 할 수는 없겠지만 의뭉함이 갈수록 인다. 나아가 고려사 실록 보면 한반도는 줄곧 저주받은 땅이다. 왕이라고 매양 하는 짓이 천재지변이 잇따르니 모두가 과인의 허물이로다. 내가 뭘 잘못했는지 경들이 솔직히 지적질해주기 바라노라 이 말만 하고는 죽는다. 일본? 이 땅에선 2년에 한번 꼴인 기우제를 10년에 한번도 안 지내더라. 이는 역설로 인류문화사에서 기후와 풍토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새삼 일깨운다. 기후와 풍토, 그리고 매양 말하듯이 돈! 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면 우리가 품은 의문 90%가 풀린다.. 2024. 1.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