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7

[노르웨이] (1) 마음이 쉬어가야 할 때, 송네 피오르, 베르겐 Sognefjorden, Bergen 노르웨이 여러 피오르 중 가장 길다는 송네 피오르, 그리고, 노르웨이 제2의 도시 베르겐. 한동안 마음의 위로가 되어주었던 곳들. 둘 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품고 있다. https://maps.app.goo.gl/nbKncq3UCLafcLVq5 베르겐 · 노르웨이 베르겐노르웨이 베르겐www.google.com https://maps.app.goo.gl/6SjJrwAnZjty5oKu7 송네 피오르 · 노르웨이★★★★★ · 피오르드www.google.com 노르웨이 피오르에 언젠가 가 보고 싶다는 생각은 막연히 했었는데 내가 노르웨이까지 아무 때나 휙 떠날 정도의 금수저는 아닌지라 베를린-베르겐 티켓을 싸게 구한 김에, 지인도 만날 겸 가게 되었다. 게이랑에르와 송네 피오르 등이 유명하고, 멋진 하이킹 코스.. 2024. 1. 25.
사비시대 깊고 둥근 백제 철솥 정체는? 백제고도문화재단이 2017년 사비도성 동쪽 100미터 미만 산지 중 곡간 경작지에 해당하는 부여 석목리 농협주차장 부지에서 찾은 유물 중 사비시대 철솥이다. 뒤에서 개똥폼은 심상육이다. 이 철솥 이상하지 않은가? 엄청나게 깊다. 저기다 밥을 하거나 국을 끓였을까? 이건 고고힉도한테 물어선 답이 안 나온다. 첫째 한국고고학은 그런 물음을 물을 줄도 모르고 둘째 물어봐야 꿀먹은 벙어리를 면치 못하고선 고작 하는 말은 글쎄요? 밖에 없다. 고민을 해 봤어야지? 이건 주부들한테 물어야 한다. 저런 데다 밥 안 하고 국 안 끓인다. 미쳤니? 이 철솥이 출토한 유적을 다른 출토유물과 견주어 볼 때 이곳이 공방이 있던 자리로 추정된다는 발표를 조사단이 했다. 어떤 공방? 금속품 제조와 관련하는 도가니, 철솥과 화살촉.. 2024. 1. 25.
한국 출판문화의 세계화 우리나라 출판계- 지금 같은 시스템으로는 한국 내에서 출판하여 국제적으로 책 팔아 먹기는 참 요원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고 보면 천년 전에 목판 수십 만 장을 파서 대장경 수천 권을 사방에 뿌려댄 우리 조상들도 참 대단한 사람들이다. 그 양반들이 요즘보다 낫다는 생각을 한다. 한국출판물은 한반도 남쪽 절반 바깥으로는 단 한 발자국도 못 나가고 있는데 말이다. 2024. 1. 25.
고려 시대 내내 한반도 밖에 위치한 울릉도 정광태 노래 독도는 우리 땅은 울릉도와 독도가 이사부 정벌 이래, 그러니 신라 지증마립간 이래 두 섬이 죽 한국 땅이라 했지만 웃기는 소리라 놀랍게도 울릉도는 고려시대 내내 고려 땅이었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으리만치 철저히 한반도 밖에 위치한 별도 문명 문화권이었다. 고려사 권58卷 志 권 제12 지리地理3 동계東界 울진현蔚珍縣을 이르기를 본래 고구려 우진야현于珍也縣【고울이군古亐伊郡이라고도 한다.】으로, 신라 경덕왕 때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 군郡으로 삼았다. 고려 때에 현(縣)으로 강등시켜 현령(縣令)을 두었다[置令]. 고 하고는 그에다가 울릉도鬱陵島를 첨부하기를 현縣 동쪽 바다 가운데에 있다. 신라 때에 우산국于山國이라 불렀고, 무릉武陵 혹은 우릉羽陵이라고도 불렀으며 사방이 백리이다. 지증왕 12년(5.. 2024. 1. 25.
[독설고고학] 내가 정통고고학을 전공했다면 뭐하긴 뭐해? 토기 그림 그리면서, 그 변천 양상을 따지면 이건 경주식 신라토기, 이건 의성식 토기하면서 지만 아는 그림 잔뜩 나열하고서는 이건 5세기4사분기, 이건 6세기 1사분기 초기 하며 그걸 논문이라 쓰고 자빠졌거나 그것이 지겨워지는 순간 성곽으로 눈길 돌려서는 아 이건 신라 초축 고려 보축하면서 이런 기술은 한반도에서 먼저 나타나 일본으로 전래되어 나타나니, 동아시아 문물교류양상을 훌륭히 증명하므로 세계유산 크라이테리아 넘버 1원에 해당하니 세계유산이 될 만하다는 보고서나 쓰고는 연구비나 받아먹고 있겠지? 나한테 가장 큰 축복은 선생이 없고 전공이 없다는 점이다. 선생이 있었더래면, 고고학 전공이었더래면 지금과 같은 이야기 언감생심 꿈도 꾸지 못한 채 저 그림 그리고 축조술 논하는 일을 내 본령.. 2024. 1. 24.
자작나무 껍질에서 뽑아낸 기름 https://www.youtube.com/watch?v=uHpYwZ71jXg 이 동영상은 자작나무 껍질을 벗겨서 기름을 짜내는 방법을 소개한 것으로 그 방식은 실로 간단해서 깡통 두 개와 장작불로 충분하다. 큰 깡통에다 자작나무 껍질을 잔뜩 채우고, 그 한쪽에다가 구멍을 뚫고서는 작은 깡통을 잇대어 땅을 파고 그 작은 깡통을 아래로 두고, 위로 노출된 큰 깡통 위로 두세 시간 장작불을 피우면 자작나무 껍질에서 흘러내린 기름이 아래 작은 깡통으로 흘러내리는 구조다. 위 큰 깡통 속 자작나무 껍질은 완전히 타서, 기름기를 빼낸 재에 지나지 않아 푸석푸석 바스라지니 버린다. 자작나무는 흔히 그것이 탈 때 자작자작하는 소리를 낸다 해서 그리 일컫는다 하듯이 그만큼 그 이파리에는 기름기가 많다는 뜻이니, 그에다.. 2024.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