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6

둔전屯田 장착하고 북방으로 진격한 고려 고려사절요 권 제4> 정종용혜대왕靖宗容惠大王 8년(1042) 4월 조에 이르기를 ○ 여름 4월. 동여진東女眞 대상大相 오어달吳於達이 밭을 갈 소를 달라 하니 동로둔전사東路屯田司에 소속된 소 10마리를 하사했다. 이 무심한 증언이야말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줄기찬 북방 개척 그 실상에 대한 일대 증언이다. 동여진이라 하고, 동로東路라 했으니, 지금의 함경도 일대 동해안 쪽임을 유추한다. 저쪽은 여진 땅이다. 그 여진 땅을 향해 고려는 끊임없이 진격 북상해 올라갔다. 비록 윤관에 의한 여진 정벌이 한때 성공했다가 이내 실패하고 말았지만, 간단없이 전진 북상해갔다. 지금에서 저 모습을 바라보는 자들은 왜 한꺼번에 연해주까지 치고 오르지 않았느냐 하는 헛소리들을 해대지만(실제 백년 전 우리 조상들, 민족주의 역.. 2024. 1. 14.
망했더라도 나름의 이유가 있어 유지되었던 시스템 조선시대 후기의 우리나라 시스템은 종국에는 망국으로 간 시스템이다. 그 수백년은 결국 실패의 경로였다고 할 만 할 것이다. 여기서 인문학자들이 할 일은 이 시스템이 좋은 것이었다고 커버쳐주거나, 아니면 이러니까 망했지라고 욕질을 하기 전에, 도대체 무슨 이유 때문에 그런 시스템이 유지되어야 했는지 그 이유를 냉정히 규명해야 하는 것이겠다. 주변 조건이 열악해지면 그 조건에서 살아 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게 되겠고, 조선후기의 시스템은 바로 그 열악해진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해 투쟁한 결과다. 우리가 앞으로 이러한 사건을 역사상 재발하지 않게 하는 것은 열악한 조건에서 북한처럼 죽네 사네 버티는 게 아니라 그런 조건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미리 차단하는 것이라 하겠다. 기회 있을 때마다 이야기한 것 같은데 조.. 2024. 1. 14.
식목대왕 고려 정종 : 허심한 기록, 하지만 중대한 증언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권 제4 정종용혜대왕靖宗容惠大王 원년元年 4월 대목에는 아래와 같은 아주 짧은 기사가 무심하게 적기摘記되어 있다. ○ 禁京城名山樵採, 遍植樹木. 서울의 이름난 산에서 땔나무를 벌채하는 일을 금지하다. 이를 어찌 읽어야 하는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물어야 할 것은 왜 이 기록이 남았는가? 왜? 당연히 국가지대사라 생각한 까닭이다. 그래서 남겼다. 이를 통해 이를 편찬한 조선왕조는 무엇을 노렸는가? 이 물음이 곧 저 기록을 유독 대서특필한 이유다. 둘째 지극히 당연하다 개소리하겠지만 저때도 끊임없이 식목을 했다. 예서 관건은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겠지만, 이런 의문이 고려시대 증언에서는 잘 풀리지 않는다. 조선시대 기록들을 찾고, 특히 개경과 가까운 지점 서울 주변에 어떤 나무들을 심곤 .. 2024. 1. 14.
왜 왕은 자기 의견을 말하지 않는가? 토론의 전형 성종실록 163권, 성종 15년 2월 23일 경신庚辰 두 번째 기사 1484년 명 성화成化 20년에 성종은 승정원承政院을 통해 관리들한테 아래와 같이 전교한다. "대신大臣이 졸卒하여 거애擧哀함은 《대전大典》에 실렸으나, 이제 대비전大妃殿이 있는 까닭으로 행할 수가 없다. 내가 예문禮文을 상고하건대, 회장會葬하는 예禮가 있어 내가 행하려고 하니, 이제 《대전大典》을 수개讎改하여 첨가해서 기록함이 어떠하겠느냐?" 하니, 우승지右承旨 권건權健 등이 합사合辭하여 아뢰기를, "성상의 하교가 진실로 마땅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큰 일이니, 홍문관弘文館으로 하여금 고제古制를 상고하게 함이 어떻겠습니까?" 하고, 우부승지右副承旨 김종직金宗直이 아뢰기를, "예전에 위징魏徵이 졸卒하여 백관百官이 회장會葬하였으나, 이것은 특.. 2024. 1. 14.
조선 준왕이 도망쳐 웅거한 데는 섬! 앞서 신동훈 교수께서 삼국지와 그 배송지 주를 논하면서 개중 한 장면으로 위만의 쿠데타에 왕국을 통째로 강탈당한 조선 마지막 군주 준왕准이 그를 따르는 사람들과 더불어 바다로 도망가 한韓 땅에 정착하는 과정을 기술하는 구절이 있으니, 그것을 다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수의 삼국지 기술은 다음과 같다. 將其左右宮人走入海,居韓地,自號韓王。(그 좌위 궁인을 거느리고 바다로 들어가 한 땅에 살면서 한왕이라 칭했다) 이에서 우리가 무심히 넘겼지만 세심히 볼 대목이 있다. 좌우 궁인들을 데리고 바다로 들어가서[入海], 한韓 땅[韓地]을 점거하면서, 자칭 한왕韓王이라 했다는데, 이를 그간 많은 이가 준왕이 위만한테 넘어간 왕검성을 탈출해(탈출보다는 나는 위만과 준왕 사이에 협상이 있었다고 본다. 내가 조선을.. 2024. 1. 14.
쉽게 설명을 못해서 어려운게 아님 오해하는 것 중 하나가 쉽게 설명을 못해서 어렵게 들린다는 생각이 있다. 그게 아니고, 대개 어려운 설명을 하게 되는 경우 그 내용을 자기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설명하면 그렇게 들린다. 우리나라 인문학도 대중에게 가까이 간다고 쉽게 풀어 이야기 한다고 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요는 수준을 낮추는 것과 쉽게 풀어 이야기 한다는 것은 별개의 이야기라는 것이다. 수준을 유지하면서 쉽게 설명하는 것이 전문가들의 역할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게 어렵다. 하지만 이게 아무나 되는 거라면 누가 전문가라 하겠는가. 전문가임을 자임하는 이상에는 수준과 평이한 설명은 반드시 둘 다 잡아야 할 토끼다. *** Editor's Note *** 저 문제 대해 편집자는 줄기차게 아래와 같이 주장한다. 가장 학술적인 글이 가장 대중적.. 2024.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