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5

인천역사문화총서 100여 권 전면 무료 공개 박현욱 선생 알림을 통해 접한 소식이다. 인천광역시 문화유산과가 2002년 이래 발간하기 시작한 인천시사와 인천역사문화총서 100여 권 전자책을 아래 누리집을 통해 전면 무료 공개하기 시작했다. 인천광역시 ebook(93호) 미추홀 도서관의 어제와 오늘 문화/관광 I 인천역사문화총서 등록일 : 2023-11-29 조회수 : 7ebook.incheon.go.kr 목록을 보면 인천학 관련 원전을 필두로 보고서 자료집 학술지 등등을 전면 포괄한다. 이런 사태가 어찌 보통 일이리오? 비단 인천시만이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그에 준하는 공공기관은 이와 같은 보고서 책자 등등을 무료 공개함이 원칙이니, 왜인가? 국민세금 시민세금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며, 그것을 공유 향유해야 하는 대상 역시 국민 시민 공동.. 2024. 1. 12.
알렉산드로스 본향 마케도니아 궁전, 16년 만에 재단장 개관(1) 기원전 4세기 그리스 북방 마케도니아 왕국을 세계사에 각인한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 대왕이 즉위한 아이가이 왕궁 Palace of Aigai 터가 그리스 당국의 16년간 복원 사업 끝에 다시 문을 열게 됐다는 소식이 외신을 타고 전해졌거니와, 이곳은 내가 찾은 적이 없어 위선 나로서는 현장감이 전연 없다는 고백을 해 둔다.이곳은 무엇보다 아이가이 고고학 유적(베르기나) Archaeological Site of Aigai (modern name Vergina) 라는 이름으로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까닭에 이에서 관련 기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이에 의하면 등재기준 Criteria (i)(iii)를 충족했으며, 유산 자체 면적은 1천420.81 헥타아르이고, 그 주변 우리네 문화재보호구역에.. 2024. 1. 12.
[선화공주의 비밀을 파헤친다] (6) 선화는 진평왕의 서녀였으며, 무왕의 후궁이었다 이 상장돈장 족도族圖에는 문제의 선화가 善花 라는 표기로 나타난다. 한데 선화는 진평왕의 정실 공주가 아니다. 이를 보면 선화는 신라 진평왕의 여러 후궁 중 한 명인 애리愛理라는 여인에게서 난 딸이다. 후궁의 딸이니 선화는 서녀다. 적통 공주가 아니다. 조선시대 관념으로 보면 옹주翁主다. 옹주가 이웃 나라 왕의 정부인으로 가겠는가? 볼짝 없이 선화는 백제 무왕에게 던져진 후궁이었다. 한데 신통방통하게도 저 미륵사 봉영사리기가 발견되고, 그를 통해 백제 무왕의 정비는 좌평 사택적덕의 딸인 것으로 드러났다. 후궁 선화가 어찌 미륵사를 창건한 발원자로 나타나겠는가? 선화공주가 무왕의 정비라는 삼국유사 기록은 원천에서 오류였다. 다만 왜 오류를 빚었는가 또한 궁구해야 한다. 그가 후궁이건 정궁이건, 신라의 공주.. 2024. 1. 12.
삼국지와 위략 전술한 내용을 다시 풀어 쓴다. 삼국지의 배송지 주는 출전이 다 다르다. 배송지가 자기 의견을 밝힌 부분도 있다. 그런데-. 삼국지 동이전 특히 한반도 국가들의 경우에는 그 출전이 거의 모두 위략이다. 따라서 삼국지 동이전은 진수의 삼국지와 어환의 위략, 이 두개 사서가 혼재해 있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진수의 삼국지에 배송지가 주를 붙였다기 보다. 두 개의 동시기 사서가 같이 혼재해 있으므로 진수의 원전과 배송지의 주는 적어도 삼국지 동이전의 한국사 기사에서는 그 사료적 가치에 차이를 둘 수 없다는 뜻이다. 삼국지 동이전은 아래. 위략, 이라고 써있는 부분이 바로 배송지가 위략에서 인용해와서 주를 붙인 부분이다. 거의 위략 그대로 따온 것을 알 수 있다. https://zh.wikisource.org/.. 2024. 1. 11.
연세대박물관 애비슨 특별전 백수한테 이른 오전 기상은 군대 끌려가는 이상의 고역이다. 그런 상태로 무슨 병원 무슨 센터 가서 피 뽑고 걷고 달리기를 하라니 얼마나 더 큰 고역이겠는가? 병원 창문 너머로 익숙한 건물이 들어온다. 그래 빨랑 끝내고 저기나 들려보자. 그 관장은 틀림없이 박물관에 없을 테니 서 모가 있으면 커피나 한잔 해야겠다고 삼층 박물관 사무실 들어서 보니 역시 예상대로 관장실은 불이 꺼진 상태고 서모를 불렀으나 가는 날 장날이라고 오늘부터 휴가랜다. 오르는 길목 일층 특별전시실 보니 애비슨 특별전 한다는 간판 요란하기에 그곳으로 옮긴다. 어차피 대학박물관 상설 코너야 거기가 거기라 바뀐 데도 없어 휙 지나쳤다. (*** Avison을 애비슨 이라 표기하는데, 어느쪽이 맞는지는 일단 몰라서 둘 다 병기해 둔다.) 슥.. 2024. 1. 11.
아는만큼 보이는가 연구자로서 성공하는 첫 발은 자기 눈을 믿는 거다. 그리고 자기 눈으로 본 사실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따르면 되는 거임. 연구자로서 실패하는 첫 발이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믿고 따라가서 그 논리를 자신이 본 팩트에 외삽하는 작업이다. 하긴. 우리나라는 주자 때부터 최근의 촘스키까지이른바 외국 대가의 논리를 그렇게 내가 본 사실에 외삽하고자 노력하지는 않았는지 한 번은 반성해 봐야겠다. 자기 눈을 믿는 것이 성공의 첫발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 그 안다는 게 뭔가가 문제겠지. 2024.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