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4 20년 전 기생충 검사용 토양채취 저땐 날씬했었네. 일을 정리한다고 옛날 사진을 뒤지다 보면 저때 벌써 저 생각을 했었나 싶은 사진을 만날 때가 있다. 이 사진은 한 20년 전 것인데 발굴 현장에서 기생충 샘플링이라고 붙어 있는거 보면, 이때 이미 토양에서 기생충 분석은 머리속에 있었던 거 같다. 따지고 보면 지금 정리 작업은 20년만에 그 결론을 보고 있는 셈이다. 2024. 1. 4. 20년전 현장을 누볐던 애차 요즘 책 쓴다고 과거 사진을 찾다보니 그 시절 타고 다니던 애차-코란도가 보여 한 컷. 좋은 차였다. 저런 현장 못가는 데가 없었음. 저 때는 발굴 현장 가보면 저렇게 광대한 땅에 건물이 들어설 계획이라 홀랑 나무를 다 쳐놔서 현장 들어가도 차를 바로 내리지 않고 몰고가야 했던 곳이 꽤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저 코란도를 나중에 더 이상 타지 않게 된 것과 현장을 뛰며 작업하던 시기는 거의 비슷하게 막을 내렸다. 2024. 1. 4. 숭례문 복구비용 수백억원도 청구 안한 문화재청이 비름빡 낙서에 1억 청구? 문화재청 하는 일이 가관이라 경복궁 비름빡 낙서 지우는 데 들어간 비용이라며 1억원을 낙서범들한테 청구한다는데. 근데 왜 숭례문 방화범한테는 땡전 한 푼 청구 안한 거임? 더구나 그 복구 비용에 수백 억원이 들어갔는데 그 비용 청구했어? 그 방화범 강화도 할배 숭례문 직전에는 창덕궁인가 어느 건물 불질렀자니? 근데 복구 비용 청구 안했자나? 머 수백억원짜린 안 하고 고작 일억원짜리는 청구한다고? 에라이 국가행정이 일관성이 있어얄 게 아닌가? 장난치니? 행정이 나이롱 뽕이야? 말 같은 소릴해라. *** 이와 관련해 이번 조치가 지난 2020년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해 관련 규정을 마련한 이후 첫 사례라 주장한댄다. 어디서? 신성한 문화재청에서. 문화재청에 따르면 총 8일간 낙서 제거 작업에 투입된 인원과 .. 2024. 1. 4. 스프레이 제거 실험에 들어가며 (1) 대상 물색 경복궁 비름빡 스프레이 사건과 관련해 그 제거 실험을 시작한다. 위선 스프려이를 쳐가를 비름빡 혹은 돌을 골라야 한다. 문제의 경복궁 비름빡은 대부분 현대의 짜가 화강암이다. 일부 석회암 계열 시멘트가 있다. 표면은 우둘투둘. 집 주변에 비슷한 암질을 찾아나선다. 딱 맞는 화강암이 있다. 문제는 모텔이라 주저된다. 공원을 조사해야 겠다. 시멘트는 석회가 아니지만 우리집 먹시네 집 비름빡을 골랐다. 양쪽에 다 쳐바르고 제거 실험을 할 것이다. 문젠 마누라나 장모님. 내가 살아남을지 모르겠다. 낼은 스프레이를 사러간다. 하루 지나서 제거 실험을 할 것이다. 2024. 1. 4. 쪄서 만든 현미수수밥 쪄서 만든 현미수수밥이다. 쌀반 수수반이다. 현미는 가장 껍질을 덜 벗긴 걸 썼다. 시식의 결론: 쪄서 만들어서 그런지 거칠다. 이걸 뜸들여서 취사도 해 보았는데 거의 다른 잡곡밥과 차이를 못 느꼈는데 쪄서 현미와 수수 반반 밥을 만들면 아주 아주 거칠다. 소화시키는 데 힘들었다. 다음 차례는 쪄서 만든 깡수수밥이다. 2024. 1. 4. [독설고고학] 껍데기 너머를 보라 아침에 호로고루를 이야기했지만 거기 처음 간 때부터 나는 성벽 너머가 언제나 걸렸다. 물론 저 성곽이 한창 운용되던 천오백년 전 지표가 지금과는 많이 달랐겠지만 저 넓은 땅을 가만 두지 않았으리라는 의구심이 언제나 증폭했다. 더구나 그 성벽 너머 땅은 현무암 지대고 홍수 피해가 거의 없을 만한 데였으니 저 땅에서 콩이나 조 수수 농사를 지어 살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성곽? 뭐 대단하게 생각하나 실제 전쟁 몇 번이나 치렀을 거 같은가? 징발된 병사들 일년 내내 탱자탱자했다. 그러다 제대했다. 그런 친구들이 그렇담 평양에서 꼬박꼬박 보내주는 월급 타가며 생활했겠는가? 그럴 돈도 없었다. 거지였다. 그렇담 어찌 생활했는가? 지들이 농사 직접 짓거나 농민들 감독해서 그에서 나는 소출 일부 띵가묵고 살았다... 2024. 1. 4. 이전 1 ··· 1364 1365 1366 1367 1368 1369 1370 ··· 36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