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22

시가 별로인 한국전통문학 필자 정도 수준에서 한문학을 평가할 수 있을지 좀 망설여지는 부분도 있지만, 그냥 있는 느낌대로 써 보면,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과 비교하여 시가 별로다. 20세기 이전 국문시 뿐 아니라 한시도 별로다. 읽어 봐도 별로 감흥이 없다. 그 시대 사람들은 달랐는지 모르겠는데 적어도 내게는 그렇다. 없는 감흥을 있다고 할 수야 없지 않겠는가? 벌거벗은 임금님을 벌거벗었다고 이야기하는 어린애의 치기로 봐주기를. 반면에 동문선을 보면 우리나라는 시를 제외한 나머지 서, 발, 전 등 문장들은 좋은 글이 아주 많다고 생각한다. 소명 문선을 보면 전체의 거의 절반 정도가 시인데 반해, 동문선에는 시가 전체의 17프로 밖에 실려 있지 않다. 동문선이 대부분 고려시대-조선초의 저작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사장을 낮게 보는 .. 2023. 8. 8.
건축의 독무대 국립문화재연구소 여기선 김연수 현 원장이 빠졌는데 이름이 연구원으로 바껴서인지 아니면 현직이라선지는 모르겠다. 연구소는 문화재연구실에서 뿌리를 찾는데 그 창설은 1960년대 말이라 국립박물관에 있던 김정기가 넘어옴으로써 시작을 알린다. 그 오양붕을 보면 두드러진 특징이 드러나는데 건축 우위 혹은 그 독패 시대가 상당히 오래 지속됐다는 점이 그렇다. 장기집권한 김정기 이래 장경호 김동현에 이르기까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은 쪽도 쓰지 못했다. 왜 그럴까? 저들이 실은 고고학 영역까지 다 장악한 까닭이다. 한국 국가 고고학은 실상 고건축이 개척했고 저들이 실상 한국고고학을 개척한 사람들이다. 그 아성을 깬 이가 조유전. 하지만 이내 그 자리는 도로 건축으로 돌아갔으니 그의 정년퇴임과 더불어 당시 마흔아홉 새파란 기술고시 출신.. 2023. 8. 8.
공활한 하늘은 이 시즌의 특권 입추라는 말을 무더위 때문에 실감하지 못하지만 이미 계절은 기을로 들어섰다. 습기가 현저히 줄어든 데서 가을을 실감한다. 이런 때 딱 한번 예외가 있는데 태풍이다. 북태평양 무더운 고기압에서 발달한 태풍은 무더위를 동반한다. 하지만 그것도 하루이틀이라 그 무더운 기운 중에서도 습기는 북서풍 타고 태평양으로 빠져나간다. 공활한 가을하늘은 딱 이맘쯤 보름이나 한달쯤 계속한다. 정작 단풍이 한창 드는 가을 절정엔 저 공활한 하늘 보기가 가뭄 끝 콩싹만큼이나 힘들다. #공활 #가을하늘 #태풍 2023. 8. 8.
사천대학박물관 소장 당대唐代 보살 이들 唐代 보살 압권이다. 사천대학박물관에서 2013. 8. 7 #사천대학박물관 #중국불상 **** 사천성 성도 사천대학박물관이 두드러진 특징 몇 가지가 있는데 첫째 그 컬렉션 규모가 엄청난데 무엇보다 조각 보고이며 둘째 그 조각 중 불상과 셋째 화상석 화상전 보고라는 점이 그렇다. 특히 화상석 화상전은 우리가 아는 그 모든 것은 이 대학박물관에 있다고 보아 대과가 없다. 다만 대학 부설박물관인 까닭에 그다지 알려지지는 않은 듯하다. 10년 전 내가 부득부득 저기는 가야 한다고 답사 노선을 돌려 간 이유가 실은 화상석 화상전 때문이었다. 혹 사천을 가시는 분들은 모름지기 들려 주었으면 한다. 2023. 8. 8.
데라코야寺子屋와 서당 일본의 근대교육과 한국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가 전통 교육기관이던 서당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의 문제였다. 이것이 아주 의미가 깊은 부분인데, 한국의 서당에 해당하는 것이 일본의 데라코야寺子屋이다. 일본은 데라코야 선전을 엄청나게 한다. 전국적으로 몇만 개가 있었는데 그 숫자는 유럽을 앞질러 일본의 교육수준이 이만큼 높았다던가 하는, 뭐 이런식의 국뽕 선전이다. 그런데-. 조선에도 국치 이전 서당은 넘칠 만큼 있었다. 당연한 것 아닌가? 전통사회에서 한국이 서당이 부족했겠는가? 한국 전통사회에 동네마다 서당이 있었던 연고가 깊다는 고구려시대 경당만 봐도 안다. 고구려 경당을 일각에서는 후대의 향교처럼 생각하여 지방 교육기관으로 보지만 필자가 보기엔 경당은 서당의 기원이다. 서당은 초등교육기관으로서 아주 중.. 2023. 8. 8.
벌거지 천국 잼버리 보며 에프킬라를 상찬하다 가뜩한 난리통에 6호 태풍 카눈 북상 예정은 울고 싶은 맘에 빰을 두들겨맞은 격이라, 이번 대회를 둘러싸고 들려오는 소식들이야 식상할 정도니 내가 그것을 되풀이할 필요는 없겠고 그럼에도 이참에 성찰할 대목은 적지 아니해서, 개중 하나로 나는 우리가 말하는 자연은 환상에 지나지 아니함을 다시금 일깨운 데 있다고 본다. 숲이 좋다, 계곡이 좋다, 갯벌이 좋다 하지만, 또 그것이 자연이라는 말과 언제나 합치하지만, 이는 내가 언제나 말하듯이 그렇게 해서 우리가 그리는 자연은 내셔널지오그래픽 채널에서나 가능한 일이지, 다시 말해 에어컨 빵빵하고, 히트 빵빵히 돌아가는 서울 어느 아파트 거실에서나 가능한 일에 지나지 않는다. 듣자니 갯벌을 메운 곳이라 그 반사열에 참가자들 고생이 더 심했다 하는데, 그 열기가 제.. 2023.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