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7

접붙이는 위치가 다른 한국과 중국의 감나무 감나무는 고염나무에다가 접을 붙인다. 그래야 우리가 생각하는 감이 달린다. 모르겠다 요새는 혹 개량종이 나와서 그대로 씨를 심어 감나무가 자라는지는. 이 접붙이기 방법이 인류문화사에서는 혁명 중 하나로 특기할 만한데, 결국 혼성이 더 낳은 후손을 낳는다는 보기가 아니겠는가? 물론 그렇다 해서 모든 혼성이 좋은가는 판단을 유보한다. 접붙였다가 망한 케이스가 한둘인가? 인간만사만 봐도 접붙었다가 웬수되어 서로 칼부림하는 꼴 한두 번 보는가? 고염에다가 감나무 접을 붙이는 방식이 한반도에서는 언제쯤 발명되었는지 혹은 외부에서 도입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그에 대한 흔적이 혹 있는데 내가 발견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이 접을 붙이는 방식을 그 접붙이는 단면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에서는 뿌리에서 상당히 가까운 곳.. 2023. 5. 19.
시종 유쾌했던 신형식 선생 19일 타계 소식을 전한 신형식申瀅植 선생은 내가 만난 이래 30년 정도를 간헐적으로 지켜봤지만, 시종 유쾌한 사람이었다. 물론 그렇다 해서 그의 삶이 유쾌하기만 했겠는가? 하지만 언제나 그는 웃는 표정을 잃지 아니했고, 언제나 웃는 얼굴로 이야기했다. 선생을 모시고 한 때 노래방도 자주 갔고, 중국 여행을 동행하기도 했다. 1957년 충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61년 서울대 사범대학를 마친 그는 결코 요란스럽다 할 수는 없겠지만, 제도권 역사학이 보장한 꽃길만 걸은 사람이다. 무엇보다 성격이 모나지 아니해서 누구랑도 잘 어울렸으며 그런 까닭에 이렇다 할 적이 없었다고 기억한다. 그렇다고 야물딱지게 자기 이익만을 챙기는 그런 모습을 보여준 사람으로는 나는 기억하지 않는다. 언뜻 허허실실한 삶을 산 듯이 .. 2023. 5. 19.
Archives of April 19 Revolution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Newly Inscribed on Memory of World The 216th session of the Executive Board of UNESCO, meeting in Paris from May 10 to 24, made the final decision on May 18 to inscribe the “Archives of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Archive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The Archives of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Archive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considered the documentary her.. 2023. 5. 19.
<문화트렌드> 바뀌는 기념논총 / 회갑논총 소멸, 퇴임논총으로 / 세 과시용에서 주제 중심으로 지금은 당연하나 20년 전만 해도 새로운 흐름이었다. 2006.02.27 06:24:00 바뀌는 기념논총 회갑논총 소멸, 퇴임논총으로 세 과시용에서 주제 중심으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최근 타계한 역사학자 이기백(李基白.1924-2004) 씨는 정년을 5년 앞둔 60세에 서강대를 퇴직하고는 한림대로 자리를 옮겼다. 이곳에서 10년을 더 채운 94년, 그의 은퇴와 고희(古希)를 기념한 논총집인 '이기백 선생 고희 기념 한국사학 논총'(일조각)이 나왔다. 이는 상·중·하의 총 3권으로 구성됐으며 분량이 2천809쪽에 이른다. 수록 논문은 공교롭게도 70편. 마치 70세 생일에 맞추어 70편을 채운 듯한 느낌이 들고, 나아가 공자가 거느린 제자의 숫자와 겹친다는 인상도 주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2023. 5. 19.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란? 아래는 「4.19혁명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면서 문화재청이 참고자료로 배포한 개념 설명이라, 나름 이해하는데 요긴해서 전재한다. 이 기록유산에 대한 가장 중대한 설명이 누락됐는데, 기록유산제도는 국제법인 협약에 기반하는 세계유산이나 인류무형유산과는 달리, 유네스코 자체가 벌이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우리가 흔히 세계유산이라 통칭해서 이해하는 다른 제도들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간단히 말해 세계유산과 인류무형유산이 거창한 이념과 제도 법적 구속력 아래 유네스코라는 외피를 빌려 벌이는 국제무대인 데 견주어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쏙딱하게 커피 시켜 놓고 하는 집안 잔치다. 등재기준으로 가장 중요한 개념이 세계적 중요성(world significance)이라, 이 점이 추상으로.. 2023. 5. 19.
봉래산 신기루 《산해경山海经·해내북경海内北经》에는 “蓬莱山在海中 봉래산은 바다 가운데 있다”는 구절이 있다. 산동반도 봉래에서는 어떤 날은 바다 건너 멀리 뭔가 도시나 산이 있는 모양이 보이는 모양으로 이 지역 신기루는 유명하다고 한다. 진시황과 한무제도 이 봉래 신기루를 구경했고 이때문에 동해바다 선경의 존재를 확신했다는 것인데-. 봉래에서 선경을 찾아 도해하면 필연적으로 닿는 곳은 요동반도 남단 아니면 한반도 서북부라. 중국에서 볼 때 이 쪽은 선경仙景으로, 선인왕검이 평양에 살았다는 삼국사기 기록을 보면, 자칭 타칭 한반도는 도사들이 살았던 동네였나 보다. 이렇게 보면 가끔 도교라는 게 과연 중국에서 들어온 것이 맞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신선이 놀았다는데는 다름 아닌 발해라. 발해를 건너면 바로 한반도다. *.. 2023.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