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50

운석, 머리맡 베개로 곤두박질한 별똥 잠자던 캐나다 여성 베개 옆에 운석이 지붕 뚫고 '쿵' 잠자던 캐나다 여성 베개 옆에 운석이 지붕 뚫고 '쿵' | 연합뉴스 (밴쿠버=연합뉴스) 조재용 통신원= 캐나다에서 최근 운석이 주택 지붕을 뚫고 내려와 잠자던 여성의 침대 위로 떨어지는 '아찔한 일'이 있었던 것... www.yna.co.kr 이 블로그 과거 포스팅 중에 느닷없이 트래픽이 늘어나는 일이 있는데, 그때마다 조사하면 그럴 만한 곡절이 있기 마련이라, 오늘은 아래가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라 우주로 부터 온 선물, 운석! 우주로 부터 온 선물, 운석! 무려 우주로 부터 온 선물을 받았습니다. 바로 운석! 제가 선물 받은 운석은 Campo del Cielo Meteorite(캄포델시엘로 운석) 입니다. 우주가 제 손바닥 안에 있다고 하니, 하.. 2021. 10. 14.
한반도를 폭격하는 댑싸리 내가 2년에 걸친 해직 생활을 청산하고서 해고 직전 근무처인 전국부로 복귀한 직후이니, 대략 3~4년 전쯤 일로 기억하고서 관련 기록을 검출하니 2018년 10월 27일이라, 당시 연합뉴스에서 [핑크 열풍]이라는 제목으로 핑크뮬리 열풍을 3회에 걸쳐 다루었으니, 제목만 검출하면 다음과 같다. [핑크 열풍] ① '여기도, 저기도' 한반도 뒤덮은 핑크뮬리 [핑크 열풍] ② 신비로운 분위기…근데, 왠지 낯설다 [핑크 열풍] ③ 이렇게 막 심어도 되나…엄연한 외래종(끝) 이런 특집에는 으레 편집자 주라 해서, 왜 이런 시리즈를 다루는지, 이를 통해 무엇을 어찌 했으면 좋겠는지 아는 제언을 담거니와, 그에 대한 편집자 주는 아래와 같았다. 편집자 주 = 가을 진객인 '단풍'이 올해도 곱고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습니.. 2021. 10. 14.
궁상맞은 경복궁 가을 하늘 모처를 들렀다 공장으로 복귀하는 길에 가로지른 경복궁은 파래 삶은 듯한 배경으로 하이타이 비누 거품 색깔을 풀어놓았으니 누군간 고향 두고온 순이 생각할 테고 누군 섬마을 휘젖고 떠나 버린 국민학교 선생이 떠오를 테고 또 누군간 곧 만날 님을 그릴 테고 또 누군간 참말로 잔정이라곤 눈꼽만큼도 없던 아비를 그릴지도 모른다. 그래서 저 청명은 궁상이다. 2021. 10. 13.
유례없이 공활한 가을 하늘이 팬데믹의 선물? 착란한 기억인지 자신이 없으나 한반도 하늘이 이리도 공활한 무렵은 한여름 막바지 가을 문턱 시점의 전매특허 아닌가 하거니와 단풍이 시작하고 그것이 한창일 무렵은 대체로 우중충한 하늘이 펼쳐지지 않았던가? 한데 올해는 유례없이 이런 하늘이 거푸거푸 펼쳐지니 얼마전인가? 이는 통계로도 그런 증상이 입증된 것이 아닌가 하거니와 그런 기사를 본 듯 하다. 코로나 팬데믹과 모종의 연동이 있을라나? 그러지 않고선 이렇다 할 이유도 찾기 에렵다. 2021. 10. 13.
문광부, 한자병용이 씌운 덤터기 문화부로 전근하고 3개월 남짓 지난 1999년 2월 9일, 당시로는 아마 약칭으로 문광부라 했을 문화관광부가 어문정책 불을 싸지른 발표를 들고 나왔으니 이른바 한자병용이라 이 문제가 워낙 폭발성 있는 까닭에 최현배 세례를 듬뿍 받은 연세대 국어학 계열 한글순수운동주의자들과 서울대와 이희승에 뿌리를 두는 혼용 계열이 박터지게 싸웠으니 지금은 국립국어원이라 일컫는 국립국어연구원이 그 진원지였고 그 수장은 서울대 교수 심재기였다. 지금 보면 아무렇지 않게 보일 수도 있지만, 물론 한글단체들은 반발한다, 이 사안이 기름을 부었으니 언론사도 갈려서 조선 동아가 당연 찬성 쪽이었고 한겨레야 노동신문과 마찬가지로 한글전용론이었으니 이 사태는 날이 가면서 계속 불이 붙었다. 당시 문화부 인력현황은 앞서 말한대로 처참한.. 2021. 10. 13.
[갯골생태공원] 현장이 곧 박물관 '갯골생태공원에 가면 댑싸리 보고, 핑크뮬리 보면 끝 아닌가?' 생각했는데, 아니었습니다. 댑싸리, 핑크뮬리는 에피타이저(?)였습니다. (아…미안. 예쁘다고 좋아해 놓고, 에피타이저 취급해서…) 억새길따라 생태공원 안쪽으로 들어가니, 이 곳의 이름이 왜 '갯골'인지 알 수 있는 곳과 염전(鹽田), 염전창고 등을 볼 수 있었습니다. 뭐야~~! 볼 게 엄청 많잖아?!! 그럼 천천히 사진으로 같이 보겠습니다! 맞습니다. 입구에서 댑싸리와 핑크뮬리에 현혹되어 이곳이 '갯골'이라는 것을 잠시 잊었습니다. 염전이라니!!! 저는 왜 '시흥'과 '소금'을, 아니 '시흥'과 '바다'를 연결하지 못했을 까요. 갯골생태공원에서 조금만 더 가면 오이도가 있고, 오이도까지 가지 않더라도 근방에 소래포구가 옆에 있었는데 말이죠... 2021.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