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50

왜 이제야 왔을까?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 이곳을 다녀온 사람들도 많이 있겠지만, ‘나는 왜 여기를 이제야 왔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곳이다. 날씨가 맑았다면 더 좋았겠지만, 이런 흐릿한 날씨가 주는 운치가 있었다. 첫째, 이렇게 거대한 마애불이, 더군다나 선각도 아니고 환조에 가까운 고부조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놀랐고, 둘째, 어떻게 이런 마애불이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이 있는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는 안성 서운면으로 넘어가는 방면 초입의 산 중턱에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작은 안내판을 제외하면, 산으로 오르는 길 입구에서도 안내판은 찾을 수 없었고, 중간에 있는 등산로 안내판에서도 볼 수 없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처지라서, 이런 얘기하기가 조심스럽지만, 안내판과 홍보에서 좀 아쉽다.) 이곳을 찾.. 2021. 10. 12.
이스라엘 고고학 소식은 이곳으로 http://www.antiquities.org.il/default_en.aspx http://www.antiquities.org.il/default_en.aspx www.antiquities.org.il 우리의 문화재청에 해당하는 기관이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라는 데라 우리 말로는 이스라엘 고물부지만 우리네 사정을 고려해 이스라엘 문화재청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다. 국가에서 관장하는 거의 모든 고고학 소식은 이곳을 통한다. 관련 sns로는 아래가 있다. 트위터는 찾지 못했다. https://www.facebook.com/AntiquitiesEN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 Facebook에서 게시물, 사진 등을 확인하세요. www.facebook.com #이스라엘고고학 #이스.. 2021. 10. 12.
이데올로기로 혁파하는 무령왕릉 무령왕릉 발굴은 정치사의 맥락으로 접근해야 한다. 언제까지 남조 유물이 어떻네, 왜와의 관계가 어땠네 하는 식으로 소비할 수는 없다. 그 논리를 혁파해야 하며, 그에 내재한 내셔널리즘 이데올로기를 간파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건 죽었다 깨어나도 고고학은 할 수 없다. 자신을 겨냥하므로.. (2020. 10. 12) *** 모든 학문이 그렇듯이 고고학 역시 당대 사상과 뗄 수 없다. 고고학은 그 내재하는 태생 공간이 더 내셔널리즘과 밀접할 수밖에 없거니와, 그런 특징은 한반도 고고학에서 유감없이 드러난다. 졸저에서 누누이 밝혔듯이 무령왕릉은 민족주체성이라는 시각에서 소비되었으니, 그 발굴 50주년을 맞아 다시 난무하는 갱위강국更爲强國은 이 시대가 무령왕릉을 소비하는 표상이다. 2021. 10. 12.
그리스조각의 대량 복제생산 로마제국시대 유물을 보면서 이상했던 점 중의 하나가 그리스 조각의 대량 복제 문제였다. 왜 짝퉁을 저리 많이 만들었을까? 이것이 궁금하기는 해도, 나는 그것을 제대로 물은 적도 없고 그런 까닭에 그런 의문을 풀 이유도 없었다. 그렇다고 내가 이쪽에 관심이 많아 적어도 개설서라도 한 번 읽어봤으면, 그에 대한 해명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런 기회조차 나에게는 없었다. 그러다가 근자 로마제국 관련 책 하나를 읽다가 이 문제가 심각히 언급되고 있음을 보았다. 이에 의하면 로마제국 어느 시기에 고대 그리스 어느 지역 정복전쟁이 있었단다. 그 전리품으로 그리스 조작이 대량으로 로마에 들어왔단다. 꼭 이 사건이 아니었다 해도, 그리스 광풍이 일어 그때 권력자들 사이에서는 그리스 조각 수집 열풍이 일었단다. 그것을 집.. 2021. 10. 12.
A Yellow Autumn 노랑은 익음인가? 꼭 그렇지는 않은 듯 하나 형형색색이라 그래도 가을 하면 압도하는 컬러는 옐로라 농 일어 치밀어 오른 노랑이 차창 유리까지 짓물렀으니 저 철고물 쥐어 짜면 노랑 물감 질겅질겅 씹힐 듯 하다. 이르노니 가을은 노랑인가 하노라. 2021. 10. 11.
서둘러 간 반계리는 시푸루딩딩 만연하고 우리공장 강원본부 사진을 주로하는 양지웅 기자가 오늘 원주 반계리로 출동한 모양이라, 나름 이맘쯤이면 그런대로 노랑을 보지 않을까 해서였나 하지만, 이 꼴이라며 저 사진 툭 던지며 실망을 금치 못하는지라, 내가 이르기를 서리가 내릴 즈음이 되어야 한다 던지고 말았으니 그러면서 춘천에서 어케 매번 그리 오갈 수 있는가? 현지 특파원이 있으니 그쪽을 애용하라며 원주시립박물관장을 그만두고서 언필칭 공로연수 중인 반계리 수호자 박종수 형 연락처를 던져주며 앞으로는 이 뇐네 잘 이용해 무라고 했다. 이 반계리은행나무는 수령 800년이라지만 이는 개뻥이지만, 그래도 단 하나 변할 수 없는 것은 우리나라 은행나무 중에서는 수형樹形이 가장 아름다운 축에 속한다는 사실이다. 저 아름드리 은행이 단풍을 물들일 즈음이면 장.. 2021.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