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2 [학예사기고]학문후속세대와 학예연구사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90627 [학예사기고] 학문후속세대와 학예연구사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무형의 문화적 소산을 말한다. 현재 문화재청 통계 기www.joongboo.com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무형의 문화적 소산을 말한다. 현재 문화재청 통계 기준을 보면, 국가 및 시·도 지정 등록 문화재는 1만 건이 훨씬 넘는다. 2022년도만 해도 약 300건의 문화재가 새로 지정·.. 2023. 5. 3. 호랑인 죽어 가죽을 냄기고 모란은? 씨방을 남긴다. 씨방은 번식의 다른 이름이다. 번식은 본능이며 그 어떤 욕망도 이를 이길 순 없다. 왜? 그건 색욕色慾인 까닭이다. 2023. 5. 3. 연구실 최신 논문 학술지에서 채택되어 현재 In Press 상태인 논문들입니다. 조선시대 환관무덤에 대한 보고: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Joseon Period Grave for a Royal Court Eunuch Couple in Korea. Archaeology, Ethnology & Anthropology of Eurasia. 북극 미라에 대한 보고: Anthropological Report of Arctic People’s Mummy Found at a Medieval Grave of West Siberia. Anatomy and Cell Biology. 동아시아 소의 확산에 대한 보고: 황하유역 초기 사육소 및 시베리아 원우의 유전학적 특징을 통해 .. 2023. 5. 3. 제31대 문화재위원회 문화재위원 및 문화재전문위원 명단 자료 다 공개됐는데도 주변에서 하도 물어오는 이가 많아 이걸로 대체한다. 이번 문화재위원회는 제31대이며 문화재위원 100명과 문화재 전문위원 199명이 위촉됐다. 임기는 2023. 5. 1~2025. 4. 30이다. ◇ 전체 위원장단 ▲ 위원장 = 강봉원 경주대 특임교수 ▲ 부위원장 = 전봉희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부위원장 = 이승용 목원대 건축학부 교수 ◇ 분과위원장단 ▲ 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 = 전봉희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동산문화재분과위원장 = 박은경 동아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 사적분과위원장 = 이승용 목원대 건축학부 교수 ▲ 천연기념물분과위원장 = 이상석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 매장문화재분과위원장 = 강봉원 경주대 특임교수 ▲ 근대문화재분과위원장 = 김기수 동아대 건축학과 교수 ▲.. 2023. 5. 3. 조선후기라던 해인사 ‘불법승보인佛法僧寶印’에서 떡하니 1457년 제작이라는 증거가? 한국 문화재 업계에선 조선후기 신화라 부를 만한 도장이 있다. 제작시기를 가늠하기 힘들 적엔 덮어놓고 조선후기 운운한는 낙인을 찍고 만다. 보통 실제로는 이보다 올라가므로, 넉넉잡아 손해 안 볼 요량으로 조선후기라 퉁치는 것이다. 올라가면 욕을 덜 먹으니 이 얼마나 편리한 전가傳家의 보도寶刀란 말인가? 해인사가 소장한 인장引章 중 하나로 ‘불법승보인佛法僧寶印’이란 성보聖寶가 있다. 이를 조사한 사람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고서는 제작시기를 못 찾으니 조선후기라고 퉁치고 말았다. 송광사성보박물관(관장 고경스님)이 오는 15일 개막해 8월 15일까지 이 박물관에서 개최하는 삼보종찰三寶宗刹 소장 인장 특별전을 준비하면서 이 유물을 해인사에서 빌려와 조사와 사진 촬영을 하면서 이 도장 한 쪽 귀퉁이에서 이상.. 2023. 5. 3. 김춘추와 서역 삼국통일 국면에서 보면 김춘추의 활약이 눈부신데, 고구려, 당, 왜를 옆집 드나들듯 하는 걸 보며 요즘도 다니기 힘든 곳을 저렇게 다녔으니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그 당시 신라인의 입장에서 볼 때 그 정도 활동은 드물지 않았던 것이었나 보다.당에서 인도까지의 당시 거리는 타클라마칸 사막과 티벳 고원을 우회해야 하기 때문에 직선거리를 보면 거의 유럽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였다. 이런 거리를 돌파할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 사는 나라에서 중국, 일본을 오가는 외교란 "있을 수 있는 일"일 수도 있겠다. 나는 항상 그렇게 생각한다. 미지의 세계에 대해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은 나라는 절대로 망하지 않는다고. P.S.1) 이미 다 알고 있는 나라? 그런 나라는 존재하지도 않지만 전.. 2023. 5. 3. 이전 1 ··· 1813 1814 1815 1816 1817 1818 1819 ··· 36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