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32

완주 위봉산성威鳳山城과 전주 남고산성南固山城 위봉산성에 행궁이 있다는 건 생각도 못했다. 경기전 태조 어진을 봉안하려던 행궁이었다. 두 도면을 보면 장대將臺에는 깃대를 세웠다. 여러 종의 기로 지휘했으니 필요했으리라. 두 도면은 한 화공이 그린 듯하다. 2021. 9. 5.
선조 계비 인목왕후의 글씨 금강산 유점사에 있었다는데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썼다는 이다. 천계天啓 원년 신유辛酉에 썼으니 1621년, 인조반정 2년 전이다. 이런 말을 하면 어떻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고려나 조선 초 사경에 비하기 미안한 글씨다. 애초 이 분이 작은 글씨에 아주 능하지는 못했던 듯 한데, 그래도 울분을 꾹꾹 눌러 담았을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단정하게 썼다고 해야 맞겠다. 아들의 극락왕생을 바라는 마음이 오죽 컸을까. 2021. 9. 5.
조선후기가 증언하는 거북선 헌종 연간 《호남읍지(湖南邑誌)》 좌수영(左水營)에 기록된 거북선의 제원과 승선 인원.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이 무자년(1708, 숙종34)에 〈전선변통의(戰船變通議)〉에서 제시한 것이 반영된 듯하다. 거북선[龜船] 제원 본판(本板)의 길이 : 10발[把 16.5m] 좌우 노(櫓) : 16척(隻) 승선 인원(149명) 선장(船將) 1, 기패관(旗牌官) 2, 포도관(捕盜官) 2, 훈도(訓導) 1, 사부(射夫) 10, 포수(砲手) 24, 화포장(火砲匠) 10, 사공(沙工) 8, 선직(船直) 1, 능로군(能櫓軍) 90 본판이 어느 길이를 말하는지 모르겠음. 2021. 9. 4.
풍납토성 옆 사선아파트 차타고 지나가다가 보고 놀라서 찍은 아파트 사진입니다. 마치 칼로 단면을 싸악 자른 듯이 사선으로 잘려 있습니다. 청룡열차 같기도 하고요. 미끄럼틀 같기도 하고요. 왜 이렇게 아파트를 지었는지 궁금해 나중에 선생님께 여쭤보니 ‘앙각’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앙각? 앙각 (仰角, angle of elevation) 올려다 보는 각이라고 하여 앙각이라고 함. 시준선이 수평보다 위쪽에 있는 [+]각. 이라고 합니다. (출처 : 건축용어대사전) 이렇게 앙각 기준이 적용되어 아파트를 지은 이유는 바로 풍납토성 문화재가 바로 아파트 옆에 있기 때문입니다. 찾아보니 현행법상 문화재 보호구역 내에 들어서는 건축물은 경계 지표면에서 문화재 높이를 기준으로 높이가 제한되는데, 그 앙각이 27도 이내라고 합니다. 「문화재보호.. 2021. 9. 4.
학예연구사가 되기 위한 관련 학과는 무엇일까? 지난 주 장수문화원의 초청으로 ‘학예연구사와 큐레이터’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다녀왔습니다.(불러주신 문화원 관계자분들과 장수군 이현석 학예연구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어느 덧 학예연구사 10년 차가 넘다보니 학예연구사 직업 소개, 진로체험 관련 강의가 종종 들어옵니다. 진로체험이다보니 주로 학예연구사를 꿈꾸는 학생들이 대상인데 학예연구사를 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무엇을 전공해야 하냐는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 사실 학예연구사 분야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공을 따지는 것이 의미가 없지만, 현재 공무원 학예연구사 채용 공고를 기준으로 본다면 대부분 ‘역사(국사)학’, ‘문화재학’, ‘고고학’, ‘미술사학’, ‘박물관학’, ‘민속학’ 등의 전공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해 줍니다. 그래서 그런지 대학교의 관련 학과 .. 2021. 9. 4.
150년간이나 프랑스가 지배하는 남태평양 누벨칼레도니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 모든 성인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 송고시간 2021-09-04 18:18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 모든 성인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 | 연합뉴스 (파리=연합뉴스) 현혜란 특파원 = 남태평양에 있는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가 모든 성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의무... www.yna.co.kr 미국도 그렇고, 초창기 백신접종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속도로 앞서 나간 이스라엘도 그렇거니와, 이 백신접종률이 일정한 시점에 도달하면 정체국면을 보이거니와, 그러면서 그 사회 구성원 70% 정도가 접종을 완료해야 herd immunity 곧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것처럼 이야기했지만, 이 역시 문제는 없지는 아니해서 무엇보다 변이바이러스가 곳곳에서 출현하.. 2021.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