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34

청나라가 본 병자호란 청나라 강희제 때 나온 의 명 말 부분. 병자호란 얘기가 나오는데 딱 다섯 줄이요, 그나마도 청나라를 띄우느라 여러 자 건너뛴 결과다. "2월에 우리 대청이 군사를 조선에 내었다. 우리 대청의 군사가 왕경을 이기고 남한산성에 있는 국왕 이종을 에워쌌다. 이미 다시 강화도를 깨뜨리니 이종이 표문을 받들고 나와 항복하며 명과 관계를 끊었다." 2021. 9. 7.
목포진 목포진과 해남 등산진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 것인가? 관련 자료를 크로스체크 해야 할 듯하다. 아산은 영암군 삼호면 대아산과 소아산을 싸잡아 이른 것일 테고, 삼학도는 매립된 곳이고, 대박산은 목포 석현동 대박산일터..... 2021. 9. 7.
벽골제는 저수지? 방조제? 벽골제가 저수지였을까 방조제였을까? 조선 시대 저수지 기능이 거의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2021. 9. 7.
담벼락에서 도심으로 진출한 토란, 그 화려한 변신 이 토란을 내 고향 김천과 인근에서는 모란이라 한다는 말 여러 번 했거니와 그것이 모란이건 토란이건 이처럼 드라마틱한 변화를 맞은 식물, 특히 농작물로 찾기 어렵다. 본래 저의 주무대는 농가 담벼락이나 텃밭 한자락이라 비가 올 때는 오동잎과 더불어 그 대용으로 쓰기도 했으니 우산으로서의 토란은 효율과는 거리가 멀어 그냥 폼새이기는 했다. 저 토란 구성분자 중 이파리는 식용한 적이 없는 듯하고 줄기는 장터국밥에선 지금도 빠질 수 없고 뿌리는 별미라 우리집에선 보통 엄마가 들깨 갈아 국으로 끓여주셨다. 이건 농사 축에도 들지 못해 주로 물기 있는 곳에선 잘 자라고 하도 잎이 무성해 잡풀이 이길 수가 없다. 그런 모란이 어느날 느닷없이 도심에 나타나더니 관상용으로 둔갑한다. 새 시대에 맞는 변화인 샘인데 그 .. 2021. 9. 7.
화보로 보는 경주 월성 성벽 인골 발굴 이와 관련한 성과는 아래 우리 공장 박상현 기자 기사를 참조하라. 신라 월성서 또 인신공양 흔적…4세기 '제물 인골' 추가 발견 박상현 / 2021-09-07 09:00:0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신장 135㎝ 전후 왜소한 성인 여성 2017년 인골 2구와 인접…30여년전 20여구도 인신공양 가능성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39570295769 신라 월성서 또 인신공양 흔적…4세기 ′제물 인골′ 추가 발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신장 135㎝ 전후 왜소한 성인 여성2017년 인골 2구와 인접…30여년전 20여구도 인신공양 가능성(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月城) 성벽 k-odyssey.com 이에 대.. 2021. 9. 7.
칠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을 찾아서 충북 괴산군의 동쪽은 속리산, 희양산, 문경새재 등 높은 산으로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가운데 속리산 국립공원에 속하는 곳 중의 하나가 칠보산이다. 칠보산(七寶山)은 불교 경전에 나오는 일곱 가지 보물처럼 아름답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산을 오르다보니 유달리 반짝거리는 돌들이 눈에 띄었는데, 어쩌면 관련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칠보산 아래 있는 사찰이 각연사(覺淵寺)이다. 각연사는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되었다고 하나, 그 시기에 해당하는 유물은 남아 있지 않고, 아마도 9세기 무렵 중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연사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통일대사탑비, 통일대사탑, 비로전, 대웅전, 석조귀부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비로전 안에 있고 석조귀부와.. 2021.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