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78

지하에 살아있음을 확인한 송산리29호분 올해 무령왕릉 발굴 50주년에 즈음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그것이 위치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고 그 일환으로 그곳 29호분을 재발굴하고는 노출했으니, 그 성과를 연구소가 오늘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했으니 그에 즈음해 오늘 나는 다른 자리에서 이렇게 적었다. 노출은 내 꿈이었고 무령왕릉 오십주년을 앞두고 공개하고 싶었다. 다행히 부여연구소도 완전히 나랑 뜻이 같았다. 다음 꿈이 있다. 무령왕릉 내부를 열고야 만다. 송산리29호분이 무령왕릉과 송산리6호분, 그리고 5호분이 삼각형 편대를 이룬 바로 그곳 지하에 묻혀 있다는 사실은 이 분야 몇몇 전공자는 안다. 하지만 그뿐이었다. 그렇게 잠자는 그것을 어찌해야 하는지 아무도 고민을 하지 않았고, 어찌할 거냐 물으니 글쎄 뭘 어찌하겠느냐는 답변뿐.. 2021. 6. 28.
간질간질 동십자각 핫도그 같은 이 털복숭이가 무슨 풀인지는 모르겠다. 꼭 알아야 하리오? 알면 괜시리 산통 깨질까 모르쇠 일관한다. 또 외국산이니 뭐니 해서 괜한 적개심 불태우고 싶진 않다. 그러고 보니 수수깡 같기도 하고 저걸로 코끝 문지르면 없던 재채기가 나오지 않으려나? 저것이 있어 동십자각이 오늘따라 더 장관이다. 2021. 6. 28.
Reconfirmation of the Ancient Baekje-era Royal Tombs in Songsan-ri, Gongju Aroun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launched a reinvestigation of the Songsan-ri Tombs in Gongju, where it was located, and as part of that investigation, it re-examined and exposed its No. 29 Tomb. This tomb draws keen attention in that it is located directly adjacent to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N.. 2021. 6. 28.
百済王陵級墓「松山里29号墳」、88年ぶりに再び発見された 백제 왕릉급 무덤 '송산리 29호분', 88년만에 다시 드러났다 박상현 / 2021-06-28 09:26:4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 결과 발표…출토 유물 거의 없어 "무령왕릉보다 조성 시기 늦을 가능성 커" 백제 왕릉급 무덤 ′송산리 29호분′, 88년만에 다시 드러났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 결과 발표…출토 유물 거의 없어"무령왕릉보다 조성 시기 늦을 가능성 커"(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일제가 1933년 조사한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백제 왕 k-odyssey.com 百済王陵級墓「松山里29号墳」、88年ぶりに再び発見された 国立扶余文化財研究所、発掘調査結果を発表…●出土遺物はほとんどない 「武寧王陵より造成時期が遅れる可能性大」 (ソウル=聯合ニュース)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の1933年に調査された公州.. 2021. 6. 28.
담배에 격발해 성토하는 통일벼 무심히 시골길 달리다 무심히 보니 담배다. 오잉? 여직 담배 농사하는 데가 있나 보다 하며 차를 급정거하고는 살피니 영락없는 담배밭이다. 살피니 두어번 벌써 담배잎을 땄다. 주변으로 분명 건조창이 있을 텐데 언뜻 눈에 띄진 않는다. 요즘은 그런 방식으로 건조하진 않겠지? 벽돌로 만든 창고에 군불을 지피는 방식 말이다. 어른이 하지 않은 농사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 본인이 골초셨고 생평 새마을만 피다 가셨지만 담배 농사는 안지었으며 둘째 통일벼는 단 한 번도 지은 적이 없다. 논뙤기라 해봐야 몇 마지기 되지도 않는 천수답이 전부였지만, 통일벼로 바꾸라는 그 압제를 끝까지 버텨낸 고집이 지금으로서도 의아하기만 하다. 그땐 산미증산에 정부가 목을 매던 때라 관에서는 면사무소 순사 내무부 주사 등을 동원해 통일.. 2021. 6. 27.
흔했으되 다 뽑아가는 망개 이른바 생활체험형 예능 프로가 끼치는 악영향으로 모든 식물자원의 약초화라 이름할 만한 흐름이 있으니 그 된서리를 맞은 대표식물 중 하나가 이 망개다. 망개는 야산에 흔해 빠졌으니 가을에 피우는 붉은열매는 실상 이렇다 할 맛대가리는 전엱없는 편이라 내 아무리 헐벗고 어릴 적 삶의 무대 절반이 산이었다고 해도 이 망개는 쳐다도 안 봤다. 이 망개는 거추장스럽기만 해서 주로 자라는 데가 가시덤불이고 그 자신도 그런 류라 땔깜으로도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고 오직 망개떡 하나에만 쓰임새 요량이 있었다. 한데 얼마전 김천 마미한테 듣자니 이 망개가 씨가 말랐단다. 오만 산을 다 뒤져 다 캐갔단다. 망개고 도레이고 짠데고 할미꽃이고 뭐고 남아나는 게 없단다. 씨가 말랐단다. 나는 자연인이다며 하는 예능들이 걸핏하면 망.. 2021.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