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7

이와나미 서점: 일본경제사 작금 필자가 속한 세미나에서 읽고 있는 책이다. 최근 한국과 일본의 근대의학사를 조금 파고 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잘 읽힌다. 재미있음. 2023. 3. 14.
묘妙함으로 점철하는 속초 보광사 지장보살과 그 복장腹藏 이 속초 보광사普光寺라는 불교 사찰은 내가 가 본 적은 없으나 위성지도로 보니 영랑호 남쪽 가에 자리를 잡았다. 네이버 지도속초 보광사map.naver.com 이 사찰 내력은 다음 불교신문 기사에 자세히 정리했으니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666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 역사] 속초 보광사영랑호 아름다운 풍광 자랑대웅전 불상 복장 안에서400여년 전 발원문 나와내관 위해 발원 첫 불상전문가 감탄 자아낸 보물 속초 영랑호를 가면 보광사(普光寺)가 있다. 해수와 담수가 반반 섞인www.ibulgyo.com 이를 백퍼 취신한다면 이곳은 1938년 청담 스님이 창건한 근대기 사찰이라 하지만 내력이 좀 묘한 구석이 있어 저 아티클에 의하면 "금.. 2023. 3. 14.
밥을 먹을때 마다 드는 궁금증 청동기시대 곡물 그대로 밥을 지어 먹어 보고 싶다!! 실험고고학으로 이미 시도 해 본 분이 있는 것으로 알지만, 요즘 음식재료는 모두 빼고 한번 밥을 시루로 지어 먹어 보고 싶음. 조밥, 피밥, 수수밥도 한번 지어 먹어봐야겠다. 그래야 쌀농사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원망이 이해가 갈 것 같음. 2023. 3. 14.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36) 철권통치자 이종철 그는 차우세스쿠였다. 그가 가는 곳엔 어김없이 절대왕정이 들어섰다. 그의 치하 국립민속박물관은 그의 말 한마디에 웃고, 말 한마디에 떠는 절대 왕국이었다. 공公이 곧 사私요, 사가 곧 공이었기에 시도때도 없이 쉬는 직원들을 불러냈다. 지금 국립민속박물관장인 천진기 역시 툭하면 주말에 호출을 받아 불려나갔다. 주말이면 바리바리 선물을 싸들고는 이 철권통치자를 따라 조직 개편의 키를 쥔 행정자치부나 예산 편성을 주무르는 재정경제부 담당 사무관이나 국장 집을 찾아가서는 하염없이 문앞에서 기다리곤 했다. 후문에는 맘에 안 드는 직원들에게는 ‘조인트’도 깠다고 한다. 그렇게 그는 자기가 많은 기관이나 부서를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고 뛰어다녔다. 직원들은 불만이 많았지만, 그 정성과 노력에는 혀를 내둘러 반란은 .. 2023. 3. 14.
사순 제3주일을 보내며 공주 황새바위 성지를 다녀오다 공주 지역에 천주교가 전파된 것은 신해박해(1791) 이전으로 추정된단다. 충청도는 전국에서 천주교 신자가 가장 많았다고 한다. 이에 따라 선교사들의 사목 거점도 충청도에 집중되어 있었다고. 공주는 한국천주교회 사상 최초로 성모신심회가 창설된 곳이란다. 공주는 기록상으로 가장 많은 교우가 순교한 곳이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순교 현장이 황새바위라고. 황새바위는 바위 위로 소나무가 늘어져 황새가 많이 서식하는 곳이라 하여 붙은 명칭이라지만, 일설에는 죄인들이 항쇄(목에 씌우는 칼)를 차고 바위 앞에 끌려가 처형되었다 하여 '항쇄바위'라고도 한단다. 당시 공주는 충청감영이 있어 사학죄인으로 잡혀온 신자가 많았다. 황새바위 아래 제민천변 백사장에서는 잡혀온 교우들이 참수되기도 했다. 황새바위에서 공개 처.. 2023. 3. 13.
쉰이 넘으면서 나는 성장이 멈췄다 무엇보다 열정이 식었으며, 또 그 무엇보다 나는 저 나이가 되면서 책을 놓았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힌다는 말은 딱 내 그것이었으니, 책을 읽는다는 것이 나로서는 살아있음의 확인이요, 무엇인가를 향한 열정과 무엇인가로의 습득이었지만, 나는 저 나이가 되면서 그 모든 것을 중단하고 말았다. 지치기도 했고 환멸이 일기도 했다. 또 무엇보다 체력 저하도 한 몫 했으니, 남들이야 편하게 운동하라 했지만, 설혹 내가 운동을 미친 듯 했다 해서 안 올 노안이 온 것도 아니요, 떨어질 체력이 바닥이 나지 않을 것도 아니었다. 저 무렵 나는 책을 놓았고, 또 일선을 떠남으로써 기자로서의 생명도 다했다. 내 스스로 선택한 것도 있지만, 그 직접 발단은 어처구니 없는 일이 도화선이기는 했지만, 그렇.. 2023.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