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7

건립 50주년을 맞은 남산 오벨리스크 by 이주화 안중근기념관 見利思義見危授命銘安重根遺墨石碑. 남산공원에 가면 누구나 볼 수 있는 이 석비가 세워진지 올해로 50년이 되었다. 어쩌면 기념관보다도, 안중근 동상보다도 더 유명한 이 석비는 높이 9.9m(33척), 가로 1.8m(6척), 두께 1m(3척 3촌), 무게 32톤으로 1973년 건립 당시 국내 최대의 자연 석비였다고 한다. 현재도 그러한지는 알 수 없으나 2015년 남산공원 회현자락 정비사업 당시 크기가 너무 커서 앞으로도 함부로 움직이기 힘들다는 얘기가 나왔었다. 그 모양을 보건대 분명히 이집트 오벨리스크를 의식해 가장 비슷한 석재를 찾아 세운 것이리라. 멀리서 보면 삼각 꼭짓점이 더 도드라져 보인다. 단양 하선암에서 비신을, 아래 대석은 가평 화악산에서 채석했는데 요즘은 이런 돌 .. 2023. 3. 16.
일본과의 정상화, 특히 학문의 경우 필자가 연구를 처음 시작했을 당시 1990년대 후반만 해도 우리나라 대학은 일본대학의 상대가 되질 않았다. 일본은 정말 너무 잘하는 연구자가 많았고, 한국은 너무 없었다. 비교 수준이 아니었다고 할까. 그 후 30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보면, 한국과 일본은 이제 그럭저럭 서로 비슷한 위치에서 대화가 되는 상황에 왔다고 할 수 있다. 다른 분야는 모르겠고, 필자 주변은 그렇다 이 이야기다. 일본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있는 것은 잘 알겠는데, 그렇다고 해서 언제까지 이렇게 갈 수는 없고, 중요한 것은 한국과 일본이 대등 한 입장에서 경쟁하고 협력할 수준에 와 있느냐가 지금 우리의 거취를 결정하는 최우선 잣대가 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필자는 그렇다고 본다. 아마 대부분의 분야가 지금 필자의 생각과 비슷한 위치.. 2023. 3. 16.
속초 보광사 목조지장보살좌상 조성·중수 발원문 아래는 아마도 2012년인가 문제의 복장을 확인하고 조사한 동북아불교연구소가 탈초하고 번역한 자료인 듯하다. 나는 이 자료를 관련 특별전을 개최 중인 속초시립박물관에서 받았음을 밝힌다. 내친 김에 번역도 손을 다시 보고, 주석까지 했으면 싶지만 현재로서는 여유가 나지 않는다는 핑계를 해 둔다. 관련 전시회 소식은 아래를 참조하라. 묘妙함으로 점철하는 속초 보광사 지장보살과 그 복장腹藏 묘妙함으로 점철하는 속초 보광사 지장보살과 그 복장腹藏이 속초 보광사普光寺라는 불교 사찰은 내가 가 본 적은 없으나 위성지도로 보니 영랑호 남쪽 가에 자리를 잡았다. 네이버 지도속초 보광사map.naver.com 이 사찰 내력은 다음 불교신문 기사에 자세historylibrary.net 보광사 목조지장보살좌상 조성·중수 발.. 2023. 3. 16.
장영실, 과학에 주린 국민국가 대한민국의 호명 흝으니 장영실은.. 아비가 지금의 절강 혹은 복건 일대 출신 테크노크랏으로 아마도 고려말 혼란기를 틈타 조선에 정착했으며, 조선에서 그를 붙잡아 두고자 관기를 아내로 주었다. 이를 발판으로 장영실 역시 특히 광물학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동래현 소속 관노로 있다가 태종 시대에 중앙에 발탁되어 상경한다. 그가 죽 관적을 둔 분야는 군대였으니 이는 아마도 광물을 만지는 일이 무기 제조와도 밀접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방원에게 굄을 받은 그는 세종한테도 총애를 얻어 때론 내시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그가 벼락 출세한 사건은 익히 알려졌듯이 자격루 제작이다. 자격루는 세종 자신이 직접 도안 설계했다. 하지만 이 설계를 구상으로 해체하는 일은 장영실이 담당했다. 따라서 자격루 제작 절반의 공로는 장영실이 맞다. 이를.. 2023. 3. 16.
일본학계가 디테일이 강하다는 주장에 대하여 일본학계가 디테일이 강하다고 대단하다고 이야기하는 나라나 그게 정말 대단한걸 줄 알고 있는 그쪽 당사자나 양쪽 모두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다. 생각해보자. 디테일이라는 건 소금과 같아서 음식 만들 때 들어가야 할 때 들어가야 하는 거고 또 들어갈 곳에 없으면 안되는 것인데, 음식에 소금 친다고 대단하다는 거 하고 똑같은 소리 아니겠나? 기본적으로 디테일이라는 게 어떻게 학문의 장점으로 거론될 수 있나? 그런 소리를 서구권 친구들에게 하면 아마 무슨 소리인지도 모를 것이고 자세히 설명해주면 아마 픽 웃지 싶다. 음식에 소금쳐서 대단하다는 소린데, 양쪽 다 웃기는 놈들이라 하겠지. 디테일이라는건 학문을 한다면 당연히 있어야 하는 소금같은 것이고, 또 거기에 심취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디테일은 학문의 목적이 될.. 2023. 3. 16.
[2023 런던 풍경] (6) 영국박물관 British Museum ② 한국실 by 장남원 영국박물관 상설전시들은 Goole & Art Culture와 연계하여 온라인으로 그 배치와 분위기를 볼 수 있지만, https://g.co/arts/bfW9H5UJXSHSaYEm9 British Museum, London, 영국 — Google Arts & Culture artsandculture.google.com 2023년 한국실에는 또 변화가 있었다. V&A 한류전에 나간 유물 빈 자리에는 다른 유물들로 자연스럽게 교체되었고, 한국실이 주도하여 히라야마 스튜디오에서 진행한 복원 회화 유물들로 새롭게 단장했다. 전보다 차분한 인상이다. 한국실 앞 계단층에는 오륜행실도 병풍이, 실 입구 벽에는 평생도가 전시되었다. 전시실 안에 새로 걸린 10여 점 회화는 보존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와 함께 전시되었다.. 2023.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