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27 예천박물관 왔니껴? 왔니더! 지방 출장 마지막 날, 안동을 들렀다가 안동에서 가까운 예천박물관에도 들렀다. 예천박물관은 예천충효관에서 2015년 예천박물관으로 승격하고, 4년 간의 공사 끝에 상설전시실, 세미나실, 기획전시실, 수장고, 어린이체험실 등을 갖추고 2021년 2월 재개관했다. 박물관 개관준비 중 관내의 많은 문중 소장유물을 기증, 기탁받았는데, 박물관을 개관하기도 전에 수장고가 이미 유물로 가득찼다고 할 정도였다. 지금은 소장 유물 중 보물이 268점으로 공립박물관 중 가장 많은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고 하니 자랑할만 하다. 어떻게 이 많은 유물을 문중에서 선뜻 박물관에 기증하셨을까 궁금했는데, 예천박물관 관장 이재완 학예연구사님이 그동안 지역에서 문중 어르신들과 쌓아온 두터운 신뢰 덕분이란걸 알게 됐다. 어르신들의 마음.. 2021. 3. 3. 앙코르와트시대 베트남 지역 기와와 브로꾸 앙코르와트 시대의 베트남 지역에서 사용한 건축자재들이다. 기와와 벽돌이다. 이 지역이 앙코르 제국에 편입되지 않은 걸로 아는데 상호 영향 관계는 밀접하다고 안다. 다행히 국내에도 이 시대 동남아 와전을 전공하는 친구가 있다. 하노이 베트남국립역사박물관 소장품이다. (2017. 3. 3) *** 이후 그 친구는 불란서 리옹대학에서 따고는 귀국해서 목포로 귀향한 뒤로는 감감 무소식이다. 2021. 3. 3. 아산 외암마을에서 느닷없이 튀어나온 선사시대 집터 아산 외암마을서 청동기·원삼국시대 주거지 확인 이은중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2 09:38:28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편 등도 출토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1640894442 아산 외암마을서 청동기·원삼국시대 주거지 확인 (아산=연합뉴스) 이은중 기자 = 충남 아산 외암마을(국가민속문화재 제236호)에서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 주거지와 수혈 유구 등이 처음으로 확인됐다.아산시는 외암 이간 선생의 생가터 복원 k-odyssey.com 그제 앞과 같은 소식이 전해졌으니, 발굴조사가 이뤄진 곳이 다름 아닌 외암마을이라는 점이 눈길을 끌지 아니할까 싶다. 외암마을은 세계유산에 나란히 이름을 올린 안동 하회마을·경주 양동마을과 더불어 현재까지도 .. 2021. 3. 3. <문화재 이야기> 한반도 공룡, 없어서 못찾을까? *** 아래는 2014년 3월 3일자 기사다. 이런 지적이 있었다 해서 즉각 바뀌리라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하다 못해 법률 자체의 모순도 바뀌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 문제다. 한반도 공룡, 없어서 못찾을까? 3점 화석 발굴.."수풀 많고 전문가 적어 찾기 어려울뿐"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한국공룡연구센터에는 학명이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Koreanosaurus boseongensis)인 공룡뼈 1점이 전시 중이다. 2004년 천연기념물 418호인 전남 보성군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에서 전남대 허민 교수팀이 발굴했다. 머리가 없는 이 조각류 초식 공룡은 몸길이 1.5m에 비록 머리뼈는 없지만 목뼈에 갈비뼈와 앞다리뼈가 연결된 상태로 발견됐다. 이 공룡뼈는 여러모로 한국 고척추동물 발굴 .. 2021. 3. 3. 누가 그려 누구한테 선물했다는 걸로 결딴난 그림값 처칠이 2차대전때 그린 풍경화 109억원에 낙찰 김용래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2 10:41:03 1943년 카사블랑카 회담 직후 마라케시 그린 그림 루스벨트 생일에 선물…경매 나오기 전엔 앤젤리나 졸리가 소장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5540555137처칠이 2차대전때 그린 풍경화 109억원에 낙찰1943년 카사블랑카 회담 직후 마라케시 그린 그림 루스벨트 생일에 선물…경매 나오기 전엔 앤젤리나 졸리가 소장(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2차 세계대전 승리의 주역이었던 윈스턴 처칠(1874k-odyssey.com 참 알다가도 모를 것이 그림값이라, 고흐 고갱 그림이라고 다 비싸겠는가? 이른바 예술가라는 사람들은 생평을 예술한답시면서 보.. 2021. 3. 2. Today of Seoul 비가 내린 직후 서울은 언제나 그랬듯이 오늘 역시 그러하다. 2021. 3. 2. 이전 1 ···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 32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