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6 [유성환의 AllaboutEgypt]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 (10) 투탕카멘의 사인 - 국왕살해의 범인은 누구인가 (2) 투탕카멘 Tutankhamun (재위 기원전 1336~1327) 사후 왕위에 오른 인물은 아이 Ay (재위 기원전 1327~1323)와 호렘헵 Horemheb (재위 기원전 1323-1295)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이 소년왕을 살해한 범인들일까요? 롱아일랜드 대학 Long Island University 선임연구원 밥 브라이어 Bob Brier (1943년-현재)는 투탕카멘을 시해한 범인으로 아이를 지목했습니다. 그러나 아이 역시 투탕카멘을 살해할 이유가 거의 없는 인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여러 정황 증거를 근거로 학자들은 아이를 아멘엠하트 4세/아켄아텐 Amenhotep IV/Akhenaten (재위 기원전 1352~1336) 어머니인 투야 Tuya 형제, 그리고 / 혹은 왕비 네테르타리 N.. 2022. 12. 19. 동학농민전쟁의 '농민'은 참으로 모호한 개념 당시 향촌에는 잔반, 향리, 전호, 노비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다양한 계층이 다른 지적수준을 가지고 존재했다. 이들 모두를 "농민"이라고 뭉떵그려 불러버리면 19세기 후반 상황에 대한 분석에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실제로 동학군에는 양반계급도 상당히 많이 합류 해있었고 잔반은 부지기수였다.) 개인적으로는 19세기 후반, 소위 중인, 잔반, 향리, 그리고 상층 노비, 부유한 상인 중 국제정세에 밝고 한국사회의 침로에 대해 명확한 방향의식을 지닌 이들이 왕조 멸망 이후를 준비하고 있었어야 한다고 보는데 실제로 바로 이 계층이 메이지 유신처럼 조선왕조 타도 이후 정권을 장악하고 발빠르게 국제정세에 대처하지 않았다면 한국의 근대화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 본다. 한국은 일본보다도 앙샹레짐의 타도가 이미.. 2022. 12. 19. 동학혁명 유감 이전에도 여기 글을 쓴바 있지만 필자는 소위 말하는 실학 중농학파는 근대화의 선구로 보지 않는다. 그렇다면 "동학농민전쟁"의 주체인 "농민"이 새로운 세상을 열수 있었을까? 개인적으로 우리가 식민지화 하지 않고 일본의 메이지 유신처럼 구체제인 조선왕조가 타도되고 신정부가 출범해야 한다면 아마도 그 주체는 향리, 잔반 등 중 하층 식자들과 중인 그룹, 그리고 부상들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이들은 일본사 메이지 유신의 주체인 하급무사와 부유한 죠닌 계급에 대응하는 것이라 보았다. 아마 조선왕조가 종식되고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면 이들이 주체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참으로 안타까운 것은 앙샹레짐을 넘어뜨려야 할 역할을 해야 하는 이 사람들이 세상을 너무 몰랐다는것. 이들의 손에는 반 주술적인 믿음 대신 당.. 2022. 12. 19. 눈 내린 천년의 숲, 아산 봉곡사 이렇게 눈 내린 날, 봉곡사에 갈 거라고 미리 알았더라면 저는 이런 복장으로 오지는 않았을 겁니다. 입구부터 약 15분 정도 올라가면 봉곡사라는 작은 절이 있는데요, 그 15분 올라가는 길이 소나무숲이라 풍경이 아주 예쁩니다. 겨울이라 눈까지 솔가지 사이로 소복히 쌓여 설경이 정말 멋졌습니다. 설경을 보며 천천히 올라가니, 소복소복 쌓인 눈들 사이로 절이 보입니다. 가볍게 산책하며 조용한 분위기를 느끼고 싶다면, 아산 봉곡사에 들러보시길 바랍니다. 봉곡사 충남 아산시 송악면 도송로632번길 138 봉곡사 : 네이버 블로그리뷰 364 m.place.naver.com 2022. 12. 18.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법금法禁의 해체와 국민의 탄생 인류 문화사는 국민國民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이 추상명사이자 집합명사인 국민이 주권자로 설정된(혹은 상상된) 국가를 국민국가nation state라 한다.이 국민,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국민국가가 언제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서구에선 논란이 적지 않은 줄로 안다. 한데 이 국민과 국민국가의 분기점이 명확히 갈라지는 곳으로 동아시아 문화권 만한 데가 없다.동아시아 전근대 법률 혹은 그에 버금 가는 각종 예제를 본 적이 있는가? 그 어디에도 개인을 말하지 않았으며 그 어디에도 그들의 권리를 말하지 않았다. 그들은 언제나 전체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계급의 일부였고 공동체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언제나 집합명사였고 언제나 추상명사였다.그런 계급 그런 공동체의 규범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강박과 윽박만이 존.. 2022. 12. 18. 2023년 88차 미국고고학회 예비 프로그램 내년 미국고고학회 예비 프로그램입니다. 아직 초록은 없는데 프로그램도 볼만 합니다. 한번씩들 보시길. *** 편집자注 *** 이 행사를 주관하는 데가 미국고고학회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SAA) 라 그에 대해서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조하라. 이거 보고 한국고고학회 홈피를 보지는 마라. 짜증 나니깐 https://www.saa.org/ Home The SAA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research, interpretation, and protection of the archaeological heritage of the Americas. www.saa.org 참고로 이 SAA 발 최신 뉴스 중 하나로 SA.. 2022. 12. 18. 이전 1 ···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 36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