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7

고려사에 나오는 진흥왕 순수비 앞서 윤관 북벌이 미친 지역이 진흥왕 때 순수비가 서 있는 지역 안쪽과 거의 비슷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고려사 윤관 열전에 보면 이를 시사할 만한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1. 윤관이 정벌하여 획득한 땅에 대한 설명이 그 열전에 이렇게 나온다. 其地方三百里, 東至于大海, 西北介于盖馬山, 南接于長·定二州, 山川之秀麗, 土地之膏腴, 可以居吾民. 而本勾高麗之所有也, 其古碑遺跡, 尙有存焉, 夫勾高麗失之於前, 今上得之於後, 豈非天歟? 그 땅의 둘레는 300리로 동쪽은 대해大海에 이르렀고 서북의 경계는 개마산盖馬山이며 남쪽으로는 장주長州·정주定州의 2주에 닿았는데, 산천은 수려하고 토지는 기름져서 우리 백성들이 살 만하였다. 본디 고구려 소유로 옛 비석 유적이 아직도 남아 있었다. 무릇 고구려가 예전에.. 2022. 12. 23.
한국사가 특필해야 할 정안국定安國 정안국이라는 나라가 있다. 발해가 멸망한 후에 그 유민이 세운 나라로 발해 멸망 후 부흥운동을 설명할 때 나온다. 이 나라에 대해서는 주목해야 할 이유가 몇 가지 있다. 간단히 써 본다. 1. 우선 정안국이라는 나라는 존속 기간이 아주 길다. 사서에 나오는 부분 그 전기간을 존속했다고 본다면 938년에서 985(혹은 986년까지) 무려 50년 가까이 존속했다. 후백제 존속기간이 36년 정도다. 2. 정안국은 발해 땅 중에서도 대체로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 일대에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위치가 위치인 만큼, 그 주민은 말갈계가 아니라 예맥계였던 모양으로 중국 사서에는, 定安國本馬韓之種 이라 해놨다. 발해에 대해 중국이 끈덕지게 속말말갈 딱지를 붙이려 했던 것과 비교해서 이례적이라 할.. 2022. 12. 22.
수레[車] 마구馬具 관련 부품 명칭 수레나 말은 자동차 발명 이전에는 자가용이었다. 그런 만큼 그 부품 명칭은 일상 생활 깊이 들어와 각종 비유로도 널리 쓰였다. 그 명칭이 복잡 다기하기는 하지만, 이것만 잘 익혀 놔도 써 먹을 만한 데가 적지 않다. 저 도판은 진시황제 병마용갱 중 제2호갱 출토 마차 실물을 토대로 하는 복원품 마차와 수레 관련 부품별 명칭이니 수시로 참조하기 바란다. 2022. 12. 22.
신라사 최대 미스터리 금성金城, 그것이 있을 곳은 지구상 오직 하나 월성이 왕궁으로 기능하기 전, 혹은 그것이 건설되기 전, 나아가 그것이 건설되고서도 한동안 같이 왕궁으로 기능한 금성金城이야말로 명실상부한 천년왕국 신라의 정궁正宮이요 법궁法宮이다. 그것을 증언하는 기록들을 보면 월성보다 금성은 규모가 컸다. 그렇지만 그 기록 자체에 모순투성이라, 무엇보다 그 위치를 가늠할 수 없다. 그렇지만, 금성이 포진할 수 있는 데는 지구상 딱 한군데 밖에 없다. 좁에 잡으면 앞, 넓게 잡으면 아래쪽이 금성이 포진하는 범위다. 이쪽 지역을 금성 후보지로 지목한 이는 더러 있다. 이건 내가 그들의 견해를 따라서가 아니라, 순전히 내가 관련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성과들을 비교해 검토할 적에 때려죽여도 금성 위치는 저 범위에 포진한다. 2022. 12. 22.
진흥왕대 국경선 아래 김 단장 쓰신 글을 쓰고 덧붙이면, 신라가 진흥왕 때 동해안을 따라 멀리 북상했는데, 저때 신라는 가다가 멈춘 것이 아니라 종족적인 면에서건 지리적인 면에서건 거의 갈 때까지 간 상태였다고 봐도 옳지 않을까 한다. 실제로 신라의 저 동북쪽 경계선은 돌파가 지난하여 그 후 900년이 지난 세종대에야 겨우 돌파하여 두만강 선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윤관의 북벌은 여러가지 이설이 있지만 그 북쪽 경계가 진흥왕의 북벌선 이북으로 못 올라갔으리라 본다. 윤관의 북벌 북상 최대를 두만강 넘어 선춘령으로 본 것은 희대의 천재 세종이 육진을 우리 땅으로 굳히기 위한 명분쌓기용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실제로 윤관 북벌의 북상치는 지금 황초령, 마운령비정도였을 것이라 본다. 윤관도 이때 지리적 경계, 종족적 경.. 2022. 12. 22.
고려가 제작해 일본, 그리고 오키나와로 간 범종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지난 16일 오후 3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미국에서 활동하는 동아시아 불교미술사 분야 전문가 셰리 파울러 Sherry D. Fowler 미국 캔사스대학교 교수를 초빙해 '한국-일본-류큐를 이은 가교: 일본의 두 고려 범종 Two Buddhist Bells as Interregional Bridges between Korea, Japan, and Ryukyu'을 주제로 하는 특별 강연을 개최했다는데, 문화재청장(최응천)이 범종 전문가라서인지 그런 인연에서 비롯한 특강 아닌가 싶다. 이 강연이 연구원으로서는 "국제적 관점에서 우리 문화유산을 연구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지향적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올해 시범 운영하는 '국외 전문가 초청사업(Visiting Scholar P.. 2022.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