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5

기원전 11세기-8세기: 이때 무슨 일인가가 벌어졌다 중국의 기후사를 보면 기원전 11세기에서 기원전 8세기 사이에 격변이 일어났다고 본다. 이 무렵에 평균기온이 2-3도 정도 떨어졌다고 보는데 이 시기를 전후하여 화북지역의 동식물 분포가 크게 변화했다 한다. 동식물 분포 뿐일까. 이렇게 큰 기후 변화가 인간 생활을 변화시켰을 것이다. 진령회하선 (秦岭-淮河线)이라는 말이 있다. 북중국과 남중국을 나누는 가상의 경계선으로 이를 기점으로 남북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쌀과 밀을 주식으로 하는 경향까지 바뀐다고 하니 매우 유용한 경계선임을 알겠다. 기원전 11세기 이전이 이후보다 2-3도 정도 따듯했다는것은 진령회하선이 오늘날 보다 더 북쪽이었다는 의미도 된다. 다시 말하면 쌀농사가 생각보다 훨씬 북쪽까지도 행해졌을 것이라고 본다. 필자는 바로.. 2022. 7. 19.
동네북도 아니고, 강화서 쫓겨나는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강화문화재연구소, CCTV 관제센터에 밀려 서울로 손현규 / 2022-07-18 21:22:55 강화문화재연구소, CCTV 관제센터에 밀려 서울로 (인천=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인천 강화군 소유 건물을 임시로 빌려 쓰고 있는 국립 강화문화재연구소가 새로 들어올 폐쇄회로(CC)TV 관제센터에 밀려 한동안 서울로 이전할 처지에 놓였다.18일 k-odyssey.com (인천=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인천 강화군 소유 건물을 임시로 빌려 쓰고 있는 국립 강화문화재연구소가 새로 들어올 폐쇄회로(CC)TV 관제센터에 밀려 한동안 서울로 이전할 처지에 놓였다. 18일 강화군 등에 따르면 강화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2월 국립문화재연구원 소속 연구기관으로 설립된 이후 올해까지 6년째 강화군 소유인 옛 군립도서관 .. 2022. 7. 19.
장마가 만들어 낸 그린카펫 장마철은 덥고 습하다. 장마철 동안 늘 비가 오는 것은 아니지만, 비가 오는것만큼이나 불편한 것이 높은 습도다. 오늘이 바로 그런 날씨였는데, 습도가 높고 비가 오락가락했다. 높은 습도는 불쾌지수와 짜증을 올리지만, 이 습하고 물기많은 것을 좋아하는 것이 있으니, 그늘진 고목이나 바위에서 자라는 이끼가 그렇다. 이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는 이끼가 어느 왕릉 금천가에 자라고 있는 나무 위를 덮었다. 그리고 그 위에 또 자리잡은 민들레. 세 가지 생명이 공존하고 있다. 만지면 폭신폭신할 것 같은, 마치 벨벳으로 만든 그린카펫을 깔아 놓은 것만 같다. 2022. 7. 18.
맹꽁이는 꼴랑 한 마리가 멈춰세운 아파트를 문화재는 왜 못 막는가? 오염토에 맹꽁이 재출현…인천 청년주택사업 '스톱' 최은지 / 2022-07-18 14:44:21 오염토에 맹꽁이 재출현…인천 청년주택사업 ′스톱′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멸종위기종인 맹꽁이 서식 등으로 공사를 멈췄던 인천의 청년주택 건설 사업이 맹꽁이의 재출현으로 다시 무기한 중단됐다.18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 7월까 k-odyssey.com 건설업자들 얘기를 종합하면 요새 무슨 재해안전과 관련한 법이 강화한 버전이 저승사자로 군림한다지만, 종래 가장 두려운 존재로 둘을 꼽곤 했으니, 하나가 문화재요 다른 하나가 맹꽁이였다. 관할 정부부처로 보면 문화재청과 환경부 관련 소관이다. 물론 맹꽁이야 꼭 맹꽁이만이겠는가마는 그 이종사촌 금개구리도 있어 이와 같은 소위 멸종위기종이 출현하기만 하.. 2022. 7. 18.
천연기념물 노거수를 오래 지키려거든 무참하게 가지를 잘라라 간밤 비가 제법 오더니 장성 독거 기숙처인 하남정사 배롱나무가 이 꼴이 났다 하면서 오늘 아침 독거가 저 사진을 증거로 제시했으니 난 아무 잘못 안했는데 지가 스스로 뿌사졌다 이런 오리발 아니겠는가? 배롱은 지금 한창 만개하는 시즌이라 그제 비온 직후 남영동 사저 인근 빗물 잔뜩 머금은 배롱 꽃이다. 만개한 배롱이 물 잔뜩 머금은 무게가 얼마나 될지 추산하면 적지 아니할 것이요 저 장성 독거 배롱 역시 그 무게 견디지 못하고 팍싹했다. 저 배롱이 얼마나 단단한가 하면 목도장 파는 주된 도구가 실은 배롱이라는 사실이 우뚝 하게 증언한다. 그만큼 강한 나무요 더구나 하남정사 저 배롱은 사람으로 치면 청년기에 해당한다. 그런 배롱도 여지없이 붕괴했다. 한데 우리가 더욱 주시해야 할 대목은 저 독거 구순 어른께.. 2022. 7. 18.
[아라리오갤러리 ARARIO GALLERY] 씨킴 전시 / 전시보다 재밌는 뮤지엄샵 천안이라는 도시에 그래도 ‘문화’라는 단어를 집어 넣은 사람이 있다면 아라리오 갤러리 김창일회장이 아닐까 싶다. 천안역 매점부터 시작하여 28살에 천안터미널 사업을 인수하며 창업해 터미널, 백화점, 영화관, 음식점, 뮤지엄, 갤러리를 소유한 아라리오를 일구어낸 성공 스토리는 아마 알만한 분들은 아시리라 생각한다. 김창일회장은 2005년에는 선정으로 아시아인 최초로 세계 100대 컬렉터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여하튼 천안 터미널에 딱 도착하면 내로라하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들알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모두 김창일회장 컬렉션이다. 아 중간중간에는 김창일회장(씨킴) 작품도 있다. 길을 걷다가 같이 간 지인이 한 번 들러 보고 싶다하여 방문하였다. 나도 정말 오랜만에 방문한 터라 어떻게 바뀌었을 지 내심 기.. 2022.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