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58 하늘은 잊지 않는다 “밝은 하늘이 회복되지 않으니 근심 한이 없구나. 먼 훗날 반드시 돌아오니 천도의 법칙이로다. 제자들이여 힘써 공부하라, 하늘이 잊지 않으리.〔皓天不復 憂無疆也 千秋必反 道之常也 弟子勉學 天不忘也〕”《순자(荀子)》 〈부(賦)〉 2020. 12. 19. 白也詩無敵 白也詩無敵 백야시무적 이라...백 형, 시는 당신을 따를 자가 없소 두보杜甫는 이백李白을 추억하며 이리 읊었다. (문제의 구절은 春日憶李白 첫 대목이다.) 이상한 점은 두보가 이백을 지목하며 쓴 시로 몇 편이 전하고, 더구나 그 하나하나가 다 명편이라 소문이 자자한데, 까꾸로 이백이 두보를 염두에 두고 쓴 시는 없다. 있다고 주장하는 작품이 있기는 하나 영 비실비실해 그의 작품이 아닌 듯하다. 같은 급이 아니라 생각했을까? 뭔가 있긴 했을 터인데, 백형 주특기는 뱉어버리고 쳐다도 안 보고 던져버린 까닭에 무수한 작품이 산일散逸한 까닭이리라. 하긴 뭐 돌이켜 보면, 두씨가 애틋한데 백은 그러지는 못해서 성격 차이에서 말미암을 수도 있다. 두보가 한 잔 빨다가 독작을 했는지, 술 친구가 없어 열라 적적해 저.. 2020. 12. 19. 영어발달사, The making of English by Henry Bradley 내가 다닌 Y대 영어영문학과에서 전공 필수인 영어발달사는 조철현 선생이 강의하셨고, 그 교재가 The making of English, Henry Bradley (1845-1923)였다. 생몰연대를 보면 시대에 쳐진 교재였음에도 영어발달사를 간략히 정리했다 해서 이 책을 교재로 썼던 듯하다. 물론 그 시대 교재는 모조리 불법복제판이었다. 각중에 이 책이 생각나 찾아보니 저작권 만료되었다고 원문 제공을 하네? https://archive.org/details/makingofenglish00bradiala The making of English : Bradley, Henry, 1845-1923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archi.. 2020. 12. 19. 궁금한 건 못참아, Aksum Kingdom 얼마 전 방한한 인도 고고학도 만지리 Manjil라는 친구를 만났다 했거니와, 그러면서 그의 전공 중 하나가 지금의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지방에 흥성한 악숨 왕조(Aksum or Axum Kingdom) 고고학이라 했으니, 그의 이런 설명을 들으면서 내가 각중에 에티오피아를 가고 싶단 생각이 들었단 말을 한 적이 있음을 당신들은 기억하리라. 그때는 무심해 넘겼으니, 도대체 왜 인도 친구가 악숨 고고학일까 의아해 했거니와, 이 지도를 보니 로마와 인도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지점 홍해 연안에 위치한 곳이 바로 악슘 왕조임이 여실함을 안다. 그랬다. 바로 이 교통로 격절지점을 인도 친구가 전공으로 택한 까닭이 바로 이것이었다. 로마와 인도간 접촉을 논할 때, 나는 막연히 이란 고원을 관통하는 북로만 생각했더니, .. 2020. 12. 19. 사형수들 처단하는 방법 17명 살해 이탈리아 희대의 연쇄살인마 코로나19로 옥중 사망 2020-12-18 19:15 공유 댓글 글자크기조정 인쇄 전성훈 기자 www.yna.co.kr/view/AKR20201218158800109?section=safe/news&site=hot_news 17명 살해 이탈리아 희대의 연쇄살인마 코로나19로 옥중 사망 | 연합뉴스 17명 살해 이탈리아 희대의 연쇄살인마 코로나19로 옥중 사망, 전성훈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2-18 19:15) www.yna.co.kr 기록을 보면 한국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실제로 사형이 집행되기는 1997년 12월 30일이 마지막이었단다. 김영삼 정부 시절인 이때 사형를 언도받고도 국록을 축내던 23놈이 일괄로 사형이 집행되었다고 하니, 이후엔 주로 종.. 2020. 12. 18. 물에 들면 자취없고 땅에선 무더기 되는데 처마 앞 날아가다 바람 만나 돌아오네 [이규보] 동국이상국전집 제13권 / 고율시(古律詩) 눈을 읊다[詠雪] 3수 하늘에 휘날리고 땅을 뒤덮어 끝이 없고 높은 산에 쌓이고 구덩이 메워 아득하네 소매에 나부끼다 머뭇머뭇 사라지니 여섯 모를 이룬 그 이치 알 길 없구나 물에 들면 자취없고 땅에선 무더기 되는데 처마 앞 날아가다 바람 만나 돌아오네 너울너울 춤추면 나비인가 의심하고 이름한다면 매화와 분간할 수 없네 은 봉우리 이루어 창문 앞에 나열하고 구슬 바퀴 만들어 길가에 버려두네 이것이 백염과 밀가루라면 자기집 뜰에 쌓인 것도 혼자 쓰기 어려우리 ⓒ 한국고전번역원 | 정지상 이장우 (공역) | 1980 匝地渾天同浩浩。埤高塡塹混茫茫。飄颻點袂逡巡滅。六出功夫未細詳。 入水無蹤着地堆。過簷飛去遇風迴。却因喜舞全欺蝶。若更儲名莫辨梅。 簇成銀嶺擁窓前。推作瓊輪委路邊。若是.. 2020. 12. 18. 이전 1 ··· 2053 2054 2055 2056 2057 2058 2059 ··· 32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