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83 이토 히로부미 글씨라서 가리거나 지운다고? 100원짜리 동전에 새긴 이순신 영정 바뀌나 송고시간 2020-11-10 06:01 문체부, 장우성 화백 그린 충무공 영정에 대해 표준영정 해제 심의 중 100원짜리 동전에 새긴 이순신 영정 바뀌나 | 연합뉴스100원짜리 동전에 새긴 이순신 영정 바뀌나, 성서호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20-11-10 06:01)www.yna.co.kr 이놈의 친일놀음은 언제까지 봐야하며, 언제까지 해야는지 지긋지긋하거니와, 장우성이 친일행적이 있거나 명백하다 해서 이순신 영정을 표준영정에서 해제해야 한다는 발상을 나는 동의하지 못하거니와, 예술가적 감각과 독립의식은 전연 별개라, 저 논리대로라면 안중근이, 김구가 초상을 그려야 하겠는가? 나는 저 표준영정제도 자체가 국가폭력이라 언제나 주장했으며, 그런 신념에는 하.. 2020. 11. 10. 충북 진천의 김유신 사당 길상사 진천 김유신 사당 '길상사' 이전…문중 반발로 백지화 송고시간 2020-11-09 14:24 박종국 기자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태실 인근으로 옮겨 관광활성화" 종친회 "충북도 기념물 1호 지위 상실…이전사업 반대" 진천 김유신 사당 '길상사' 이전…문중 반발로 백지화 | 연합뉴스 진천 김유신 사당 '길상사' 이전…문중 반발로 백지화, 박종국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1-09 14:24) www.yna.co.kr 충북 진천鎭川은 김유신이 탄생한 곳이다. 삼국사기 지리지와 세종실록지리지 등지에 의하면, 진천은 고구려 수중에 있을 적에는 금물노군今勿奴郡 혹은 만노군萬弩郡이라 했다가 신라 경덕왕 시설에 흑양군黑壤郡 혹은 황양군黃壤郡이라 했고, 고려시대에 접어들어 진주鎭州라 함으로써 진천이라는 지명이.. 2020. 11. 9. 발굴로 드러난 전라우수영, 명랑대첩의 지휘소 아래는 문화재청이 2020. 11. 9 배포한 보도자료를 손질한 것이다. 원의를 훼손하지 아니하는 선에서 문장이 매끄럽지 못한 부분을 바로잡고, 문맥이 통하지 않는 대목을 바로잡았지만, 여전히 아리숑숑한 부분이 없지는 않음을 밝힌다. 전라우수영 중심 관아터 진출입 시설 확인 - 11.10. 오후 2시 30분 발굴현장 설명회 개최, 명량대첩 군사요충지로 의미-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허가를 받아 해남군(군수 명현관)에서 추진하는 해남 전라우수영(사적 제535호) 조사 결과 명량대첩 주요 무대 중 한 곳인 전라우수영의 중심 관아터로 통하는 진출입 시설이 드러났다. 현장공개는 11월 10일 오후 2시 30분 현장에서 진행한다. * 발굴 장소: 전남 해남군 문내면 동헌길 37(동외리 1187-2외) 일원 해남 .. 2020. 11. 9. to make America great again vs. to make America respected around the world agai edition.cnn.com/videos/politics/2020/11/07/joe-biden-election-victory-national-address-full-speech-postelex-vpx.cnnJoe Biden victory speech: Full video - CNN VideoPresident-elect Joe Biden delivered his first address after American voters chose the Democrat as its 46th president.www.cnn.com 그제 조 바이든이 마침내 제46대 미국 대통령선거 승리를 확정하는 연설을 델라웨어 윌밍턴 Wilmington 이라는 데서 했거니와, 그 스피치는 누가 작성했는지 모르겠지만, 문장 자체가 명문.. 2020. 11. 9. [독설한국미술사] 도식적 옷주름 불교미술사 같은 분야 종사자들이 항용 어떤 조각품을 묘사할 때 쓰는 말 중에 다음과 같은 말을 도대체 어떻게 시각화해야 할지 난감무지다. "평면적 신체 표현, 도식적 옷주름" 도대체 뭐가 평면적이며, 어떻게 해야 도식적인지? 제발 불교미술사, 이런 말 좀 쓰지 마시오. (2012. 11. 9) 2020. 11. 9. 번역 역주는 찬撰이다 撰이라는 말이 흔히 통용하기를 편찬, 창작에 가깝지만 중국에서는 고래로 자기 작품이 아닌 남의 작품을 편집하는 일도 이 말로 표현하곤 했으니, 이런 전통이 지금도 남아있다. 한데 이 말이 대체로 순수한 창작물을 선호해서 사용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중국 위진남북조 양나라 태자 소통이 자기집을 드나드는 문사들과 함께 묶은 시문 엔쏠로지인 문선文選을 보면 판본에 따라 소통 撰이라 적은 일이 많거니와 이 대목에 고래로 문선 주석서가 옛날에는 순수 창작이 아닌 자료 편집 정리에도 찬 이라는 말을 썼다는 언급이 보이는 점이 그 한 증거다. 우리 지식인 사회에선 역주나 번역 같은 데다가 저런 식으로 그런 결과물을 찬이라 표현하는 일은 드물다. 나는 이것이 번역 역주에 대한 사회 전반의 아직은 낮은 평가와 연결.. 2020. 11. 9. 이전 1 ··· 2120 2121 2122 2123 2124 2125 2126 ··· 32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