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88

삼송에 불이 났다고 최아영 제공 2020. 11. 6.
이 판국에 미국은 코로나 확진자도 신기록 참 골때리는 나라다. 민주주의 첨단을 달리는 듯하나 곳곳에서 후진성 퇴행성이다. 진 것이 뻔한데도 승복하지 못하겠다고 땡깡을 지기는 나라. 점찍은 후보가 당선되지 못한다고 총기들고 나서는 나라. 지역갈등에 인종갈등이 더 극심한 나라. 미국은 empire of chaos다. 저리고도 나라가 굴러가는 것도 신기하고 저러고도 세계를 여전히 제패한다는 것은 더 기이하다. empire of heean..희안의 나라다. 각종 사고 뭉치를 당당히 대통령으로 뽑은 나라. 그런 대통령을 다시금 국민 절반이 열렬히 박수갈채하며 환호하는 나라. 고삐풀린 망아지마냥 바이러스 날뛰게 놔두어 하루 확진자만 물경 12만명..우리네 중급 지방도시 하나가 코로나 소굴이 되는 나라. 이번 바이러스 희생자만 이달 말까지 26만6천영을 달.. 2020. 11. 6.
재평가해야 하는 16세기 호남 시단 16세기 호남에서 활약한 문인들 가운데 소쇄원이나 식영정을 중심으로 활약한 이들이 끼친 영향을 대단히 높게 평가해왔다. 그러나 그들과는 결을 달리하는 다른 일군이 있었으니 눌재 박상, 고봉 기대승으로 이어지는 시단이 있었다. 그 맥은 기대승의 손서인 현주 조찬한에게 이어졌는데, 그는 장성 옛 진원현 토천에 백설헌을 짓고 살며 그의 형 조위한 그리고 친구인 석주 권필과 토천에서 그 유명한 〈토천연구〉를 남기기도 하였다. 석주 권필 역시 토천과 가까운 장성 수류촌에 10여 년을 살며 현주와 더불어 시사를 열었다. 그 문인 가운데 한 사람이 요월정의 주인 추담 김우급이었다. 그는 토천 시사에서 석주 권필이 시어를 짜내느라 골몰하던 모습을 회상하는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조찬한의 아들이며 택당 이식의 사위인 삼.. 2020. 11. 6.
각종 문화재로 칭얼칭얼 감은 만대루, 사중잠금장치 안동 병산서원은 1978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다가 거푸 세계유산 타이틀도 썼으니 한국의 전통마을 양동마을과 하회마을 중 일부로 들어가 세계유산이 되더니 얼마전엔 한국의 서원에도 이름을 올려 두번째 세계유산 타이틀을 쥐었다. 만대루晩對樓는 이곳 병산서원을 구성하는 핵심 건축물이라 그런 만대루가 뚝 떨어져 나와 이제는 보물이 되었단다. 비단 이만이 아니라 이와 사정이 엇비슷한 기존 문화재구역 서원과 향교 구성 건축물 중 역사성 건축미 등이 뛰어난 것들이라 해서 그것만 뚝 떼어내 무더기로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했다. 논한다. 중복투자다. 것도 이중삼중사중 중복투자다. 물론 개별 건축물을 떼어내 그 자체 가치를 현창하는 일이 썩 무익하지만은 않을 것이로대 만대루가 보물이어야만 가치가 더 빛.. 2020. 11. 6.
[개한테 물려죽은 진흥왕의 태자] (2) 폐위되는 왕비 pictures by Songeun Yeo 진흥왕비는 두 명이다. 선비先妃는 앞서 말한 어머니가 같은 지소태후인 숙명淑明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공히 진흥왕비로 기록한 사도思道는 애초에는 후궁이었다가 숙명이 쫓겨나자(실은 스스로 물러나자) 뒤이어 왕비가 되었다. 그 교체 시점은 나중에 말하게 되겠지만 진흥왕 재위 27년(566) 무렵이다. 그렇다면 왕비 교체를 둘러싸고 무슨 일이 있었는가? 앞서 본대로 진흥왕은 왕비 숙명이 어머니가 같다 해서 총애하지 않았다. 그런 마당에 숙명 역시 다른 남자를 찾아다녔으니, 그가 바로 어머니 지소가 총애하는 청년 이화랑이었다. 이화랑은 지소가 아낀 데다가 음악과 문장 모두 잘해 궁중을 드나들면서 지소의 잠자리까지 시중들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화랑은 자연 지소의 딸들인.. 2020. 11. 6.
종이로도 부족한 박빙, 그래서 면도날? 암튼 기자 이 친구들 뻥치는 실력 보면 알아줘야 한다. 이럴 적에 우리는 흔히 박빙薄氷이라 표현하고, 그래서 이런 판국에는 살얼음 걷듯 해야한다고 말하곤 하거니와 그러면서 아주 살짝하는 차이를 일러 깻잎 한장에 견주거나, 종이 한 장 차이라 하거니와 이것도 실은 생각해 보면 문제는 없지 않으니 깻잎? 된장 찍어먹는 깻잎이 무슨 죄라고 저에다가 갖다 붙이는지, 붙일 건 된장과 마늘 쪼가리 아니겠는가? 종이 한 장이라 하지만, 그 종이가 셀룰로이드를 말하는지, 한지를 말하는지도 알 수 없다. 이 양코배기 자슥들, 마침내 razor-thin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면도날 차이라는 것이다. 도루코가 좋아할 듯 싶다. 그래 그러고 보면 면도날이 주는 슥삭슥삭 피튀기는 냄새가 더욱 생생함을 말해주는 것은 분명하겠.. 2020.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