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98

또 다른 희생을 요구하는 생태복원, 태즈메이니아 데블의 경우 태즈메이니아데블 멸종막으려 섬에 옮기자 펭귄 다 잡아먹어 송고시간2021-06-22 09:27 장재은 기자 2012년 서식지 이동한 뒤 펭귄 3천쌍 사라져 먹성 좋아 토착종 펭귄·바닷새 서식지 초토화 태즈메이니아데블 멸종막으려 섬에 옮기자 펭귄 다 잡아먹어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멸종위기에 몰린 동물을 보존하려고 서식지를 옮겼다가 다른 동물의 생존을 위협하는 일이 발생했다. www.yna.co.kr 저 소식을 접하고 우선 돼지저금통 같은 저 친구 정체가 궁금해 뒤졌더니 Tasmanian devil 이라 한다면서, carnivorous 라 하니 육식동물이겠고, marsupial 이라 하니, 유대류라 해서 뱃가죽에 자루를 달고는 새끼를 딜꼬 다니는 보부상 동물임을 알겠다. 위키피디아 .. 2021. 6. 22.
Living with King Sejong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를 장식한 옛 영릉 석물 중 무인석이다. 이 분은 문인이다. 내곡동 본래 세종무덤을 여주로 뽑아다 옮기면서 본래 석물은 땅에 묻었으니 이 분들이 바로 그들이다. 2021. 6. 22.
넥슨컴퓨터박물관 (2021.06.17.) 기대했던 곳은 아니지만, 컴퓨터박물관은 어떻게 전시를 구성할까 궁금했던 곳이기에 목록에 넣고, 다녀왔습니다! 중학생때 넥슨에서 만든 게임 중 크레이지아케이드(줄여서 크아)라는 게임에 한창 빠져 엄마가 컴퓨터 선을 뽑아 버리셨다는 아픈 추억(?)이 있습죠. 하하. 엄마들의 고정멘트 “게임 하는 것 처럼 공부했어도….!!” STOP !! 리뷰 시작하겠습니다. 넥슨컴퓨터박물관은 2013년 7월 27일 개관했다고 합니다. 개관 한지 8년차이니 그래도 꽤 되었네요. ‘아시아 최초의 컴퓨터박물관’ 이라고 합니다. 박물관은 지하 1층까지 포함해 총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층 Welcome stage 2층 Open stage 3층 Hidden stage 지하1층 Special stage 1층 Welcome.. 2021. 6. 22.
풍경 말고 저만 보세요! -제주도편 2021.06.15.-06.17. 제주도 제주도에서 저만 나온 사진을 모아 보았습니다. 내용 없이 사진 위주이고, 사진 캡션에 찍은 장소를 간단히 적어 두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2021. 6. 21.
숨비소리 물질하는 해녀들, 사이사이 내뱉는 숨비소리 숨비소리를 들어 보셨나요? 영상을 잘 듣다 보면 바람소리, 물소리 사이로 ‘호오이’ 하는 휘파람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이 소리가 숨비소리인데요, '숨비소리'는 해녀들이 물질할때 깊은 바닷속에서 해산물을 캐다가 숨이 턱까지 차오르면 물밖으로 나오면서 내뿜는 휘파람 소리입니다. 제주도 해녀들 사이에서는 ‘저승에서 번 돈을 이승에서 쓴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거친 바닷속에서의 물질은 위험하고 고되다는 걸 말하는 거겠죠. 이렇듯 해녀들이 물위에서 잠시 내 뱉는 숨비소리에는 해녀들의 두려움, 고됨, 걱정, 슬픔, 또 이걸 이거내려는 마음, 기쁨 등 모든 것들이 담겨져 있는 것 같습니다. 밥먹으러 왔다가 해녀들의 물질하는 모습을 보고, 숨비소리도 들을 수 .. 2021. 6. 21.
도장밥 인주의 문화사 황화수은 이야기 지금 도장밥으로 흔히 쓰는 인주이기는 하나 요새는 양놈들 맹키로 싸인으로 대체하는 일이 많아 수요가 급속도로 줄기는 했지만 그래도 인감도장을 요구하는 데가 더러 있어 완전퇴출된 것은 아니다. 발굴을 통해 드러나는 붉은물감은 분석하면 크게 두 가지라 하나는 산화철 계열이고 다른 하나가 저 황화수은HgS 계열이다. 둘을 육안으로 비교하면 후자가 선홍색이 완연한데 견주어 후자는 약간 썩은 기운이 있어 검은 빛이 많이 돈다. 무덤에다가 저걸 잔뜩 뿌리거나 비름빡에 바르기도 하는데 워낙 귀하고 비싼 거라 공급이 원활치 못해 산화철로 대용하는 일이 압도적으로 많다. 분자식에서 보듯 황과 수은 독극물이다. 다만 유의할 것은 우리가 아는 약물이 다 독극물이기도 하다는 대목이다. 양약良藥은 고구苦口하다는 말 거짓말이다... 2021.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