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290

남산 아래로포착한 서울야경의 몇 가지 층위 남산에 올랐다. 휘황찬란을 갈구하는 사람들한테 이보다 나은 풍광 있겠는가?이 휘황이 휘황으로 가기 직전 모습은 아래와 같다. 추상...어렵다 한다. 그래서 구상을 선호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 앞 사진과 비교할 때 구상성이 훨씬 뛰어나다. 하지만 이조차 어지럽다는 사람이 있다. 이것으로 가기 전 모습은 이랬다. 추상의 흔적이 조금은 남아 있으나, 영 맛이 안난다. 왜 구상에서 추상으로 사람들 입맛이 변했는지 그것을 가늠하는 작은 보기다. 날더러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면, 나는 서슴없이 첫번째라고 말한다. 2018. 9. 27.
The Sun also Rises 추석 연휴가 끝날 무렵, 해외특례입학 동기놈이 말하기를, 긴 연휴 삼식이 생활 눈치 보이니 어디론가 데려가 달란다. 그래 나 역시 가을이라 그런지, 아니면 그냥 이래저래 싱숭생숭 드글드글 머리나 식히자 하고는 이럴 때면 언제나 그랬듯 임진강변 남안을 경주하는 자유로를 따라 서울과 임진각까지 왕복했더랬다. 이 즈음 임진강은 가을 교향악을 빚어내거니와, 비낀 역광으로 비치는 갈대와 뻘빛은 경이 그 자체다. 오가며 이런저런 감수성이 언제나 예민한 특례입학더러 내가 그랬다..그래도 넌 복받은 놈이다. 아버지 잘 만나 이만큼이라도 살지 않냐? 뭐 매양 듣는 소리라 소 귓구멍에 틀어대는 워낭 소리라 여기는지, 듣는둥마는둥 카톡질만 일삼는다. 올라 내려다 보니, 임진각 아래로는 온통 황금 물결이다. 아마도 단군조선 .. 2018. 9. 27.
섬돌 앞 오동나무는 이미 가을인데... 젊은이는 쉬 늙으나 배움은 이루기 어렵네한 순간이라도 헛되기 보내지 마라연못가 봄풀이 꿈도 깨기 전에 섬돌 앞 오동 이파리는 이미 가을이더라 少年易老學難成一寸光陰不可輕未覺池塘春草夢階前梧葉已秋聲 이른바 권학문(勸學問), 배움을 권하는 글이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진 이 짧은 글은 주희가 한 말이라 해서, 그것을 절대의 기반으로 삼는 시문(詩文) 엔솔로지이자, 불후한 한문 학습 교재인 《고문진보(古文眞寶)》 첫머리에 실려, 대한민국이라는 입시지옥을 지탱하는 권리장전으로 통용한다. 이 말이 그토록 질식할 정도이나, 그 입시지옥을 벗어난 처지에서 보면, 이만큼 절실한 말도 없다. 그래서 저 권학문은 실은 《고문진보(古文眞寶)》는 기억 저편, 아련히 입시지옥, 과거 트라우마에서 벗어난 사람들과 이제는 산 날 보다 .. 2018. 9. 26.
복양관(濮陽瓘) <조롱을 나온 송골매(出籠鶻)> 서성 선생 글이다. 出籠鶻조롱에서 나온 송골매 玉鏃分花袖, 옥 활촉 같은 부리가 비단 소매 사이에 있으니金鈴出彩籠. 금방울소리 울리며 채색 조롱에서 나왔네搖心長捧日, 높이 오르려는 마음으로 항상 태양을 받들고逸翮鎭生風. 강건한 날개에선 언제나 바람이 일어나一點靑霄裏, 한 점으로 푸른 하늘 속에 들어서면千聲碧落中. 벽락(碧落) 속에서 천 가지 소리가 울려나오네星眸隨狡兎, 별 같은 눈동자는 교활한 토끼를 쫒고霜爪落飛鴻. 서리 같은 발톱은 날아가는 기러기를 떨어뜨리네每念提携力, 매번 힘써 도우려고 하고常懷搏擊功. 언제나 적을 내리쳐 공을 세우려하네以君能惠好, 군주의 은혜와 관심에不敢沒遙空. 차마 먼 하늘 속으로 사라질 수 없어라 복양관(濮陽瓘)은 군망(郡望)이 진류(陳留, 하남성 開封)이다. 대력 연간(766.. 2018. 9. 26.
서인(徐夤) <동풍이 녹이는 얼음(東風解凍)> 서성 선생 글이다. 東風解凍동풍에 얼음이 녹다 暖氣發蘋末, 따뜻한 기운이 네가래 끝에서 일어나니凍痕銷水中. 얼음이 흔적을 남기며 물속에서 녹는구나扇冰初覺泮, 부채꼴 얼음이 막 녹는가 싶었는데吹海旋成空. 바다에서 동풍이 불어오니 금방 사라지네入律三春變, 바람은 율관에 들어가서 봄으로 바뀌고朝宗萬里通. 모든 강이 바다로 흘러 만리가 통하는구나岸分天影闊, 언덕은 하늘의 빛을 나누어 광활하고色照日光融. 색은 햇빛과 뒤섞여 비치네波起輕搖綠, 물결이 일어나 푸른 빛을 흔들고 鱗遊乍躍紅. 물고기가 노닐며 붉은 꼬리가 뛰어오르네殷勤拂弱羽, 부드러운 바람이 약한 새 앞에 불어오니飛翥趁和風. 온화한 바람을 타고 날아오르는구나 서인(徐夤)은 徐寅이라고도 기록했다. 자는 소몽(昭夢)이며 보전(莆田, 복건성) 사람이다. 894.. 2018. 9. 26.
황도(黃滔) <궁중에서 흰사슴을 보이기에(內出白鹿宣示百官)> 서성 선생 글이다. 內出白鹿宣示百官궁중에서 흰 사슴을 내어 백관에게 보이다 上瑞何曾乏? 상서(上瑞)는 언제나 있었으나毛群表色難. 짐승이 잘 나타나지 않았을 뿐이라珍於四靈外, 네 가지 영물 이외에 진귀한 것인데宣示百寮觀. 전시하여 백관에게 보여주는구나形奪場駒潔, 모습은 흰 망아지보다 더 깨끗하고光交月兎寒. 빛은 월궁의 토끼보다 더 차가워已馴瑤草列, 벌써 길들여져 신선의 풀과 나란히 있고孤立雪花團. 혼자 서 있으면 눈덩이가 뭉쳐진 듯해戴豸慚端士, 해치관을 쓴 어사(御史)에게 부끄러우니抽毫躍史官. 글을 써서 사관(史官)에 달려가 알리네貴臣歌詠日, 높은 신하들이 태양을 노래하며皆作白麟看. 모두가 흰 기린을 지어 내보이는구나 황도(黃滔, 840?-?)는 자가 문강(文江)이며 천주(泉州) 보전(莆田, 복건성) 사람.. 2018.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