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86

다시 누른 임진각 논을 조우하며 어이한 셈인지는 나 역시 알 순 없지만 해마다 이맘쯤이면 파주 임진각에서 저 논을 보곤 하는데 올해는 걸러버리나 했다가 전남 담양 땅 출발한 이영덕 씨가 도보여행 종착지로 하필이면 이곳을 선택한 마당에 그를 영접한다는 핑계로 올해도 이 논이 주는 같은 풍경을 어김없이 마주한다. 언제나 널 보면 부럽기 짝이 없으니 내 아버진 이런 논 부쳐보는 게 꿈이었더랬다. 생전 이런 논 선물하지 못한 불초가 땅을 치며 분개한다. 올해는 코로나 팬데믹 여파가 더한 밀집현상을 불러 여느 때 이맘쯤보다 더 많은 사람을 불러모으지 아니했나 하거니와 갈 만한 실내가 없어지니 야외로 야외로 사람이 쏟아져 나온 여파 아닌가 한다. 그랬다. 이곳은 더 많은 사람으로 북적였다. 전쟁통에 가동 중단한 이 증기기관차도 나처럼 한 살을 더.. 2020. 9. 20.
며느리한테 증여하는 이유 아래에서 재산을 몰아주기 위해 별급이라는 방법을 사용했다고 밝힌 데 대해 며느리에게 증여하는 것을 신기하게 여기시는 듯하다. 며느리에게 별급하는 것이 아들에게 별급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지만, 별다른 까닭도 없이 별급하면 다른 아들들이 불만을 품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며느리에게 시집왔는데 예쁘더라, 시부모를 극진히 모셨다거나, 손자를 낳아다거나 여러 빌미가 있었다. 다만 그 재산의 처분을 제한하여 실제적으로 장자 상속이 되도록 하고 있다. 9대조 기종상奇宗相이 1754년(영조30) 8월 20일에 큰아들 기태온奇泰溫의 처인 큰며느리 부안 김씨에게 용모가 단정하고 종갓집 살림을 해야 한다는 이유로 독다리들[석교평, 농사農舍와 감농정鑑農亭이 있던 일대] 논 6마지기를 별급하였다. 여기에는 단서가 붙어 있었는.. 2020. 9. 20.
호로고루 해바리기 행렬 https://youtu.be/KSjvkasmKtk 호로고루..임진강변 고구려 성곽이라 누가 알겠는가? 그 성에 해바라기 한창이라고 그걸 보겠다는 행렬이 줄을 섰다. 문화재가 사는 길이 문화재인가? 해바라기다. 어줍잖은 역사성 운운하는 얘기 집어쳐야 한다. 2020. 9. 20.
느닷없이 나른 땅끝마을 쥬라식 파크 (8) 상다리 휘감은 칡꽃 그나저나 이 상족암 일대에서 나한테 가장 인상으로 남은 것으로 두 가지를 꼽거니와, 하나는 해변을 따라 한없이 이어지는 나무 데크였고, 다른 하나는 그 주상절리 절벽을 따라 칭칭 몸둥아리를 감아올린 칡이 마침 피어낸 꽃이었다. 해마다 이맘쯤이면 피는 칡꽃은 흰색과 보라색이 엮어내는 오묘한 하모니가 절묘의 극치인데, 때마침 만난 그것은 40년전 유달산에서 바라본 목포 다도해가 그랬던 것처럼 아마도 내가 40년을 더 산다면(그럴 일은 없겠지만) 내가 언제나 상족암을 떠올릴 때면 마스코트로 각인하지 않을까 한다. 뭐 내가 그랬다고 혹시나 고성군청 녹지과에서 상족암 일대 나무들은 쏵 베어버리고선 설마 온통 칡만 심는 그런 일을 하지 않으리라 확신하기에 칡꽃을 과감히 추천해 봤다. 상족암을 떠나 학성마을 옛 담장.. 2020. 9. 20.
조선시대 재산상속의 비법 《경국대전》이 표방하는 조선의 상속법은 자녀균분상속이다. 법대로 하면 종법질서가 어그러질 수 있었다. 그것을 피하는 방법이 여럿인데, 가장 애용한 방법이 별급別給이다. 요샛말로 하면 증여다. 별급으로 먼저 이쁜 자식에게 몰아주고 남은 재산만 균분상속하면 되는 일이었다. 더군다나 조선은 증여세가 없었다. 1622년(광해군14) 13대조 기처겸(奇處謙)이 장자 기진탁(奇震鐸)의 처(妻)인 나무춘(羅茂春, 1580~1619)의 딸 나씨에게 승중(承重) 총부(冢婦)로서 용모가 단아하여 오늘 처음으로 보고 감격을 금치 못하여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어서 노비 3구(口)와 전답 17마지기를 별급해 주었다. 또 1624년(인조2)에는 장자 기진탁이 18살 어린나이에 사마시에 입격하여 기쁨을 이길 수 없다는 이유로 노비.. 2020. 9. 20.
늙어서 하릴없이 스스로 비웃노라 늙어져 하는 일 하나 없이 홀로 깊은 계곡 은은한 물소리 듣고 있으니 自笑老餘無一事 獨來幽澗聽冷冷 -추담秋潭 김우급金友伋(1574∼1643) - 2020.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