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37

심삲잖았던 기생충의 칸 행보 페이스북이 알려준 작년 오늘이다. 봉준호가 기생충으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먹었으니 기생충 신화의 시작이었다. 이를 시발로 그 앞뒤 즈음 이래 지금까지 트로피 몇개를 수거했는지 숫자를 헤아릴 수 없는 정도다. 그 전날 나는 이런 글을 달았다. 낌새가 수상쩍긴 했다. 결과론이겠지만 현지에서 돌아가는 사정이 영 수상했다. 이듬해 아카데미영화제 작품상을 비롯한 기생충 시대 개막을 알리는 서막이었다. 딱 하나 아쉬운 점은 이런 혁혁한 전과를 발판으로 미국 영화관 시장에서도 한창 잘 나가던 기생충 역시 코로나19로 된서리를 맞았다는 사실이다. 호사다마라 했던가 호사엔 다마가 많은 법이다. *** related articles *** 라떼는 말야.. 조금전 12시를 기점으로 나는 정식으로 연합뉴스 문화부장직을 벗었.. 2020. 5. 26.
본분 혹은 분수, 눌러버린 꿈 월급 100만원짜리는 100만원에 어울리는 일과 생각을 해야 한다. 평사원은 평사원다워야 하고, 사장은 사장다워야 한다. 농민은 농민다워야 하며, 다마네기 농부는 다마네기만 생각해야 한다. 내 꿈이 무엇이었는지 나는 모른다. 한때는 대한민국을 무대로 하고, 그것도 비좁아 세계로 나간다는 꿈이 있었던 것도 같다. 하지만 세상은 녹록치 않아 나에게 본분을 알라고 요구했다. 그래서 살아보니 삶은 억압이더라. 누구에 대한 억압인가? 본분을 벗어나려는 나 자신에 대한 끊임없은 억압이더라. 무엇에 대한 억압인가? 본분을 벗어나려는 욕망에 대한 억압이더라. 국경을 벗어나려는 욕망은 고사하고, 나에게는 언제까지는 단칸 지하방 탈출이 꿈이었다. 내가 그것을 청산하기는 1998년 어간이 아닌가 한다. 그때까지 나는 은평구.. 2020. 5. 25.
죽었다 부고까지 난 악어 세계 2차대전 폭격에도 살아남은 장수 악어 84세로 숨져 | 연합뉴스 세계 2차대전 폭격에도 살아남은 장수 악어 84세로 숨져, 현혜란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5-24 17:36) www.yna.co.kr 언제든가 기억은 자세치 아니하지만, 1835년 찰스 다윈이 남미 갈라파고스군도를 탐사할 적에 데리고 나온 세 마리 거북 중 하나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한 적 있다. 저 악어 죽음에 그때 생각이 문득 나서 관련 기사를 검색해 보니 2006년 6월 24일에 있었던 일이라, 호주 선샤인코스트 동물원에서 '헤리엇'이라는 이름의 거북이가 향년 176세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단다. 나참...거북이 장수한다고 했지만, 다윈 시대의 거북이가 살아있을 줄 나는 꿈에도 몰랐다. Alligator who surv.. 2020. 5. 25.
40 Tombs for a Golden Ruler from Heaven Geumcheok-ri Tumuli, Gyeongju 慶州金尺里古墳群 경주 금척리 고분군 About 30 round and gourd-shaped tombs are scattered throughout Geumcheok-ri, the suburbs of Gyeongju. The tombs here are presumably those for low-level nobles of the Silla Period (57 B.C. ~ A.D.668). The exact dates of their construction are not known. Note, however, that their location and the interior structure of some of them -- as revealed du.. 2020. 5. 25.
단장斷腸의 미아리彌阿里 고개 음반 Music Record, Heartbreaking Miari Pass 1956년 는 1956년에 반야월 작사, 이재호 작곡, 이해연이 노래한 곡이다. 미아리 고개에서의 이별을 주제로, 가사에는 북으로 끌려가는 남편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미아리고개는 한국전쟁 당시 서울 북쪽의 유일한 외곽도로였다. 이 길로 인민군이 후퇴할 때 피랍된 사람들이나 의용군으로 끌고 갔기에 창자를 끊어내는 고통을 말하는 단장의 미아리고개'라 이름 붙였다. 따져보면 사연 없는 이 있으리오? 하나하나 켜켜한 역사의 온축蘊築이다. 그러고 보니 미아리를 彌阿里로 쓰던가? 그 미아리가 한때는 홍등가 대명사였고 또 한때는 생이별 현장이었다. 단장斷腸하던 미아리가 어찌하여 단장丹粧이 되었을까? 미아리 눈물고개 임이 넘던 이별 고개 화.. 2020. 5. 24.
서울탈환을 알리는 삐라 Leaflet Announcing Recapture of Seoul 서울탈환을 알리는 삐라 서울傳單 Leaflet Announcing Recapture of Seoul 1950년 일명 '삐라'로, 군사용 선전물이다. 앞면에는 "서울탈환 - 연합군과 국군은 수도해방"이라는 문구와 한반도가 그려져 있고 서울에 태극기가 꽂혀 있는 삽화가 있다. 뒷면에는 맥아더 장군이 서울을 탈환하여 공산군의 보급선이 끊어졌으며 끝까지 힘을 합쳐 공산군을 몰아내자는 아군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에 전시 중이다. 2020.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