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29 공고: "체질인류학에서 바라본 한일관계사-야요이시대의 개막과 전개" 일본 야요이시대 초창기-. 이른바 도래계 야요이인의 대표적 유적으로 꼽히는 도이가하마 유적에서 확인된 "화살을 수도 없이 맞아 전사한" 이의 유골-. 올해 (2020년) 대한해부학회의 "체질인류학 세션"에서는 아래 주제로 다섯개의 연제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체질인류학에서 바라본 한일관계사-야요이시대의 개막과 전개" 날짜: 2020년 10월 15일 (대한해부학회 대회 중 개최) 장소: 강릉 세인트존스 호텔 (대한해부학회 대회 개최장소) 좌장(Session Organizer): 신동훈 (Dong Hoon Shin); 후지타 히사시 (Hisashi Fujita) 야요이시대는 일본 역사에서 대륙으로 부터의 수도작과 금속기의 도입으로 상징되는 거대한 변화를 일으킨 시기입니다. 이 시기가 우리에게도 의미가 큰 것.. 2020. 5. 13. 박물관을 생각하시는 예비 관장님께 안녕하세요, 온양민속박물관 여송은입니다. 그날은 제가 경황이 없어 인사도 제대로 못드렸습니다. 잘 들어가셨는지요? 박물관을 만들어 우리 문화를 지키고, 잘 보존하여 널리 알리겠다는 선생님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박물관까지 찾아오셨는데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제 영역 밖의 일이라 아무 말씀도 드릴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나름 사립박물관에서 지냈다고, 조금은 보고 들은 것이 있어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다면... 박물관을 만드시려면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것보다 더 많은 준비를 하셔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직접적으로 말씀드리면,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비용도 생각해주셔야 합니다. 보이지 않는 비용으로는 전시실 환경에 대한 비용, 유물 관리에 대한 비용(항온항습기, 유물훈증, 유물 보존 등에서부터 .. 2020. 5. 13. 줄줄이 유물 이야기-날렵, 대나무 파리채 길쭉하고, 날씬한 몸매를 자랑하는 이 물건은 어디에 사용하는 물건일까요? 바로, 모기나 파리 등 벌레를 잡거나 쫓는데 사용하였던 채입니다! 일명 대나무 파리채라고 하지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알록달록 플라스틱 파리채하고는 재질도, 형태도, 그래서 물건이 주는 느낌도 다릅니다. 직접 사용해 보지 않아 모르겠지만, 생긴 모양으로 보아서는 썩 파리를 잘 잡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또 이렇게 생긴 아이들이 목표물을 정확하게 잡으려나요?? 그래서 제 생각에는 직접 벌레를 잡을 수도 있었겠지만, 주로 벌레를 쫓는데 사용하지 않았을 까 싶습니다. 윙윙~~~귀찮은 벌레들이 보여들면 훠이훠이~~~하고 쫓는 용도로 말이죠. 벌레를 쫓는 데 사용하였다고 하니, 이와 전혀 상관 없지만 김득신이 그린 그림 .. 2020. 5. 13. 닥나무꽃 보곤 격발하노라 한지가 급격히 종이 시장에서 퇴출하면서 급속도로 그 중대성이 동시에 떨어져 지금은 밭두렁에 그 편린만 계우 남은 닥나무꽃이다. 이 닥나무는 내 기억에 여름철 정도인가에 베어 이파리를 땄던가 아니면 그대로인가는 모르겠는데 대따시 큰 가마에 쪄서 저 껍데기를 홀라당 벗겼으니 거무틱틱한 저 껍데기는 다시 벗겨내곤 속살만 거두어 그걸로 종이로 가공해 냈다. 저 겉껍질을 벗겨내는 도구가 따로 있거니와 그 이름은 내가 망실했으니 고고유물 중에 그걸로 보아야지 않을까 하는 실물을 접한 적 내가 있는 듯하다. 무론 나 역시 어린 시절 저런 닥나무를 베고 지게에 져다 나르곤 했거니와 지게로 져낸 닥나무는 리어커에다 싣고는 십리길 닥가마로 옮겨다 주었으니 가격은 어찌 계상했는지는 기억에 없다. 그걸 키우는 데는 거의가 논.. 2020. 5. 12. 김포 문수산성 발굴조사[국토문화재연구원] 사적 제139호 김포 문수산성 서측 성벽구간 문화재 발굴조사 현장공개 - 김포시·국토문화재연구원 보도자료 (2020. 5. 8) - 김포시(시장 정하영)는 사적 제139호 김포 문수산성 내 유실구간인 서측 성벽구간에 대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오는 15일 현장을 공개한다. 김포 문수산성은 김포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염하를 사이에 두고 강화도와 마주하하고 있어 강화의 관방유적과 함께 역사적 ‧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관방유적이나, 유실구간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가 진행된 것은 1995년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성벽 발굴조사 이후 처음이다. 김포시는 문화재청의 2019년 국고보조를 받아 문화재구역 내 유실구간 중 1,250㎡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남북 60m 구간 내에서 북.. 2020. 5. 12. 툭하면 담뱃불 담뱃불 추정.. 산불만 났다 하면 당국에서 발표하는 추정 원인이다. 담배 피는 사람으로 하는 얘기지만 담배 피는 사람 산불 안낸다. 발로 짓밟아서 뭉개버린다. 내 보기엔 산불 원인 99프로는 방화 아니면 실화다. ( May 12, 2014 ) 댐 dam 이 주는 역설, 부항댐의 경우 김천 부항댐이다. 다목적을 표방했으니 이걸로 이것저것 다하려는 모양이다. 본전 뽑겠단 말이겠지. 저 뒤편 삼도봉을 병품 삼은 이 부항댐이 건설 입안하고 그것이 추진되며 나아가 그 이후 전 historylibrary.net 2020. 5. 12. 이전 1 ··· 2610 2611 2612 2613 2614 2615 2616 ··· 350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