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439 [읽을만한책] 헤르만 파르칭거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 사냥, 도축 이후 문자 발명까지 인간의 역사를 살피다 송고시간 2020-03-17 08:46 임형두 기자 헤르만 파르칭거의 책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 벽돌이다. 브로끄다. 한대 치면 두개골이 쪼개지고 떨어뜨리면 발등이 나가고 발톱이 빠진다. 몇쪽이나 될까 살포시 펼쳐본다. 우앙..본문이 천쪽을 넘는다. 주석은 열라 많고 열나 빼곡하다. 요새야 저자한테 혹은 저짝 출판사에서 파일까지 받거나, 혹 그게 아니라 해도 텍스트 변환 무수한 어플이 있으니 저 작업이 상대적으로 수월하긴 하겠지만 눈알 빠졌을 법하다. 저자는 독일 출생 정통 고고학도인데 주로 중앙아시아 스키타이 무덤 열나 파제껴 유명해졌나 보다. 1959년생이니 이제 예순하나..저 연배 국내 고고학입네 하는 걸로 행세하는 사람들 보면 책이라곤.. 2020. 3. 17. "우리는 전쟁중"이라는 마크롱, 타지마할도 결국 폐쇄한 인도 마크롱 "우리는 전쟁 중"…보름간 전국민 이동금지령(종합2보)송고시간 2020-03-17 07:48김용래 기자생필품구입 등 필수사유 외 이동 금지…경찰관 10만명 동원해 위반시 처벌"소중한 사람들 위험해져…책임감 보여달라" 각성 촉구…선전포고하듯 비장EU와 솅겐지대 국경도 한달간 봉쇄…지방선거 결선투표도 연기 쓰나미다. 지구촌 전체가 그 영향권에 들었다. 유사 이래 이런 전염병 있었던가 싶다. 매독도 이에는 미치지 못했으리라. 동아시아가 사투를 벌일 적에도 비교적 느긋하던 유럽은 순식간에 쑥대밭이다. 칭기스칸 침공에 견줄 만한 공포가 아닌가 한다. 그래서인인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은 나름 극약처방을 내놓았다. 우리는 전쟁 중이라는 자극적인 말을 여러 차례 써가면서 항전 의지를 불태우면서 향후 보름간 프랑.. 2020. 3. 17. 국립발레단의 경우, 해고는 여론재판이 아니다 국립발레단, 창단 58년만에 첫 정단원 해고…강수 둔 배경은?송고시간2020-03-17 12:26 공유 댓글 글자크기조정 인쇄송광호 기자송광호 기자"발레단 위상에 심각한 위해" 판단…여론 뭇매에 부담 전후맥락 없이, 더구나 쌍방이 다투는 사안에서 어느 일방만의 주장만 일방으로 전해지는 사안에 대해 제3자가 왈가왈부하며 무엇인가를 단안하는 일은 삼가고 삼가야 한다. 더구나 그런 사안이 나중에 해고라는 최악으로 비화한 일에 대해서는 더 더구나 그래야 한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이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번져갈 무렵, 국립발레단은 지난달 24일 단원들에 대한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격리예정기간은 일주일이었고, 이에 의해 단원 130명이 대상자가 됐다. 한데 이기간 단원 나 모씨는 여자친구인지랑 지난달 27~2.. 2020. 3. 17. 종교집회 금지명령 발동한 경기도 경기도 2020. 3. 17.(화) 보도자료 경기도, 코로나19 관련 종교시설에 첫 행정명령 발동29일까지 감염예방수칙 미준수 교회 137곳 대상 밀접집회 제한 행정명령 내려 ○ 김희겸 경기도 행정1부지사, 17일 기자회견 열고 감염예방수칙 미준수 교회 137곳에 29일까지 주일예배 밀접집회 제한 행정명령 - 밀접집회 제한 행정명령 ①교회 입장 전 발열, 기침, 인후염 등 증상유무 체크 ②교회 입장 시 마스크 착용 ③교회 내 손소독제 비치 활용 ④예배 시 신도 간 이격거리 유지 ⑤예배 전후 교회 소독 실시 ⑥집회예배 시 식사제공 금지 ⑦집회예배 참석자 명단 작성 위반시 집회 전면 금지하고 벌금부과 방침, 확진자 발생시 방역비와 감염자 치료비 등 제반 비용에 대한 구상권 청구 가능 - “종교의 자유 침해가.. 2020. 3. 17. 한중연 경영평가서를 공부하던 이기동 어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일이 있어 들린 김에 이기동 선생을 잠깐 뵙고 왔다. 나는 선생이 괜찮은 분이라는 말 여러 번 했다. 국감 과정에서 분란을 일으켰지만, 그래서 내가 조금은 무안하기는 했지만 그가 괜찮은 분이라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는 분명 보수주의자요, 아는 게 많은 점이 탈이 되기도 한다. 그는 저명한 신라사 연구자지만, 그의 신라사관이나 그의 연구성과를 나는 찬동하지 않으며, 시종하여 비판한다. 하지만 사관이 나와 다르다 해서, 그가 구축한 신라사상을 내가 찬동할 수 없다 해서, 내가 그를 인간적으로 증오해야 한다는 말과 동의어는 결코 될 수 없다. 그는 참으로 괜찮는 분이다. 아무도 들이지 말라는 엄명이 있다 했는데 그래? 나를 거부하지 않으실텐데 하는 심정으로 덮어놓고 쳐들어가니, .. 2020. 3. 17. 전매제도 존속을 둘러싼 피튀긴 전쟁의 증언 《염철론鹽鐵論》 2002.12.18 09:11:19전매제도 논쟁록 《염철론》 완역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지금부터 약 2100년 전인 중국 전한 소제昭帝 6년(기원전 81), 한나라 왕실에서는 일대 논쟁이 벌어졌다. 주제는 국가의 전매사업을 지속할 것인가 아니면 폐기할 것인가. 어사대부御史大夫를 필두로 한 행정관료 그룹은 소금과 철, 술을 국가가 전매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각 군국郡國에서 천거된 현량賢良 및 문학文學그룹은 철폐해야 한다고 맞섰다. 그래서 흔히 이 논쟁을 염철鹽鐵회의라 한다. 상인 출신의 어사대부인 상홍양桑弘羊은 말한다. "이제 당신들은 이를 폐지하려 하는데, 이는 재정의 원천을 끊고 재원의 흐름을 막자 함이니, 국가와 백성 모두 재정이 고갈돼 궁핍함이 닥치게 될 것인즉, 비록 일을 줄이고 비.. 2020. 3. 17. 이전 1 ··· 2755 2756 2757 2758 2759 2760 2761 ··· 35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