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81

리사 vs. 닉쿤, 동남아를 휩쓴 K-pop 한류 어제 저녁 OANA 서울총회 각국 통신사 대표단 환송이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렸거니와, 이 총회가 언론 관련 행사라 해서 우리 공장에서는 그와 관련한 기사 처리를 문화부에서 했으니, 그런 인연이었는지 아닌지 확실치는 아니하나, 나 역시 그 자리에 동원되었다. 헤드 테이블을 제외하고는 빈 자리 아무데나 잡고 박수치고 저녁 먹는 자리였는데, 내가 앉은 테이블에는 아마 이번 대회를 통해 더 친해져서 그랬을 터인데, 동남아 분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듣자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네팔 이런 데서 오신 분들이었다. 앞선 포스팅에서 잠깐 한 말이지만, 이래저래 얘기는 주고받아야겠고, 그렇다고 거창한 언론 환경까지 이런 자리에서 논할 수는 없으니, 그래도 먹먹한 분위기 깬답시고 K-pop 얘기를 꺼냈더니, 기다.. 2019. 11. 9.
제대로 자빠뜨려야 하는 <피사의 탑> 아직 내 찍새 연륜이 턱없이 짧아서이리라. 사진 혹은 시각이 주는 특유의 굴곡 현상 때문에 저 유명한 피사의 탑은 그 굴곡 현상이 외려 탑을 곧추 세우는 착시가 발생하곤 한다. 아래서 올려 찍으면 자빠진 탑이 빨딱 발기하는 모습을 연출한다. 이걸 어디서 어케 찍어야 자빠진 탑 모습이 제대로 잡히느냐 고민했다. 그나마 젤로 가찹다고 생각하는 것을 고른다. 성당 건물을 기준으로 그걸 최대한 수평과 수직 모두 실상에 가깝게 평면에 포착해야 그나마 탑 기울기가 부각하기 마련이어니와 그러기 위해선 뒤로 최대한 물러서야 하며 잔디밭을 많이 살려야 했다. 언제나 그렇듯이 다시 가면 더 잘 짝을 것만 같다. 계속 불만이다. Torre di Pisa that should be tilted properlyDue to th.. 2019. 11. 9.
OANA 보내며 일주일 같던 이틀이 마침내 끝났다. 국제대회 밥먹듯 하는 사람들이야 웃을지 모르고 더구나 나야 첫날 개막식 잠깐 모습 비추고 마지막날 환송식에 자리 채우는 역할 밖에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이만으로도 피곤하다. 아시아태평양지역 각국 뉴스통신사 대표단 35개국인가 38개국이 모이는 오아나OANA는 언론계 외부에선 생소하기만 하겠지만 각국 내노라 하는 통신사는 다 참여하는 총회는 매머드급이다. 나름 나 개인으로서는 이 행사 보도 관련 주무 부서장으로 이에서 다룬 사안들을 정리하는 기사들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그 경향이랄까 추세 이런 것들을 간접 점검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우리 혹은 우리 언론이 하는 고민 혹은 과제라 해서 유별날 수도 없고 후진적이지도 않다. 우리가 하는 사업 고민 로이터라고 예외인 것도 아니.. 2019. 11. 8.
Bomundeul Field, Gyeongju Autumn is fire. Glow is a firelighter.In the fall at sunset, the field is a thermal power plant. In the place where the millennial kingdom fell, silver grass grew and fired.The fields are thus born again. Bomun-ri Temple Site, Gyeongju / 경주 보문리 사지 慶州普門洞寺址 2019. 11. 8.
문단의 미투파문, 고은과 최영미 갈 길을 갈랐다 '성추행 의혹' 고은 시인, 최영미 시인 상대 손배소 2심도 패소송고시간 | 2019-11-08 14:37'추가 의혹제기' 박진성 시인에는 배상책임 인정 이른바 미투운동 확산에 불을 댕긴 총구 중 하나로 평가되는 원로시인 고은 씨의 성추행 의혹이 2심 재판부에서도 고은 시인 패소로 결판났다. 1,2심 모두 이 의혹을 제기한 최영미 시인 완승이다. 이로 보아 대법원으로 설혹 이 사건이 간다 해도, 1,2심 판결이 뒤집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미투 파문 확산에 걸려든 고은 시인은 크게 세 군데를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걸었으니, 자신을 직접 겨누어 성희롱을 했다고 주장한 최영미 시인과 그리고 이에 동조하는 듯한 사례를 추가한 박진성 시인, 그리고 이와 같은 공방 혹은 두 사람 주장을 보도한.. 2019. 11. 8.
텍스트만 있고, 사진이 없던 10세기초반 북한의 고려불상 北 남포서 2.3m 높이 고려 초기 석조약사여래상 발굴송고시간 | 2019-11-07 16:14 北南浦で2.3mの高さ高麗初期石造藥師如來像発掘 북한이 전하는 그네들 문화재 관련 기사에는 아주 자주 갑갑함을 우리가 토로하곤 하는데, 무엇보다 예컨대 발굴 소식의 경우, 무엇을 발굴했다 하는데 관련 도판이 제공되지 아니해서 갑갑해 미칠 지경이다. 다만, 북한 문화재 소식에는 나름 패턴이 없지는 아니해서 이런 소식이 전해지고 얼마 뒤에는 다른 잡지 같은 데서 도판을 공개하곤 한다. 이번 경우에도 조선중앙통신이 남포시에서 10세기 초로 편년할 만한 고려시대 석불 한 점을 발굴했다 하거니와, 그 관련 도판이 전연 첨부, 배포되지 아니했으니, 그 실제 면모가 어떠한지는 조금을 기다려야 할 듯 하다. 한데 이런 심정을 .. 2019.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