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81

엘긴 마블 반환 거부하는 영국 문화제국주의 브리티시 뮤지엄 British Museum이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에서 뽑아다 놓은 소위 엘긴 마블 Elgin Marbles 전시실에 근자에 비치하기 시작한 소형 팜플렛이다. 근자 이곳을 찾은 어느 지인을 통해 받았다. 내가 이곳에 들른 때가 2015년 8월이라 기억하거니와 그땐 저런 팜플렛이 없었으니, 이후 어느 시기에 비치하기 시작한 듯하다. 이 엘긴 마블을 브리티시 뮤지엄은 근자 러시아인지 어딘지에 대여한 적이 있으니, 그때 역시 그리스 정부가 왜 우리 문화재를 너희가 우리 허락도 없이 함부로 대여하냐 해서 강력 반발했다. 이 무렵에 이 팜플렛을 비치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한다. 이 엘긴 마블은 명백히 약탈품이며, 그런 까닭에 이는 그리스에 반환되어야 한다. 실제 그리스도 정부 차원에서도 줄기차게 반환.. 2019. 2. 21.
본남편이 내어준 기생 아내, 그와 이룬 사랑에 정실부인이 되고 《화랑세기》가 공개되자, 그것이 후대 누군가가 조작해 낸 역사서라고 하면서, 그 근거 중 하나로 그에 드러나는 성(姓) 풍속이 파천황을 방불하는 점을 들었거니와, 신라가 아무리 성적으로 자유분방한 사회였다고 해도, 이 정도일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뭐 그에 대해서는 내가 하도 많은 말을 해 놓았기에 중언부언할 필요를 느끼지는 못하나, 이 한 마디는 해야겠다. 웃기는 소리들 그만 하고 자빠지세요. 저가 모르면 툭하면 파천황이라는 말을 갖다 붙인다. 아래는 조선 전기 때 사람 용재(慵齋) 성현(成俔·1439~1504)의 불후한 야담필기류인 《용재총화(慵齋叢話)》 제5권에 보이는 대중례(待重來)라는 기생 이야기다. 김 사문(金斯文, 사문은 유학자 존칭)이 영남에 사신(使臣)으로 내려가 경주(慶州)에 도착하니,.. 2019. 2. 20.
김영문翁, 심혈의 역작 《초한지(楚漢志)》 역시 영감답다. 내가 그의 성격을 알기에, 더러 《초한지(楚漢志)》 번역 중이라는 소식을 접하고는, 어떤 모양새로 나올까 못내 궁금했거니와, 내가 고국을 비우고 애굽을 다녀온 사이에 그 소식이 전해졌으니, 아래 우리 공장에서는 간단한 출간 소식만 전해졌다. 교유서가, '원본 초한지' 완역본 세트 출간 다만, 그 의미 혹은 성과에 견주어 그 평가가 적어도 기사로서는 충분히 언급되지 아니해서 몇 마디 덧보태고저 한다. 무엇보다 이번 완역작업은 그것을 시도한 이가 김영문 선생이라, 나와는 좁게는 같은 김녕김씨 일문이라 더 애착이 깊거니와, 그는 차치하고라도 그가 기존 이런 작업에 손대어 선보인 성과들이 녹록치 아니하니, 그는 언제나 족보를 중시하는지라, 같은 번역을 해도, 언제나 뿌리가 있는 번역을 하니, 이.. 2019. 2. 20.
늙어간다는 것 사람이 늙으면 보통 때와는 다른 세 가지가 생긴다. 울 때는 눈물이 나오지 않고 웃으면 눈물이 나오는 일이 보통 때와는 반하는 첫 번째요, 밤에는 잠이 없고 낮에 잠이 많이 오는 것이 두 번째이며, 어릴 적 일은 잊지 않고 중년과 근년의 일은 잊어버림이 그 세 번째다. 조선 중기 때 문사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보인다. 아! 그렇구나 하고 고개 끄덕이는 당신은 늙은이야! 하긴 aging이라는 말이 요새 유행이긴 하더만... 2019. 2. 20.
헌책방에서 맛보는 무념무상 멍 때리기 좋은 곳으로 나한텐 서점 만한 데가 없다. 그리하여 틈만 나면 싸질러 가곤 했으니, 새책보단 헌책이 주는 케케함이 때론 좋다. 이곳이라 해서 번뇌가 없으리오만, 그래도 번뇌보단 무념무상할 때가 많다. 그리하여 가끔은 셀카로 부러 웃어주기도 하고, 때론 파안대소도 해본다. 2019. 2. 19.
삼척 대이리 굴피집과 너와집 강원도 삼척 땅 대이리라는 산촌에 남은 너와집과 굴피집이다. 환선굴과 대금굴이 있는 그 마을이다. 2년 전 겨울에 현장을 돌았다. 너와집은 지금도 민가로 사용 중이며, 굴피집은 음식점으로 쓴다. 중요민속자료라 해서 새 단장을 하지 않은 점이 인상적이다. 너와는 널판지, 굴피는 주로 갈참나무 계통 껍데기로 지붕을 올린 집이다. 내부까지 관찰하고 싶었으나 시간이 허여하지 않아 아쉬웠다. 2년이 흐른 지금은 어떤 변화가 있을지 모르겠다. 두 집 모두 건물 본채는 각각 너와와 굴피로 썼으나, 부속건물은 반대로 굴피와 너와를 썼다. 이로 볼 적에 굴피와 너와가 따로 노는 건축 형태는 아닌 듯하다. 2년 전 이와 관련한 내 어떤 글에 국립민속박물관 어떤 선생이 첨언하기를 "우리 박물관에서 92년도인가 모 선생이 삼.. 2019. 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