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991 마모(摩牟) 백제 동성왕의 본명에 대한 표기 중 하나이다. 모대(牟大)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동성왕(東城王)은 이름은 모대(牟大)이며 문주왕 동생인 곤지(昆支)의 아들이다. 담력이 남보다 뛰어나고 활을 잘 쏘아 백발백중이었다. 삼근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동성왕(東城王) ☞모대(牟大) 2018. 3. 2. 모대(牟大) 백제 동성왕 이름이다. 마모(摩牟)라고도 했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동성왕(東城王)은 이름은 모대(牟大)이며 문주왕 동생인 곤지(昆支)의 아들이다. 담력이 남보다 뛰어나고 활을 잘 쏘아 백발백중이었다. 삼근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4대 동성왕(東城王)은 이름이 모대(牟大)인데 마제(麻帝)라도고 하며 여대(餘大)라고도 한다. 삼근왕(三斤王)의 당제(堂弟)이다. 기미년에 즉위해 22년을 다스렸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22년(500) 봄에 임류각(臨流閣)을 궁궐 동쪽에 세웠는데 높이가 다섯 장(丈)이었으며, 또 못을 파고 진기한 새를 길렀다. 간언하는 신하[諫官]들이 반대하며 상소(上訴)하였으나 응답을 하지 않았고[不.. 2018. 3. 2. 진로(眞老) 백제인. ?~497(동서왕 19). 백제인. 삼근왕 2년(478)에 발생한 좌평 해구와 은솔 연신의 반란을 정병 500명을 이끌고 토벌했다. 동성왕 4년(482)에는 병관좌평에 임명돼 중앙과 지방 군사업무를 관장하다가 동왕 19년(497)에 병관좌평으로 사망했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삼근왕본기 : 2년(478) 봄에 좌평 해구가 은솔 연신(燕信)과 더불어 무리를 모아 대두성(大豆城)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좌평 진남(眞男)에게 명령하여 군사 2천 명으로 토벌하게 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왕은] 다시 덕솔(德率) 진로(眞老)에게 명령하여 정예 군사 500명을 거느리고 해구를 공격하여 죽였다. 연신이 고구려로 달아나자 그 처자를 잡아다가 웅진 저자[市]에서 목을 베었다. 삼.. 2018. 3. 2. 진남(眞男) 생몰년 미상. 백제인. 삼근왕 2년(478) 봄에 발생한 좌평 해구와 은솔 연신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군사 2천명을 이끌고 좌평으로 출동했으나 실패했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삼근왕본기 : 2년(478) 봄에 좌평 해구가 은솔 연신(燕信)과 더불어 무리를 모아 대두성(大豆城)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좌평 진남(眞男)에게 명령하여 군사 2천 명으로 토벌하게 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왕은] 다시 덕솔(德率) 진로(眞老)에게 명령하여 정예 군사 500명을 거느리고 해구를 공격하여 죽였다. 연신이 고구려로 달아나자 그 처자를 잡아다가 웅진 저자[市]에서 목을 베었다. 2018. 3. 2. 연신(燕信) 생몰년 미상. 백제인. 삼근왕 때 은솔로 있다가 동왕 2년(478)에 좌평 해구와 함께 대두성을 근거지로 모반을 일으켰다가 토벌되고 그 자신은 고구려로 도망쳤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삼근왕본기 : 2년(478) 봄에 좌평 해구가 은솔 연신(燕信)과 더불어 무리를 모아 대두성(大豆城)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좌평 진남(眞男)에게 명령하여 군사 2천 명으로 토벌하게 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왕은] 다시 덕솔(德率) 진로(眞老)에게 명령하여 정예 군사 500명을 거느리고 해구를 공격하여 죽였다. 연신이 고구려로 달아나자 그 처자를 잡아다가 웅진 저자[市]에서 목을 베었다. 논한다. 춘추(春秋)의 법에 임금이 시해(弑害)를 당하였는데도 역적을 토벌하지 아니하면 이를 깊이 책망하.. 2018. 3. 2. 임걸(壬乞) 백제 삼근왕(三斤王)에 대한 이칭 표기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삼근왕본기 : 삼근왕(三斤王)은 문주왕 맏아들이다. ☞삼근왕(三斤王) 2018. 3. 2. 이전 1 ··· 2897 2898 2899 2900 2901 2902 2903 ··· 299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