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18

정재숙 청장의 결단, "영문보도자료도 병행하라" 문화재청이 5일 배포한 〈『한국고고학전문사전-생산유적편』 발간〉 제하 보도자료에는 '(국영문 동시 배포)'라는 단서가 달렸다. 실제 이 보도자료를 보면 국학문 병용이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가마·제철·공방 등 생산 관련 유적 용어 해설 1,855건 집대성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한반도 내 가마, 제철, 공방 등 생산유적 관련 조사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한국고고학전문사전-생산유적편?을 발간하였다. 이 사전은 가마나 제철 공방 등 생산과 관련된 유적의 현황과 개념‧관련 개념들의 용어를 총 정리한 것으로, 2016년부터 표제어 선정과 원고 집필, 감수, 교정, 편집의 과정을 거쳐 최근 작업이 마무리됐다.개념표제어 342건, 유적표제어 1,513건으로 총 1,855건을 수록하였고, 시간적 .. 2019. 8. 5.
Site of Embassy of Japan in Korea / 주한일본대사관 터 在大韓民国日本国大使館址, Seoul 어째 요새 한일 관계 난맥상을 대변하는 듯하기도 하다. 2019. 8. 5.
작가 어시스턴트로 잠입해 촬영한 '표현의 부자유' 어느 분야도 다 그렇겠지만 기자라는 족속은 좀 훈련이 쌓이다 보면, 희한한 생존본능을 체득하게 된다. 이른바 임기응변이 그것인데, 현장에 가서 부닥치다 보면, 나도 모르는 이런 능력이 불뚝불뚝 솟아나곤 한다. 작금 일본 '2019 아이치 트리엔날레'가 직면한 우스꽝스런 상황을 이 사진만큼 명징하게 드러내는 장면 있을까? '表現の不自由展(표현의 부자유전)'이라는 글자 큼지막한 저것은 이 대회 저 코너 팜플렛이다.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가 억압된 현실을 고발한다는 취지에서 기획한 이 코너가 역설적으로 그 '표현의 부자유'라는 외적 압력에 따라 전시가 중단되고, 저들 작품이 철거되는 비운을 맞았다. 그렇다면 저 팜플렛은 누가 저기다 놓았을까? 모른다. 어이없는 전시중단과 전시작품 철거를 반대하는 사람일 것.. 2019. 8. 5.
담양潭陽 소쇄원瀟灑園 제월당霽月堂 Located at Damyang-gun County, Jeollanamdo Province, South Korea, Sosweawon or Sosaewon is a a typical Korean garden from the Joseon Dynasty era. Clean waters in the valley are flowing below the walls and falls through the small cataract into the lake. Originally constructed built in the 1520s and 11930s by Yang San-bo, who gave up his government position, the garden was partially burnt down dur.. 2019. 8. 5.
공구리 유산 concrete heritage 우리가 매양 유럽 중세도시 흔적이라며 찬탄하는 건축물. 자세히 뜯어보면 대부분이 시멘트다. 이 베네치아라 해서 다를 바 없다. 와! 하는 탄성은 실은 공구리 만세! 라는 말과 같다. 내 말 믿기지 않거들랑 담부턴 자세히 비름빡 살펴봐라. 시멘트를 복권해야 한다. 이 친구들 전통 석조건축물이란 것도 제대로 남은 게 없다. 그리스 로마신전 건축 봐라. 다 무너져서 새로 쌓은 것들이고 그나마 남은 몇개는 실은 간단없는 개보수의 소산에 지나지 않는다. 저 육중한 공구리 빌딩들을 지탱한 절대의 힘은 아시바다. 2019. 8. 5.
Gongnammun, the South Gate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淸州上黨山城控南門 / 청주 상당산성 공남문 Literally meaning the gate for controllig the south, Gongnammun is the main and south gate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in Cheongju City, Chungcheongbuk-do Province. Originally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fortress was comprehensively improved in 1596, the 29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during Imjinwaera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later.. 2019. 8. 5.
반응형